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Derivation of Problems and Improvement Strategy for the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Community Facilities in Rural Villages

농촌마을 커뮤니티시설 조성 및 관리를 위한 문제점 도출 및 개선방안 연구

  • Published : 2008.06.30

Abstract

As almost community facilities in korean rural village have being showed signs of decrepitude, and have a lot of problems on scale and function, it hasn't made full use of almost community facilities. To resolve these problems, it is time to make different plan considered of elements, scale and function in community facilities. In this study, after being researched the present condition and interviewed local residents on target 25 administrative districts, it was sought diverse problems about community facilities and researched satisfaction measurement, activity of local residents. With Being based on this, we also drove from essential element about community facilities in korean rural village and sorted problems of community facilities as general disposition-structure-outdoor facilities-behavioral use. Therefore, it was applied to study area and ascertained the existence of problem. Thus, we found out the improving way for appropriate community facilities in korean rural village. It will be useful to make different plan for community facilities in korean rural village.

Keywords

References

  1. 김민수, 최지인, 임정은, 신연섭, 이연숙, 2005, 최근 아파트 단지 내 공유공간 계획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5(2) : 91-98
  2. 김봉원, 김유일, 김창배, 2001, 경기도 농촌 마을쉼터의 이용실태와 이용만족 평가, 한국정원학회지 19(36) : 59-69
  3. 노이경, 황현숙, 2005, 초고층 주상복합아파트 커뮤니티시설의 실내 공간특성에 관한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6(4) : 211-219
  4. 농촌자원개발연구소, 2006, 농촌어메니티 자원조사사업 자료집
  5. 박경옥, 조현주, 이상운, 2006, 주민 커뮤니티센터 활용을 위한 농촌지역 폐교 리모델링 계획,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22(4) : 13-22
  6. 박성준, 1986, 농촌건축의 공간구성 및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7. 박창석, 1999, 농촌정주공간의 이용특성과 개선필요도 평가,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8. 서의훈, 2005, SPSS 통계분석, 자유아카데미
  9. 이원훈, 이창수, 2007, 미래지향적인 커뮤니티 시설유형 설정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국토계획 42(4) : 95-113
  10. 이정아, 이은희, 1995, 초고층아파트 중간영역으로서 커뮤니티공간에 관한 연구 -커뮤니티공간에 대한 만족도 및 요구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3(5) : 99-114
  11. 이정원, 정윤희, 임승빈, 2006, 농촌어메니티자원의 농촌다움 특성 평가에 관한 연구, 농촌계획 12(2) : 1-9
  12. 이정화, 강경하, 정남수, 박공주, 윤순덕, 2005, 농촌 노인의 마을 공동시설 이용실태 분석 및 개선방향, 농촌계획 11(3) : 19-27
  13. 임석희, 2005, 농촌지역의 유형화와 특성 분석,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1(2) : 211-232
  14. 임승빈, 2007, 환경심리와 인간행태 -친인간적 환경 설계연구-, 보문당
  15. 임승빈, 조순재, 박창석, 1995, 취락구조 개선마을(신촌형)의 주민의식 및 공간구조 분석에 관한 연구, 농촌계획 1(2) : 53-66
  16. 임승빈, 주신하, 2002, 조경계획.설계, 보문당
  17. 조순재, 임승빈, 오휘영, 1996, 농촌마을 공동시설 개선 방향 설정에 관한 연구, 농촌계획 2(2) : 37-44
  18. 최수명, 2002, 농촌어메니티 자원화방안, 농촌어메니티보전 및 관광자원화 방안 심포지엄자료 : 5-28
  19. 최장순, 정구용, 2002, 영동지역 농촌마을의 공간구조에 관한 고찰,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18(11) : 63-72
  20. Hillery, G, 1995, Definition of Community Areas of Agreement, Rural Sociology Vol.20 : 111-123
  21. Kruger, L, 2005, Community and Landscape Change in Southeast Alaska,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Vol.72 : 235-249 https://doi.org/10.1016/j.landurbplan.2004.09.023
  22. Stewart, W & Liebert, D & Larkin, K, 2004, Community Identities as Vision for Landscape Change.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Vol.69 : 315-334 https://doi.org/10.1016/j.landurbplan.2003.07.005
  23. Tilt, J & Kearney, A & Bradley, G, 2007, Understanding Rural Character : Cognitive and Visual Perception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Vol.81 : 14-26 https://doi.org/10.1016/j.landurbplan.2006.09.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