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Corporate Image Increased by Cultural Marketing on Purchase Intention -Based on University Students from Seoul and Choong-Chung Do-

기업의 문화마케팅이 기업이미지제고를 통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 충청 지역 대학생 중심으로-

  • 진종훈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
  • 양해술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 Published : 2008.04.28

Abstract

The present research relates to a study on how cultural marketing increases a corporate image and has effects on purchase intention, an object of which is to understand how a consumer perceives the image of the corporate that carried out the cultural marketing and the corporate image has effects on intention of buying products of the corporate. The research was made on 102 university students from Seoul and Choong-Chung Do and compensated by PLS(Partial Least Square)in consideration that it is not well unknown to common people and the number of those questioned is small, and the case of Kumho Asiana was selected as the corporate for the cultural marketing, which results in as follows. First, the cultural marketing has positive effects on three elements(business conduct, social conduct, and marketing image) of the corporate image, but gives an inconvincible explanation of the corporate reliability image. Second, among four corporate images, social conduct, corporate reliability and marketing image except the business conductor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purchase intention.

본 연구는 기업의 문화마케팅 활동이 기업이미지제고를 통해 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로써 문화마케팅을 시행한 기업의 이미지는 어떻게 소비자에게 인식되며 그 기업의 이미지 형성에 따라 그 기업의 제품 구매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과 충청 지역의 대학생 102명을 대상으로 했으며 연구의 특성상 일반인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것을 감안하고 설문 대상의 수가 적은 것을 감안하여 PLS(Partial Least Square)를 사용하여 단점을 보완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문화마케팅은 기업이미지요소(기업행동 사회행동 마케팅이미지) 3가지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기업신뢰이미지에는 설명력이 낮다고 도출되었다. 둘째, 기업이미지 4가지 중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기업행동이미지를 제외하고 사회행동 기업신뢰 마케팅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Sorman, Guy, Le mode est ma tribu. Paris: Lgt. 1999.
  2. 김대영, "명품브랜드", 서울: 미래의 창. 2004.
  3. 정석순, 기업의 문화마케팅이 브랜드 자산 형성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 신문방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4. Colbert. F., Natel J., & Poole. W.. "Marketing Culture and the Arts", Montreal: Morin, 1994.
  5. 양현미, 윤용중, 김소영, 강명국, 곽영식. "기업메세나운동의 효과분석", 한국문화정책개발원, 2002.
  6. Australia Foundation for Culture and Humanities Arthur Andersen. Making Arts & Culture Work in Business, 1999.
  7. 심상민, "문화마케팅의 부상과 성공전략", 제372호, 삼성경제연구소, 2002.
  8. 우정호, 기업의 문화마케팅과 기업이미지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양대 산업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9. 김여정, 문화예술지원활동이 기업이미지와 로열티에 미치는 영향력에 관한 연구, 서울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10. 민동원, 기업메세나가 기업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연구, 연세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11. 이종석, 문화 스폰서십이 기업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연구, 홍익대 광고홍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12. 정전경, 문화마케팅이 기업이미지 및 사회적 책임과 기업윤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숙명여대 테크노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13. 김희진, 기업의 사회공헌활동과 기업이미지의 관계에 관한 연구, 연세대 언론홍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14. 김우영, 문화마케팅이 기업의 이미지와 브랜드 자산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주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15. 신성혜, 문화마케팅이 기업 및 브랜드 이미지와 구매의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인천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16. 정상권, 기업광고에 의해 형성된 기업이미지가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 전주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17. L. C. Winters, "The Effect of Brand Advertising on Company Image : Implications for Corporate Advertising,"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Vol.26, 1986.
  18. 八券俊雄, "企業Image 戰略", 産能大出版部, 東京, 1984.
  19. 강신도, 스포츠 스폰서십을 이용한 광고효과에 관한 연구, 동국대 정보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20. 허광일, 기업의 스포츠 팀을 통한 마케팅이 소비자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21. C. M. Brooks, "Celebrity Athlete Endorsement : An Overview of the key Theoretical Issues," Sports Marketing Quartely, No.2, pp.23-32, 1998.
  22. 김용만, "월드컵 축구대표팀 스폰서십이 스폰서 인지도 및 상표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 스포츠 행정, 경영학회지, 제3권, pp.16-30, 1998.
  23. H. Wold,. Causal flows with latent variables: Partings of the ways in the light of NIPALS modelling. European Economic Review, Vol.(5), 1974,.
  24. H. Wold, Model Construction and Evaluation when Theoretical Knowledge is Scarce: Theory and Application of Partial Least Squares. Evaluation of Econometrics Models, pp.47-74, 1980.
  25. Wold, H. Systems under indirect observation using PLS. A Second Generation of Multivariate Analysis, 1, pp.325-347, 1982.
  26. D. Gefen, D. Straub, and M. Boudreau,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regression: Guidelines for research practice. Communications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ystems, Vol.(7), 2000.
  27. W. Chin, "The Partial Least Squares Approach For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G.A. Marcoulides, Modern Methods for Business Research, Lawrence Erlbau, Associaties. pp.295-336,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