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Oral Health Knowledge Level of Home Room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Daegu area

대구지역 일부 초등학교 교사들의 구강보건 지식도에 관한 조사

  • Choi, Sung-Suk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Daegu Polytechnic College) ;
  • Ryu, Hae-Gyum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Masan College)
  • 최성숙 (대구산업정보대학 치위생과) ;
  • 류혜겸 (마산대학 치위생과)
  • Published : 2008.12.31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figure out oral health knowledge level of home room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s in Daegu area.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March through May 2008. Methodology: A total of three hundred and ten (43 male teachers and 267 female teachers) home room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s were survey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X2 test and one way ANOVA test by using SPSS 11.0 program. Results: Most oral health knowledge was obtained from dental clinics (45.8%) and mass media and books (40.0%). Many respondents reported that the main purpose of oral hygiene was prevention of periodontal diseases. The highest number of respondents reported that fluoridated tooth paste was the best for fluoride effects on teeth. 56.7% of the respondents said that they visited periodically dental clinics for dental caries prevention. The respondents did not have much knowledge about the importance of fluoride in dental caries. Many respondents did not know that the plaque is the main cause of periodontal diseases. Conclusion: Effective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should be prepared for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because their knowledge levels of oral health is not sufficient for students.

대구지역 초등학교 학급교사들의 사회인 구학적, 구강보건지식습득경로, 구강위생관리목적, 불소효과에 대한견해, 치아우식증 예방효과, 불소 및 치주질환에 대한 지식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구광역시에 소재하는 초등학교 8개교(수성구-2개교, 남구 2개교, 북구-2개교, 동구-2개교)를 임의로 선정하여 학교별 각 학급 담임교사들을 대상으로 연구자가 작성한 설문지를 배부하여 응답자 스스로 설문내용을 기입하도록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학급교사의 구강보건지식 습득경로는 치과의원과 신문, 잡지, 홍보책자를 통한 경우가 각각 45.8%와 40.0%로 가장 많았으며, 다수의 응답자에서 구강위생관리 목적이 치주질환예방이 우선순위였다. 2. 불소효과에 대한 견해는 불소치약사용이 가장 우선순위로 꼽혔으며, 불소복용이 가장 낮은 순위였다. 3. 치아우식증 예방효과는 정기적인 치과내원이 56.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군 치아우식증 예방효과(p<0.01), 및 근무경력별 치아우식증 예방효과에서(p<0.001)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4. 불소에 대한 지식도는 배와 치아형성에 기본영양소이다와 미세한 충치를 회복시킨다에서 불소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였으며, 치주질환의 원인은 치태이다에서 치주질환에 대한 지식도가 부족하였다. 5. 연령군, 근무경력별 치주질환에 대한 지식도 차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