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pharmacopuncture of Forsychiae fructus on the chemokines expressions induced by TNF-${\alpha}$ and IL-4 in A549 cell

연교약침액(連翹藥鍼液)이 기관지(氣管支) 상피세포주(上皮細胞注)에서 TNF-${\alpha}$ 및 IL-4에 의한 케모카인 발현(發顯)에 미치는 영향(影響)

  • Whang, Jin-Young (Dept. of Meridian & Acupoint,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Semyung University) ;
  • Kim, Ee-Hwa (Dept. of Meridian & Acupoint,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Semyung University) ;
  • Kim, Hee-Taek (Dept. of Ophthalmology & Otorhinolaryngology & Dermatolo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Semyung University)
  • 황진영 (세명대학교 한의과대학 경혈학교실) ;
  • 김이화 (세명대학교 한의과대학 경혈학교실) ;
  • 김희택 (세명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교실)
  • Published : 2008.03.27

Abstract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폐열해수, 장열번갈, 습열사리, 황달, 옹종정창등의 치료효능이 있는 연교약침액이 사람 기관지 상피세포주인 A549에 TNF-${\alpha}$ 및 IL-4를 투여하여 나타나는 케모카인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자 하는 것이다. 방법 : A549 세포주에 연교약침액을 농도별로 (0, 0.5, 1, 5, 10, 50 ${\mu}g/ml$) 전처치한 후, TNF-${\alpha}$ 및 IL-4를 투여하여 RANTES, eotaxin 및 TARC의 분비를 유도하고, 케모카인 분비량을 ELISA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연교약침액의 농도에 따른 세포 독성 유무를 관찰하고자 MTT assay를 수행하여 세포생존율을 측정하였다.결과 : 연교약침액의 농도가 세포내에서 독성을 일으키는지 MTT assay로 측정한 결과 세포독성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연교약침액은 TNF-${\alpha}$ 및 IL-4투여로 인하여 증가된 RANTES, eotaxin 및 TARC의 분비를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시킴을 관찰하였다. 결론 : 연교약침액은 천식과 알레르기 질환에 관련이 있는 케모카인의 효과적인 감소를 이끌어 냄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연교약침액이 천식 및 알레르기 환자에 대해 효과적인 임상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