Distribution of Actual Vegetation and Management of Bukhansan National Park

북한산국립공원의 현존식생분포 및 관리

  • Oh, Koo-Kyoo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Honam Univ.) ;
  • Kim, Do-Gyu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Sunchon National Univ.) ;
  • Kim, Chul-Eui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Honam Univ.)
  • Published : 2008.04.30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ctual vegetation and Degree of Green Naturality(DGN) and distribution of exotic plants replanted in Bukhansan National Park. The actual vegetation of the surveyed site was classified into eight plant communities and crop land, etc. Substitutional forest were classified into five plant communities; Quercus mongolica community, Q. mongolica-Pinus densiflora community, Deciduous broadleaf forest, etc. Reforested lands were classified into three forest types: P. koraiensis forest, Robinia pseudoacacia forest, P. rigida forest, etc. The area of DGN 8 consisted of 92.80% in Bukhansan National Park. The replanted plants in Bukhansan National Park was enlisted as 212 taxa, 71 families. The indigenous native among the replanted species were enlisted as 67 taxa(31.6%), 37 families. The exotic plants were enlisted as 145 taxa(68.4%), 58 families. The exotic plants needs to management that for recovery of natural environment, improvement about maintenance of multiplicity and a site of scenery about natural plants in Bukhansan National Park.

북한산국립공원의 현존식생 및 녹지자연도와 외래식물 분포실태를 2007년에 조사하였다. 북한산국립공원의 현존식생은 총 8개의 식물군락과 기타 지역으로 구분 되었으며, 자연림은 신갈나무군락, 신갈나무소나무군락, 낙엽활엽수림 등 5개 식물군락으로, 조림지는 잣나무림, 리기다소나무림, 아까시나무림 등 3개 산림유형으로 구분되었다. 북한산국립공원의 녹지자연도에서 가장 넓게 분포한 것은 8등급 지역이 약 92.8%였다. 북한산국립공원안에 식재된 수목류는 총 71과 212종류이었고 이 중 자생종은 37과 67종류(31.6%), 외래종은 58과 145종류(68.4%)이었다. 북한산국립공원의 자연환경 회복, 자생식물의 다양성 유지와 자연경관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외래수종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공원관리공단(2001) 북한산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 289쪽
  2. 국립공원관리공단(2003) 북한산국립공원관리계획, 478쪽
  3. 국립공원관리공단(2006) 월출산국립공원 외래식물조사, 26쪽
  4. 김용식, 김갑태, 김준선, 임경빈(1988) 치악산국립공원 지역의 현존식생과 녹지자연도 사정에 관한 연구. 응용생태연구 2(1): 9-18
  5. 김준선, 김갑태, 임경빈(1989) 가야산국립공원 지역의 현존식생 및 녹지자연도. 응용생태연구 3(1): 1-15
  6. 김준선, 김갑태, 추갑철(1990) 속리산국립공원 속리산지역의 현존식생. 응용생태연구 4(1): 1-15
  7. 박인협, 이경재, 조재창(1987) 북한산 지역의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응용생태연구 1(1): 1-23
  8. 산림청(2007) http://www.koreaplants.go.kr:9101/
  9. 오구균(1998) 식재설계 및 시공시 조경수종 사용에 있어서의 정확성과 자생성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26(2): 251-258
  10. 오구균(2004) 국립공원내 식재 및 녹지관리. 국립공원관리공단 2004년 공원시설관리 전문교육, 227-253쪽
  11. 오구균, 박상규, 심항용, 김태환(2005) 월악산국립공원의 현존식생 및 관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9(2): 119-129
  12. 오구균, 권태호, 전용준(1987) 북한산 국립공원의 등산로 훼손 및 주변 식생변화. 응용식생연구 1(1): 33-45
  13. 오구균, 정승준, 김영선(1999) 월출산국립공원의 현존식생 및 식물 군집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17(1): 26-34
  14. 이경재(1987) 국립공원 자연경관자원 관리대책. 환경과 조경(19), 106-113
  15. 이규완(1992) 내장산국립공원 식생경관의 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3쪽
  16. 진희성(1982) 북한산 삼림군락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경희대학교 산업대학. 130쪽
  17.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2002) 환경영향의 합리적 예측평가 기법 연구. 544쪽
  18. 한라산국립공원사무소(2007) 국립공원내 삼나무 조림지 관리계획. 2쪽
  19. 홍문표(2004) 설악산 삼림식생의 생태학적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69쪽
  20. Braun-Blanquet, J.(1964) Pflanzensoziologie, Grundzugeeiner Vegetationskunde. 3. Aufl., Springer, Wien, New York, 865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