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tanical Characteristics and Effect of Weed Control by Herbicide in Barley

제초제 처리에 의한 보리의 작물학적 특성

  • Received : 2008.01.23
  • Accepted : 2008.06.25
  • Published : 2008.12.30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the botanical characters and effect of weed control for herbicides treatment after barley sowing. Barley variety used in study was "Yuyeon", hood-type awn for whole crop forage use, which developed at RDA in 2004. Sowing date was on 10th October, 2007, and was drilled as $60{\times}20cm$. Herbicides were treated on 2th day after barley sowing. Measured items were number and kinds of weeds at each treatment and growth characteristics and grain yield in barley. Cerastium holosteoides var. hallaisanense among weeds surveyed at tillering stages in Butachlor treatment were highly appeared, but Alopecurus aequalis var. amurensis did not appeared while Alopecurus aequalis var. amurensis was 39 plants and Capeslla bursa-pastoris was 37 plants in check. Occurrence of the Capeslla bursa-pastoris at primary survey and Cerastium holosteoides var. hallaisanense in ripening stage were high, while Alopecurus aequalis var. amurensis did not emerged. Botanical characteristics of barley each as plant height, number of tillers and spiklets per plant. surveyed at ripening stage were higher than check. Grain yield per 10a was the highest at Alachlor among treatments, while dry matter of leaf and culm were similar among treatments. Therefore, effect of yield increasing of barley by herbicide after sowing was reconfirmed through this study. Especially, effect of Alachlor was lightly high compared with others.

총체용 "유연" 보리 품종에 대한 토양처리용 제초제인 Alachlor와 Butachlor를 처리하여 이들 각각에 대한 잡초방제 효과와 보리 종실 및 건물 수량의 증감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2007년 10월 10일 충남대학교 전작 포장에 휴립세조파로 파종하였고, 파종 2일 후에 이들 약제를 처리하고 이듬해에 분얼기와 출수기등 2회에 걸쳐 잡초 초중수와 개체수 및 수량 관련 형질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잡초 발생 경감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1차 조사인 처리 25주 후인 3월 30일 조사에서는 Butachlor 처리구에서 점나도나물이 개체수 8.7점, 생체중 4.0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Alachlor 처리구에서는 냉이가 5.3개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반면에 둑새풀은 처리된 2종의 약제 모두 발생하지 않았으나 무처리구의 경우에는 둑새풀 39개로 높았다. 2. 보리 출수기에는 Butachlor의 경우 냉이와 점나도나물의 개체수가 각각 1.7과 2.3개로 두 종의 약제에서 비슷하게 발생 하였으나, Alachlor의 경우에는 오히려 점나도나물보다 냉이의 출현개체가 높았다. 반면에 둑새풀은 1차 조사와 같이 발생하지 않았다. 무처리구 역시 1차 조사와 같이 모든 초종에서 매우 높게 발생하였다. 3. 보리 생육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제초제 처리 25주와 30주 후인 2차에 걸쳐 Alachlor 처리구에서 살펴본 결과 초장, 분얼수, 생체중, 건물중, 근장등이 무처리구에 비해 높게 나타났는데 특히 분얼기에서는 생체중 및 건물중의 증가효과가 컸으며, 등숙기에서는 무처리보다 간장 9.2cm, 분얼수 1.8개, 생체중 15.6g, 건물중 3.0g 높게 나타났다. 4. 단위면적당 종실수량 및 지상부 간엽중에 대해 약제 처리효과를 살펴보면 간엽중은 처리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종실수량은 Alachlor에서 가장 높았고 이어서 Butachlor, 무처리 순이었다. 5.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맥류 파종시 잡초 경감효과 및 수량증수를 위해서는 제초제 사용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제초제간 효과는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