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Agricultural By-Product Feeds on Growth and Carcass Characteristics of Korean Native Steer

농산 혼합 부산물 첨가급여가 송아지 질병 및 거세 한우 성장 및 도체특성에 미치는 영향

  • Lee, Sang-Moo (Department of Animal Science, Sang-ju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2008.03.30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agricultural by-product feed(persimmon-pell+barley bran+fermented rice bran+activated carbon) on calves disease, growth and carcass characteristics of Korean native steer. A total of twenty Korean native steer were allocated into four feeding group and assigned to four dietary treatments: Control(normal concentrate as a basal diet), T1(1% addition of by-product feeds), T2(3% addition of by-product feeds) and T3(5% addition of by-product feeds). The calf diarrhea was the highest at Control, while T3 was the lowest. The breath disease was the lowest at T2, occurrence with diarrhea and breath disease was the highest at Control. The daily gain was orderly ranked as T2(0.76kg)>T1(0.7kg), T3(0.70kg)>Control(0.67kg). The back fat thickness was orderly ranked as T2>T3>Control>T1, eye muscle area was orderly ranked as T3>T1>Control>T2. Grade of meat quantity was the highest at T1(2.3), but fat color, firmness and maturity tends to have a similar result. The marbling score and quality grade of T2 were the highest at 5.0 and 3.5, respectively. Based on the study, agricultural by-product feeds are able to many used for various purposes at disease reduce, increment of meat quantity and improvement of quality grade.

본 실험은 농산부산물인 감껍질, 맥강, 발효미강 및 활성탄을 혼합하여 만든 첨가 사료가 거세 한우의 질병, 성장 및 도체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시험한 결과, 송아지 설사는 무처리구(Control)가 가장 발병율이 높았던 반면 첨가량이 가장 높은 T3구(5% 첨가구)가 가장 낮은 발병율을 보였다. 호흡기 질병 발병율은 3% 첨가구(T2)에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호흡기와 설사 동시 발생율은 Control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일당 증체량은 T2(0.76kg)>T1(0.7kg), T3(0.70)>Control구(0.67kg)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등지방 두께는 T2>T3>Control>T1구 순으로 등심단면적은 T3>T1>Control>T2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육량등급은 1% 첨가구(T1)가 2.3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지방색, 조직감, 성숙도에서는 상호 처리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근내지방 및 육질 등급은 T2구에서 각각 5.0 및 3.5로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특히 육색은 농산부산물 사료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났다. 위의 결과로 볼 때 농산부산물 혼합 사료는 질병발생 억제, 육량증가 및 육질개선에 다양한 용도로 사용 가능한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명국, 홍준산, 김윤학, 이홍구, 이보균, 김준식, 최윤재. 2001. 사료첨가제로서 황토와 올리고당이 홀스타인 어린 송아지의 성장 및 항병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동물과학회지. 43(4):497-506
  2. 김영종, 김재희, 김진규, 차희식, 김기식, 전실경, 이상무, 김진일, 오진식, 김용준, 황한신, 김시훈. 2003. 곶감 부산물 사료화 및 이용 기술개발. 현장애로기술개발사업 연구보고서. pp. 1-23
  3. 고영두, 안병관, 류영우. 1991. 옥수수-계분 Silage 제조 시험. III. Silage의 호기적 변패. 한국축산학회지. 33(2):130-137
  4. 류영우. 1995. 수수-계분 Silage의 제조와 사료적 가치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박사학위 청구 논문. pp. 26-83
  5. 류영우. 1996. 깻묵, 사과박을 이용한 발효사료로 한우 증체 및 환경오염방지 기술개발. 농촌진흥청. 내고장 새기술 개발사업보고서. pp 4-36
  6. 류영우, 고영두, 이상무, 김역직. 1997. 한우육의 성분조성과 사료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I. 부산물 silage 급여가 한우육의 일반성분 및 무기물 조성에 미치는 영향. 상주산업대학교 논문집. 제 7집. pp. 227-234
  7. 류영우, 고영두, 이상무. 1998a. 사과박, 참깨박 및 계분 혼합 비율이 볏짚 사일리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축산학회지. 40(3):245-254
  8. 류영우, 고영두, 이상무. 1998b. 사과박, 참깨박 및 계분 혼합 볏짚 Silage 급여가 한우의 육성율, 채식행동 및 도체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축산학회지. 40(3):235-244
  9. 맹원재, 오세정, 최병익. 볏짚의 사료가치 개선에 관한 연구. 1979. I. 알칼리 처리가 통일볏짚의 화학적 성분과 in vitro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 한국축산학회지. 21(4)343-349
  10. 맹원재, 윤광로, 신형태, 김대진. 1994. 사료분석 실험. 선진문화사. pp. 265-319
  11. 박재현, 송영한. 1997. 부존자원으로서의 한약재 부산물이 육계에 대한 사료가치평가. 한국사료영양학회지. 21(1):59-64
  12. 박완서. 1997. 숯과 목초를 이용한 환경보전농업. 우리농업연구회. p. 14
  13. 배동호, 신정남, 고기환. 1994. 사과박을 포함한 완전혼합사료의 착유우에 대한 효과. 한국축산학회지 16(4):295-302
  14. 손영석, 김수홍, 홍성호, 이성호. 1998. Bentonite 와 맥반석의 급여가 반추위내 완충능력과 발효 양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낙농학회지. 21:21
  15. 이남형, 툴시 파택. 1987. 당밀을 첨가하여 제조한 볏짚-계분 사일레지가 면양에서의 소화율 및 기호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축산학회지. 29 (1):37-43
  16. 이상선, 김춘수. 1979. 보리짚의 사료가치 증진에 관한 연구. 제5보. 계분첨가의 효과 및 Silage의 숙성효과. 한국축산학회지. 21(4):363-369
  17. 축산기술연구소. 1998. 선진낙농기술. 농촌진흥청 축산기술연구소. pp. 183-184
  18. 축산물등급판정소. 2001. 축산물 등급제와 한우 고급육 생산. pp. 91-104
  19. AOAC. 1991. Official method of analysis.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20. Braund, D.G., B.E. Langlois, D.J. Conner and E.E. Moore. 1970. Feeding phenobarbital and activated carbon to accelerate dieldrin residue removal in a contaminated dairy herd. Proc. Rep. Ky. Agric. Exp. Stn. Lexington. Ky. 199:8-9
  21. Buck, W.B. and P.M. Bratich. 1985. Experimental studies with activated charcoals and oils in preventing toxicoses. Prco. Annu. Meet. Am. Assoc. Vet. 28th. pp. 193-200
  22. Buck, W.B. and P.M. Bratich. 1986. Activated charcoal : Preventing unnecessary death by poisoning. Vet. Med. 81(1):73-77
  23. Colenbrander, V.E., L.D. Muller and M.D. Cunningham. 1971. Effect of added urea and ammmonium poly phophate on fermentation of corn stover silage. J. Anim. Sci. 33:1097 https://doi.org/10.2527/jas1971.3351097x
  24. Harmon, B.W., J.P. Fontenot and K.E. Webb, Jr. 1975. Ensiled broiler litter and corn gorage. I.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J. Anim. Sci. 40:144 https://doi.org/10.2527/jas1975.401144x
  25. Kornegay, E.T., Z. Wang, C.M. Wood and M.D. Lindemann. 1997. Supplemental chromium picolinate influences nitrogen balance, dry matter digestibility, and carcass traits in growing: finishing pigs. J. Animal Sci. 75:1319 https://doi.org/10.2527/1997.7551319x
  26. SAS. 2003. SAS user's guide. statistics, version 9.1. SAS institute Inc. Crary. NC. USA

Cited by

  1. Effects of Fermented feed with Agricultural by-products on the Growth Performance and Nutrients Utilization in Fattening Korean Black Goats vol.32, pp.1, 2012, https://doi.org/10.5333/KGFS.2012.32.1.49
  2. Effects of Dietary of By Products for Seaweed (Eucheuma spinosum) Ethanol Production process on growth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Immune Activity of Broiler Chicken vol.40, pp.2, 2013, https://doi.org/10.5536/KJPS.2013.40.2.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