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the Effects of Muscle Strength Exercise on Physical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in the Frail Elderly

근력강화운동을 통한 허약노인의 신체적 기능 및 삶의 질 향상에 대한 분석

  • SunWoo, Duk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 Lee, Sue-Hyung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 Park, Ji-Sun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 Bae, Sang-Soo (Health Services Research Center, Hallym University) ;
  • Cho, Yoo-Hyang (Department of Nursing, Chodang University) ;
  • Kim, Chun-Bae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Yonsei University Wonju, College of Medicine) ;
  • Koh, Kwang-Wook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Kosi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Kim, Yeon-A (Ministry of Health & Welfare)
  • 선우덕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 이수형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 박지선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 배상수 (한림대학교 사회의학연구소) ;
  • 조유향 (초당대학교 간호학과) ;
  • 김춘배 (연세대학교 원주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고광욱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김연아 (보건복지부)
  • Published : 2008.03.30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uscle strength exercise on physical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in the frail elderly. Methods: Subjects were 401 frail elderly people selected by the screening tool developed by Japan department of Health, Labor and welfare. The program was carried out for twice a week for 12 weeks. Data were analyzed with paired t-test and t-test using STATA program. Results: 1) Muscle strength exercise for the frail elderl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improving grip strength, single leg stand, TUG(Time up to go) and quality of life. 2) The grip strength and single leg stand indicator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between the over 75 years old and the under 75 years old. However, TUG and quality of life indicators didn'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between the over 75 years old and the under 75 years old. Conclusions: The muscle strength exercise for the frail elderly people was very effective on improving grip strength, single leg stand, TUG and quality of life and especially, it was more effective in the over 75 years old than in the under 75 years old.

Keywords

References

  1. 고광욱. 지역사회 노인운동프로그램의 신체적 효과.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학술지 2005;20 (1):30-37
  2. 김경식. 여가활동으로서의 근력강화운동 참가자 노인의 체력, 여가만족 및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리서치 2004;15(2):613-623
  3. 김이순, 정인숙, 정향미. 여성노인에 대한 스트레칭운동프로그램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2004; 34(1):123-131
  4. 김종화, 박영숙. 유산소 리듬 운동프로그램이 노인의 체력, 자기효능감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한국보건간호학회 2000;14(1):12-25
  5. 김춘길. 운동 프로그램이 양로원 노인의 체력, 자기 효능 일상생활 활동 능력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카톨릭 대학 의학부 논문집 1995;48(4):201-214
  6. 김현수. 고령자의 활동체력과 운동프로그램 적용. 2000년도 춘계학술대회지 2000년
  7. 김현수 외 5명. 여성고령자의 체력에 관한 연구. 체육과학연구 1996;7(3):29-40
  8. 김현숙. 점진적 근력 운동이 노인의 활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2000a;7(3) :1-15
  9. 김현숙. 저 강도의 점진적 근력 운동이 노인의 활동과 기능 수행에 미치는 효과[박사학위논문]. 서울: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0b
  10. 김희자. 시설노인의 근력강화 운동이 근력, 근지구력, 일상생활기능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박사학위논문]. 서울: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4
  11. 김희자, 홍여신. 노인의 근력강화 운동이 일상생활 기능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지역사회간호학회지 1995;6(1):55-73
  12. 민경진, 김한수. 가정운동 프로그램이 노인의 보행증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건협회학회지 2002;28(2):212-223
  13. 민춘기. 노인의 운동프로그램이 건강관련 체력에 미치는 효과. 충남대학교 체욕과학연구지 2003;21(0):95-103
  14. 박은영, 이종하. 복합운동프로그램이 노인의 낙상관련 체력에 미치는 효과. 운동과학 2005; 14(2):181-192
  15. 변영희. 시니어로빅 프로그램이 노인의 신체적기능과 낙상에 미치는 효과[박사학위논문]. 서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6
  16. 서울대학교 체육연구소. 1991 국민체력향상프로그램: 노인편. 서울: 서울대학교 체육연구소, 1991
  17. 신윤희, 최영희. 걷기운동 프로그램이 노인 여성의 심폐기능, 유연성에 미치는 효과. 간호학회지 1996;26(2):372-386
  18. 신주희, 박종성, 진영수, 김용권. 선무운동이 심신허약 노인의 신체기능과 생활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스포츠의학회지 2002;20(1):51-56
  19. 이미라. 근력강화 운동프로그램이 퇴행성 슬관절염대상자의 근력, 통증, 우울, 자기효능감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대한간호학회지 1996;26(3):556-575
  20. 이숙자. 노인의 건강증진을 위한 율동적 운동프로그램의 적용효과. 대한간호학회지 2000;30(3):776-790
  21. 이철인, 박래준. 근력증간 운동프로그램이 시설 노인의 일상생활 동작 개선에 미치는 효과. 대한물리치료학회지 2004;16(4):775-789
  22. 이현준. 장․노년의 체격과 체력 및 호흡순화기능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1990;29: 331-336
  23. 전미영. 통합적 건강관리 프로그램이 노인의 건강증진에 미치는 효과. 한국노년학 2003;23 (3):1-13
  24. 최선하. 규칙적인 운동프로그램이 경로당 이용 노인의 건강에 미치는 효과. 한국보건간호학회지 1997;11(2):38-56
  25. 전선혜, 이광욱. 새천년 건강체조가 노인들의 정적․동적 평형성과 자세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리서치 2007;18(2):115-126
  26. 최종환, 김종성, 조경욱, 김태완, 김현주. 12주간의 운동프로그램이 노인의 근력과 근지구력에 미치는 영향. 평생체육연구소 논문집 2000; 12:27-36
  27. 통계청. 2007 고령자통계. 서울:통계청, 2007
  28. 현경선 등 5명. 노인건강증진 프로그램이 경노당을 이용하는 여성노인의 체력과 심리건강에 미치는 효과. 대한보건연구 2006;32(1): 26-34
  29. 杉山みち子, 介護豫防緊急對策室 榮養改善マニュアル, 平成18年, 2006
  30. 東京都老人總合硏究所, 介護豫防マニュアル, 2006
  31. 小林和也, 健康と運動スポーツ報告書, さがみはら都市みらい研究所, 平成17年度専門研究
  32. 日本高知市保健所(健康づくり課), いきいき百歲體操マニュアル, 2007
  33. Buchner, D.M. & Wagner, E.H. Preventing frail health. Clinics in Geriatric Medicine 1992;8(1):1-17 https://doi.org/10.1016/S0749-0690(18)30494-4
  34. Fitzgerald P.L., Exercise for the Elderly. Medical Clinics North America 1985; 69:189-196 https://doi.org/10.1016/S0025-7125(16)31065-3
  35. Fried, PF. et al. Frailty in older adults: evidence for a phenotype. Journal of Gerontology: Medical Sciences 2001; 56(3):146-157 https://doi.org/10.1093/gerona/56.3.M146
  36. Gill, T.M., Gottschalk, M., Peduzzi, P.N., A program to prevent functional decline in physically frail, elderly persons who live at home.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2002;347(14):1068-1074 https://doi.org/10.1056/NEJMoa020423
  37. Growing stronger: Strength training for older adults, http://www.cdc.gov/nccdphp/dnpa/physical/growing_stronger.2008
  38. OECD, Caring for frail elderly people, Social Policy Studies, 1996
  39. Shepherd R. Physical Activity and Aging. 2nd ed. Rockville, Maryland: Aspen Publishers. 1987
  40. Smith E, & Serfass R. Exercise and Aging: The Scientific Basis. Hillside, New Jerdey: Enslow Publishers. 1981
  41. US National Institute on Aging, 2007 Exercise : A Guide from the National Institute on Aging,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es, 2007
  42. 介護予防に関する各研究班マニュアルについて, http://www.mhlw.go.jp/topics/kaigo/hoken/yobou.html.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