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election Model of Suitable Tendering System for Public Construction Projects

공공건설공사의 최적 입찰방식 선정모델

  • Published : 2008.06.30

Abstract

It is crucial In decision making to select a project delivery system (PDS) adjusted accordingly to the project characteristics. Furthermore, selecting a tendering system is the kernel in the process of selecting PDS. In October 2007, the Ministry of Finance and the Economy of Korea launched two new project delivery systems, "Best Value Contract (Design-Bid-Build)" and "Bridging Contracts (Design-Build)" by revising enforcement ordinances of "Act on Contracts to Which the State is a Party" to provoke the tendering systems. In order to support the proposed purpose, this research developed a selection model for suitable tendering system, which helps a public owner select a tendering system appropriate to the project characteristics. First, the framework of the model was set throughout analyzing previous researches and interviewing relevant experts. Additionally, by analyzing the survey result from 265 experts engaged in architectural and civil engineering business, the relative weights of the selection factors and the effectiveness values of the alternatives were suggested as the quantitative evaluation references. Finally, the practical guideline was suggested to apply this model to three public projects scheduled to be delivered. The result of applying the model to three case projects showed that further researches were needed to make the selection process logical and to suggest the standard weights and effectiveness values according to project type.

사업특성을 고려한 발주방식의 선정은 해당 사업의 성공적 수행을 위한 중요한 의사결정이며, 발주방식 선정의 가장 핵심은 입찰방식의 결정이다. 국내 공공건설공사의 입찰방식을 보다 다양화하려는 취지에서 재정경제부는 2007년 10월 국가계약법시행령 개정을 통해 "기술제안입찰", "설계공모 기술제안입"을 새로이 도입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다양한 입찰방식 중 사업특성에 적합한 대안을 선택하는 발주자의 의사결정을 위한 입찰방식 선정모델을 제시하였다. 국내외 선행연구 분석 및 면담조사를 통해 우선 모델의 framework을 구축하였으며, 다음으로 건축 및 토목 분야의 전문가 265인을 대상으로 수행한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입찰방식 선정기준의 상대적 가중치와 입찰방식 대안별 효용을 정량적인 평가기준으로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발주예정인 3개의 공공건설공사에 대한 사례 적용을 통해 본 연구에서 개발한 모델의 실무 적용을 위한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사례프로젝트에 모델을 적용한 결과, 입찰방식 선정기준의 선별 과정을 논리화하는 연구와 사업유형별로 표준 가중치 및 효용을 제시하는 후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선국, 박종규, 손기영, 박찬식 (2007), "화력발전소 발주방식 비교를 통한 적정 발주방식 선정 모형",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8(1), 66-77
  2. 대통령자문건설기술.건축문화선진화위원회 (2007), 사업특성에 적합한 다양한 발주방식 시범적용에 관한 연구, 용역보고서, 한국건설관리학회
  3. 서용칠, 현창택 (2003)," 공공건설공사 발주방식 결정의 개념적 체제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19(6), 193-200
  4. 서울시 (2000), 대형공사 입찰방법이 건설공사에 미치는 영향 연구-적정 발주방식 선정절차를 중심으로, 용역보고서,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연구원
  5. 유일한, 김경래 (2007), "공공건설사업의 발주방식 선정 및 성과평가 모델", 한국건설관리학회 2007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41-47
  6. 현창택, 서용칠 (2003), "ANP를 이용한 대형공사 적정발주 방식 선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19(7), 211-219
  7. Alhazmi, T., and McCaffer, R. (2000), "Project procurement system selection model", J. Constr. Eng. Manage., 126(3), 176-184 https://doi.org/10.1061/(ASCE)0733-9364(2000)126:3(176)
  8. Construction Industry Institute (CII). (1998), Project delivery systems: CM at Risk, Design-Build, Design- Bid-Build, Construction Industry Institute, Univ. of Texas at Austin, Texas, USA
  9. Construction Industry Institute (CII). (2001), Owner's tool for project delivery and contract strategy selection, Construction Industry Institute, Univ. of Texas at Austin, Texas, USA
  10. Dorsey, R. W. (1997), Project delivery systems for building construction, AGC of America, Washington, D.C., USA
  11. Flad and Associates (1994), Delivery system selection matrix: purpose and definition, Flad and Associates
  12. Konchar, M., and Sanvido, V. (1998), "Comparison of U.S. project delivery systems", J. Constr. Eng. Manage., 124(6), 435-444 https://doi.org/10.1061/(ASCE)0733-9364(1998)124:6(435)
  13. Love, P. E. D., Skitmore, M., and Earl, G. (1998), "Selecting a suitable procurement method for a building project", Const. Manage. Econ., 16(2), 221-233 https://doi.org/10.1080/014461998372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