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lity Characteristics of Soybean Anchovy Sauce Added with Medicinal Herbs

약용식물을 첨가한 어간장의 품질특성

  • 김영숙 (양산대학 호텔식품제과제빵과) ;
  • 염동민 (양산대학 호텔식품제과제빵과) ;
  • 노승배 (양산대학 호텔식품제과제빵과) ;
  • 김영희 (양산대학 호텔조리과) ;
  • 정순경 (창원전문대학 호텔제과제빵과)
  • Published : 2008.06.30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1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1he soybean anchovy sauces added with medicinal herbs, Saururu chinensis Baill. and Houttuynia cordata Thunb. and fermented for 4 months. The total nitrogen content of 1he soybean anchovy sauce increased with the fermentation time showing the highest values in the sauce with Houttuynia cordata Thunb.. The contents of total sugar and reduced sugar were high in the order of the sauces with Houttuynia cordata Thunb.(sauce T), with Saururu chinensis Baill.(sauce B), and control. The content of salt decreased much more in the sauces with medicinal herbs. After 4 months of fermentation, pH was lowered from 5.86 to 5.27 in control, to 5.38 and 5.54 in sauce B and sauce T, respectively. Generally the total aerobic bacterial count increased until 3 months of fermentation and then decreased, and the addition of medicinal hems reduced the count especially showing apparent reduction in the sauce T. During the fermentation, total protease activity generally increased with the highest value in the sauce T. In the changes of nucleotides and their related compounds, the contents of AMP, ADP, and ATP were increased and hypoxanthine decreased during the fermentation, and IMP produced after 3 months. The soybean anchovy sauce B had 1he highest IMP and the lowest hypoxanthine after 4 months. The content of total amino acids increased showing 177.1 mg% and 134.7 mg% in the sauce B and sauce T respectively compared with 171.2 mg% of control. The contents of glutamic acid and aspartic acid were 29.2 mg% in sauce B and 34.3 mg% in sauce T, which were higher compared with 25.9 mg% of control. The fermented soybean anchovy sauce had 1he functionality of ACE inhibition with 70.5% (control), 72.5% (sauce B) and 81.6% (sauce T). In the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the sance T scored the highest and the sauce B was preferred to control.

우리 식생활에서 기본 조미료의 하나인 한식간장에 기능성을 부여하고자 기존의 식염수 대신 멸치 발효액을 사용하고 약용식물인 삼백초와 어성초를 5%씩 첨가하여 4개월간 발효시켜 기능성 어간장을 제조하였다. 어간장의 특성을 조사한 결과 총질소 함량은 발효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어성초 첨가구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삼백초 첨가구는 대조구와 비슷한 값을 보였다. 총당 및 환원당의 함량은 어성초 첨가구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이 삼백초 첨가구, 대조구 순이었으며, 염도는 대조구보다 첨가구에서 낮게 나타났다. pH는 초기 pH 5.86에서 4개월 발효 후 대조구의 경우 pH 5.27로, 삼백초와 어성초 첨가구에서는 각각 pH 5.38, 5.54로 감소하였고, 산도는 발효 기간 동안 완만히 증가 하였으나 대조구와 약용식물 첨가구 사이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순고형물 함량은 약용식물 첨가구에서 약간 높은 수치를 보였다. 발효 중 총균수의 변화는 전반적으로 발효 3개월까지 증가하다가 그 이후 감소하였으며 약용식물을 첨가함으로써 총균수가 보다 낮아졌고 특히 어성초의 경우 미생물의 발육 억제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맛과 관련하여 단백질분해효소 활성도 및 핵산관련물질과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을 조사하였는데, 단백질분해효소 활성도는 대조구보다 약용식물 첨가구에서 활성이 약간 높게 나타났으며, 어성초 첨가구 보다는 삼백초 첨가구에서 활성이 높았다. 핵산관련물질로는 발효 4개월 후 ADP가 가장 많이 생성되었고, IMP는 발효 3개월째 생성되기 시작하여 삼백초 첨가구에서 10.6 mg%로 가장 많았고 어성초 첨가구는 6.81 mg%, 대조구는 5.32mg% 생성되었다.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삼백초 첨가구가 177.1 mg%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고 어성초 첨가구는 134.7 mg%로 대조구 171.2 mg%보다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맛난 맛 관련 아미노산인 glutamic acid와 aspartic acid의 함량은 삼백초와 어성초 첨가구가 각각 29.2, 34.3 mg%로 대조구 25.9 mg%보다 높게 나타났다. 기능성 어간장에 대해 ACE 저해능을 조사한 결과, 대조구와 삼백초 첨가구는 비슷한 값을 보이고 있으나 어성초 첨가구에서 는 매우 높게 나타났다. 관능검사에서는 맛, 향,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어성초 첨가구가 가장 높게 평가되었고 그 다음 이 삼백초 첨가구로 나타나면서 약용식물의 첨가에 의해 거부감보다는 오히려 긍정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상시 이용되는 기본 조미료로서 약용식물, 특히 어성초를 첨가한 어간장의 경우 간장자체의 기능은 물론 맛과 기능성에서도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신현경 (1997) 기능성 식품의 개발 및 연구동향. 식품과학과 산업, 30, 2-13
  2. 식품공전 (2001) 한국식품공업협회, p.373-375
  3. Kang, Y.K., Chung, S.K., Paik, H.D. and Cho, S.H. (2001) Changes in physicochemical components of soy sauce during fermentation from anchovy sau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888-893
  4. 阿部憲治 (1980) 漁醬油について。食品産業. 22, 8-12
  5. Lee, C.H., Lee, E.H., Lim, M.H., Kim, S.H., Chai, S.K., Lee, K.W. and Koh, K.H. (1987) Salt-fermented anchovy(Myeolchi Jeot). Fermented Fish Products in Korea, YuLim Moon Hwa Sa, Inc., 22-34
  6. 編集部 (1997) 平成8年度における醬油の硏究業績. 92, 395-424
  7. Horovitz, Z.P. (1981)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s. Urban & Schwarzenberg, Baltmore-Munich, 3
  8. 池本文彦, 岩尾 洋, 山本硏二郞 (1981) 高血壓の生化學. 化學と生物,19, 482
  9. 大久保博晶 (1991) 血壓調節機構の分子生物學的硏究. 日本生化學會誌, 63, 1419
  10. 송주택 (1989) 식물대도감. 일홍, p.56
  11.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12. Yeum, D.M., Lee, T.G., Do, J.R., Kim, O.K., Park, Y.B., Kim, S.B. and Park, Y.H. (1993) Characteristics of angiotensin-I converting enzyme inhibitors derived from fermented fish product. 2. Characteristics of angiotensin-I converting enzyme inhibitors of fish sauce prepared from sardine, sardinops melanosticta. Bull. Korean Fish Soc. 26, 416-423
  13. 井口信議 (1985) しょうゆ 試驗法. 日本醬油硏究所. 20
  14. Choi, K.S., Choi, C., Im, M.H., Choi, J.D., Chung, H.C., Kim, Y.H. and Lee, C.W. (1998) The effects of soybean boiling waste liquor on the enhancement of lactic acid fermentation during Korean traditional kanjang mash maturing. J. Korean Agri. Chem. Soc., 41, 201-207
  15. Lee, J.S. and Kim, Z.U. (1986) A study on the manufacturing of sauce utilizing fish meals. J. Korean Agri. Chem. Soc., 29, 130-137
  16. Sung, N.J., Hwang, O.J. and Lee, E.H. (1988) Studies on N-nitrosamine of korean ordinary soy sau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17, 125-135
  17. 조규형 (1994) 삼백초 건강법. 서진각
  18. Lee, C.H. (1973) Studies on the amino acid composition of Korean fermented soybean meju products and the evaluation of the protein quality, Korean J. Food Sci. Technol., 5, 210-214
  19. Kim, J.K. and Kim, C.S. (1980) The taste components of ordinary Korean soy sauce. J. Korean Agri. Chem. Soc., 23, 89-105
  20. Chang, C.H. (1965) Chemical changes during the fermentation of Korean soy sauces and in connection with its fermentative period. J. Korean Agri. Chem. Soc., 6, 8-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