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nfluence of Store VM and Shopping Values on Male University Students' Clothing Purchase Behavior

매장의 VM과 쇼핑가치가 의복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 남자대학생을 중심으로 -

  • Oh, Hee-Sun (Dept. of Design,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08.01.22
  • Accepted : 2008.05.07
  • Published : 2008.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what male consumers value in their clothing behaviors, as well as to investigate how the consumers' shopping values and store VM impact on their clothing purchase behaviors. For data collection, research questionnaires were responded by 202 male students living in Busa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frequency-factor analysis using SPSS for win 10.1 Package, the factor analysis using Varimax, reliability analysis, and multi-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hopping values were composed of hedonic, utilitarian, and economic value, and VM was divided into store facility, store image, layout, and fashion information. Second, multi-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the impact of consumers' shopping values on their clothing purchase behaviors. The result showed that the hedonic shopping value and utilitarian shopping value significantly affected the consumers' clothing purchase behaviors, while economics shopping value did not show any statistical significance. Third, multi-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the impact of store VM on consumers' clothing purchase behaviors. The result showed that store image, layout, and fashion information had a significant impact on consumers' clothing purchase behaviors.

Keywords

References

  1. 김주희, 박옥련. (2004). 20-30대 남성소비자의 가치의식에 따른 의 류쇼핑성향과 정보원 활용. 한국생활과학학회지, 13(2), 291-300
  2. 김건수, 박재옥, 이규혜, 서문숙. (2007). 남성소비자들의 라이프스타 일에 따른 의복가치. 한국의류학회지, 31(4), 646-657 https://doi.org/10.5850/JKSCT.2007.31.4.646
  3. 김지현, 홍금희. (2000). 남성집단의 의복추구혜택에 따른 쇼핑성향 과 정보원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4(1), 43-54
  4. 김세희. (2000). 의류 상품 소비자의 판매촉진 반응유형과 쇼핑성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강경자, 김은정. (1995). 의복구매시 소비자의 의사결정과정에서 디 스플레이의 역할. 복식문화연구, 25, 171-181
  6. 김미란. (2004). 패션점포 VMD의 구성요소와 소비자태도가 의복구 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소영. (1994). 소비자의 의복쇼핑성향과 점포애고행동에 관한 연 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진원. (2000). 쇼핑가치, 점포속성 및 과업상황이 의복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의류점포내 감정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 원 박사학위논문
  9. 노현지. (2003). 20-30대 남성 소비자의 의복구매행동수준에 따른 쇼 핑성향과 정보원 활용에 관한 연구: 서울,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동덕여자대학교 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박광희. (2000). 소비자의 가치와 의복 쇼핑성향과의 관계 연구. 소비자학연구, 11(1), 49-58
  11. 박현희, 전중옥. (2004). VMD구성요소와 패션브랜드 태도효과에 관 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8(2), 224-234
  12. 서미아. (1988). 남성 기성복의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13. 신수연, 김용덕. (2000). 20, 30대 성인남성의 캐쥬얼 의류쇼핑성향과 자기이미지 및 점포속 성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8(2), 305-314
  14. 신수연, 김희수. (2002). "여성의류매장의 VMD(Visual Merchandising) 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10(6), 617-632
  15. 이학식, 안광호. (1995). 소비자행동, 법문사
  16. 유영배. (2002). 유통환경 디스플레이, 디자인하우스
  17. 전중옥, 박현희. (2005). 패션 VMD 인지 측정 도구 개발을 위한 연 구. 마케팅관리연구, 10(2), 117-139
  18. 진병호, 고애란. (1999). 의류구매시 소비자가 지각하는 다양한 가격 차원이 쾌락적 쇼핑가치에 미치는 영향. 소비자학연구, 10(3), 67-84
  19. 표희수. (2005). 골프웨어 소비자들의 쇼핑가치에 따른 점포선택행동 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2030 남성 시장을 잡아라, (2007). 패션채널, pp.84-85
  21. 황진숙, 이기춘. (2000). 남자대학생의 라이프스타일 요인이 의복의 구매동기, 정보원활용, 의복선택기준에 미치는 영향 연구. 복식, 50(4), 63-72
  22. 황진숙. (2003). 인터넷 의류구매 대학생의 가치와 의복추구혜택에 미 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7(1), 154-161
  23. 황선진, 김현진, 황경순. (2005). 쇼핑가치, 판매 촉진, 패션 점포 유 형이 소비자의 패션 점포 방문 행동에 미치는 영향. 생활과학연구, 8, 91-104
  24. Babin, B.J., Darden, W.R. and Griffin, M. (1994). Work and/or fun: Measuring hedonic and utilitarian shopping valu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0(3), 644-656 https://doi.org/10.1086/209376
  25. Bloch, P.H. and Richins, M.L. (1983). Shopping without purchase: An investigation of consumer browsing behavior.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10, 389-393
  26. Bellenger, D.N. and Korgaonkar, P. (1980). Profiling the recreational shopper. Journal of Retailing, 56(3), 77-92
  27. Erdem, O., Oumlil, A.B. and Tuncalp, S. (1999). Consumer values and the importance of store attributes. International Journal of Retail and Distribution Management, 27(4), 137-144 https://doi.org/10.1108/09590559910268435
  28. Gutman, J. and Mills, M.K. (1982). Fashion life style, self-concept, shopping orientation, and store patronage: An integrative analysis. Journal of Retailing, 58(2), 64-86
  29. Hirschman, E.C. and Holbrook, M.B. (1982). The experiential aspects of consumption: Consumer fantasies, feelings, and fun.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9, 132-140 https://doi.org/10.1086/208906
  30. Katerattanakul, P. and Siau, K. (2003). Creating a virtual store image. Communications of The ACM, 46(12), 226-232
  31. Payne, J.W., Bettman, J.R. and Johnson, E.J. (1992). Behavioral decision research: A constructive processing perspective. Annual Review of Psychology, 43, 87-131 https://doi.org/10.1146/annurev.ps.43.020192.000511
  32. Pitts, R. E. and Woodside, A. G. (1983). Personal value influences on consumer product class and brand preferences.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19(1), 27-53
  33. Sankar, S., Lauren, G.B. and Sucharita, C. (2002). Window displays and consumer shopping decisions. Journal of Retailing and Consumer Services, 9, 277-290 https://doi.org/10.1016/S0969-6989(01)0003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