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Criteria for Demarcating Ecological Types of Urban Areas by the Affection of Ecosystems - Case Study in Gangdong-Gu, Seoul -

시가화지역 생태적 유형구분을 위한 관련지표 특성 연구 - 서울시 강동구를 사례로 -

  • Published : 2008.06.30

Abstract

Studies for demarcation of urban areas by ecological type have been developed, but the demarcation of urban areas by ecological perception is thus far dependent on artificial land us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factors that account for the urban area ecosystems by surveying a variety of ecosystem factors. By land use type, the urban area of Gangdong District, Seoul was defined. Then ecological factors in each polygon were surveyed. Ecological factors are associated with energy use(building coverage ratio, floor area ratio and ground temperature), water circulation(biotope area factors and impermeable pave ratio) and biological diversity(bird appearance index and green area ratio).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factor was analyzed. The results indicate that urban ground temperature is divided into three groups(high, middle and low) by the biotope area factor. The bird population is divided into two groups(abundant and scarce) by the green area ratio. Therefore, demarcating the urban areas by ecological type is applicable to the biotope area factor and green area ratio.

도시의 생태적 유형화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시가화지역에서 행해지는 생태적 측면의 공간구분은 지금까지 인위적 토지이용 특성에 의존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시가화지역을 대상으로 도시생태계 특성을 대표하는 요인들을 조사하여 이들 요인간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도시생태계 특성을 설명할 수 있는 요인을 찾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도시를 토지이용유형에 의해 구분한 후 공간별 생태적 속성을 조사하였다. 생태적 속성으로는 에너지 이용측면에서 건폐율과 용적율, 지표면온도를, 물순환 측면에서 생태면적율과 불투수포장율을, 생물다양성 측면에서 야생조류 출현현황과 녹지율을 각각 조사하여 이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도시 지표면온도는 생태면적율에 의해 온도가 높은 지역과 낮은 지역, 중간인 지역으로 구분되었으며, 야생조류 출현개체수는 녹지율을 기준으로 출현개체가 많은 지역과 적은 지역으로 구분되었다. 이에 시가화지역을 대상으로 한 생태적 측면에서의 유형화는 생태면적율과 녹지율의 적용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양시(2006) 친환경 도시건설(경관생태관리.생태지도 작성)에 관한 연구
  2. 곽정인(2007) 도심 시가화지역 야생조류 서식기반 조성을 위한 토지이용구조와 녹지구조 개선방안 연구 - 서울특별시 강동구를 대상으로 -.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권전오(2003) 환경친화적 택지개발계획 수립을 위한 환경생태평가기법 활용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기경석(2006) 대도시 외곽지역 논경작지의 토지이용 및 피복변화에 따른 온도변화모형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정호(2005) 도시생태계 특성을 고려한 생태적 토지이용계획 기법 연구 -경기도 하남시를 사례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김정호, 한봉호(2006) 도시생태계 구조를 고려한 비오톱 유형 구분. 한국조경학회지 34(2): 1-17
  7. 나정화(1999) 도시비오톱의 유형분류 및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3(2): 129-142
  8. 나정화, 이석철, 사공정희, 류연수(2001) 생물종 및 서식지 보전의 관점에서 본 대도시의 비오톱 구조분석 -대구광역시 수성구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28(6): 29-51
  9. 서울특별시(1999) 도시계획 용어집
  10. 서울특별시(2000) 도시생태개념의 도시계획에의 적용을 위한 서울시 비오톱 현황조사 및 생태도시 조성지침 수립 -1차년도 보고서-
  11. 서울특별시(2006) 2006 서울통계연보
  12. 서울특별시 도시계획국(2004) 생태면적율 도시계획 적용편람
  13. 성남시(2004) 비오톱 등급평가 및 도시생태현황도 GIS 구축
  14. 시흥시(2007) 시흥시 자연환경조사 및 도시생태현황도 제작 학술용역
  15. 원주시(2007) 원주시 도시생태현황지도(비오톱지도) 작성 용역(1단계) 과업지시서
  16. 채진확, 김정수, 구태회(2004) 서식지 특성에 따른 조류군집의 차이. 경희대학교 환경연구논문집 11: 1-7
  17. 최인태(2008) 도시개발사업의 생태계 영향 저감 및 보상을 위한 자연침해조정 기법 연구 -인천광역시 서창2지구 택지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홍석환(2003) 서울 강남지역 아파트단지의 녹지면적에 따른 온도분포 모형.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Berlekamp, L. R. and N. Pranzas(1986) Methode zur Erfassung der Bodenversiegelung von stüdtischen Wohngebieten. Natur und Landschaft 61(3): 92-95
  20. Cairns, J.(1988) Restoration ecology: the new frontier. Pages2-11 in J. Cairns, ed. Rehabilitating damaged ecosystems. CRC Press
  21. Colin J. B., N. D. Burgess and D. A. Hill(1992) Territory Mapping Methods in Bird census techniques. Academic press Inc., London
  22. Cortner, H. J., M. G. Wallace, S. Burke and M. A. Moote(1998) Institutions matter: the need to address the institutional challenges of ecosystem management.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40(1): 159-166 https://doi.org/10.1016/S0169-2046(97)00108-4
  23. Drachenfels, O. V.(1994) Kartierschlussel fur Biotoptypen in Niedersachen unter besonderer Berucksichtigung der nach 28a und 28b NNatG geschutzten Biotope, Stand September 1994
  24. Freeman, C. and O. Buck(2003) Development of an ecological mapping methodology for urban areas in New Zealand.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40: 21-30 https://doi.org/10.1016/S0169-2046(97)00095-9
  25. Freeman, C.(1999)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and the conservation of urban biodiversity. Urban Policy Res 17(1): 51-61 https://doi.org/10.1080/08111149908727790
  26. Irish, R. R.(2000) Landsat 7 science data user's handbook.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27. Lofvenhaft, K., S. Runborg and P. Sjogren-Gulve(2004) Biotope patterns and amphibian distribution as assessment tools in urban landscape planning.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68: 403-427 https://doi.org/10.1016/S0169-2046(03)00154-3
  28. Slocombe, D. S.(1998) Defining goals and criteria for ecosystem-based management. Environmental Management 22(4): 483-493 https://doi.org/10.1007/s002679900121
  29. Starfinger, V. and H. Sukopp(1994) Assessment of urban biotopes for nature conservation. In: Edward A. C. and N. V. L. Hubert(ed.), Landscape planning and ecological networks. Elservier, Amsterd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