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3D GIS System for the Visualization of Flood Inundation Area

홍수범람지역 가시화를 위한 3차원 GIS 시스템 개발

  • 이근상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 ;
  • 정일영 ((주)웹솔루스 시스템사업부)
  • Received : 2008.07.21
  • Accepted : 2008.08.26
  • Published : 2008.09.30

Abstract

Recently, flood damages have increased with heavy rainfall and typhoon influences, and it requires that visualization information to the flood inundation area of downstream in dam discharge. This study developed 3D GIS system that can visualize flood inundation area for Namgang Dam downstream. First, DEMs extracted from NGIS digital maps and IKONOS satellite images were optimized to mount in iWorld engine using TextureMaker and HeightMaker modules. And flood inundation area of downstream could be efficiently extracted with real-time flooding water level using Coordinate Operation System for Flood control In Multi-reservoir (COSFIM) and Flood Wave routing model (FLDWAV) in river cross section. This visualization information of flood inundation area can be used to examine flood weakness district needed in real time Dam operation and be applied to establish the rapid flood disaster countermeasures efficiently.

최근 집중호우나 태풍에 의한 홍수피해가 급증하면서, 댐방류시 하류하천의 홍수범람지역에 대한 가시화 정보가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남강댐 하류지역을 대상으로 홍수범람지역을 가시화할 수 있는 3차원 GIS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먼저, TextureMaker와 HeightMaker 모듈을 이용하여 NGIS 수치지형도에서 추출한 DEM과 IKONOS 위성영상을 iWorld 엔진에 탑재 가능한 형태로 최적화 하였으며, 홍수분석모형(COSFIM)과 FLDWAV 수리모델을 이용하여 예측한 하천 횡단측선별 실시간 홍수위정보를 기반으로 댐하류 지역에 대한 홍수범람지역을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홍수범람 가시화 정보는 실시간 댐운영에 필요한 침수취약지역 파악 및 신속한 홍수재해 대처계획 수립에도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한국수자원공사(2007) 낙동강수계 댐군 홍수조절 연계운영시스템 구축, 한국수자원공사
  2. 김상호, 박민지, 강수만, 김성준(2006) GIS 기반의 HEC-HMS를 이용한 진위천 유역의 강우-유출모형 구성, 한국지리정보학회지, 한국지리정보학회, 제9권, 제4호, pp. 119-128
  3. 박미정, 이승현, 최진용, 김한중, 김상법(2008) Web GIS 기반의 3차원 농촌경관 시뮬레이션, 한국농촌계획학회지, 한국논총계획학회, 제14권, 제1호, pp. 51-58
  4. 심명필, 권오익, 김경탁(1998) 평화의 댐과 연계한 화천댐의 홍수조절효과 - 화천댐의 홍수조절능력 검토,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18권, 제II-2호, pp. 163-172
  5. 이동헌, 홍성언, 박수홍(2005) 3차원 기하모델에 대한 공간 관계 연산 설계, 한국GIS학회지, 한국GIS학회. 제13권, 제2호, pp. 119-128
  6. 정인주, 박상주, 김상용(2003) GIS 기반의 홍수피해 감소를 위한 하천관리시스템 개발,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논문집,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제22권, 제3호, pp. 35-40
  7. 채효석, 김광은, 김성준, 김영섭, 이규성, 조기성, 조명희(2000) 환경원격탐사, 시그마프레스
  8. 최혁준, 한건연, 김광섭(2006) 위성정보에 의한 강우예측과 홍수 유출 및 범람 연계 해석(II) : 적용 및 분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6권, 제6B호, pp. 605-612
  9. 한승희(2007) 유비쿼터스 행정중심복합도시 기반조성을 위한 고해상 3D 지형모델링,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7권, 제6D호, pp. 775-782
  10. Andrea Tonini, Enrico Guastaldi, Giovanni Massa, and Paolo Conti (2008) 3D geo-mapping based on surface data for preliminary study of underground works: A case study in Val Topina (Central Italy), Engineering Geology, Vol. 99, pp. 61-69 https://doi.org/10.1016/j.enggeo.2008.02.010
  11. Sabins, F. F. (1987) Remote Sensing Principles and Interpretation, 2nd ed., San Francisco : W. H. Freeman, pp. 251-252
  12. Venkatesh Merwade, Aaron Cook, and Julie Coonrod (2008) GIS techniques for creating river terrain models for hydrodynamic modeling and flood inundation mapping, Environmental Modelling & Software, Vol. 23, pp. 1300-1311 https://doi.org/10.1016/j.envsoft.2008.03.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