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Algorithm for Pedestrian in Shopping Area

도심 쇼핑을 위한 보행 경로탐색알고리즘 개발

  • 이종언 (연세대학교 도시공학과 교통연구실) ;
  • 손봉수 (연세대학교 도시공학과) ;
  • 김형진 (연세대학교 도시공학과)
  • Received : 2007.07.25
  • Accepted : 2008.01.02
  • Published : 2008.03.31

Abstract

A variety of activity happens around the sidewalk in the city. Particularly, a large variety of activity happens in shopping area, but it causes an obstruction of economical revitalization since the pedestrians require time and cost to find what they want. So, this study will develop the path searching method to minimize the economical loss of shoppers by providing the significant path and supporting the walking movement. Firstly, consider existing network expression techniques and approach three points which are physical and environmental factor, the recognition of the pedestrians' space when changing the direction, and the recognition of restriction of vision and accessibility. Try to design the network DB and simulate the algorithm. As a result, it is now possible to do the path searching that considers variety of recognition factors and show the method how to make the path-searching algorithm for pedestrian.

도심 내의 보행공간은 도시민의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이다. 상업가로는 그 중에서도 도시 활동이 가장 활발한 장소이지만 이용자가 원하는 물건을 찾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비용을 지출하여야 하며 이는 도심의 경제적 활성화를 저해하는 요소로서 작용될 수 있다. 이에 상업가로를 이용하는 보행자에게 실시간으로 의미있는 경로를 제공하고 보행 이동을 보조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우선 기존의 네트워크 표현기법을 고찰하였고 물리환경적 측면, 방향전환에 따른 보행자의 공간에 대한 인지도, 시야와 접근성의 제약에 의한 인지도 3가지 관점으로 보행자의 공간 인지를 구분하여 네트워크에 반영하고자 노력하였고 이를 시뮬레이션 하였다. 그 결과 다양한 인지요소들을 반영한 경로탐색이 가능하였으며 적절한 경로를 산출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영욱(2000) 공간형태와 공간인식의 상호관련성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대한건축학회, 제144호, pp. 37-44
  2. 김익기(1998) ATIS를 위한 수정형 덩굴망 최단경로 탐색 알고리듬의 개발,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제16권 제2호, pp. 157-167
  3. 문태헌, 한수철, 성한욱, 정경석(2006) 대학촌 가로의 보행환경 개선을 위한 보행자 멀티에이전트 모델링, 한국지리정보학회지, 한국지리정보학회, 제9권 제2호, pp. 194-205
  4. 서준원, 안건혁(2001) 상업가로의 활동 특성에 따른 가로환경 요소에 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한국도시설계학회, pp. 94-102
  5. 양동양(1988) 도시 주거단지계획, 기문당
  6. 윤용우, 김영욱, 박영기(2005) 물리적인 거리와 공간깊이가 공간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대한건축학회, 제199호, pp. 77-84
  7. 윤효진, 우희집(2001) 도심상업지역에 있어서의 보행환경에 따른 보행인의 인지특성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pp. 797-808
  8. 임강원, 임용택(2003) 교통망 분석론, 서울대 출판부
  9. 이승환, 최기주, 김원길(1996), 도시부 ATIS 효율적 적용을 위한 탐색영역기법 및 양방향 탐색 알고리듬의 구현,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제14권 제3호, pp. 45-59
  10. 최기주, 장원재(1998), 복합 교통망에서의 최적경로산정 모형개발,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제16권 제4호, pp. 135-145
  11. 최재필, 구본옥(2001) 도시 가로의 물리적 배치에 따른 상업 시설의 생성과 확산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대한건축학회, 제152호, pp. 127-136
  12. Michael Battyo 2인(1998) Local Movement: Agent-Based Models of Pedestrian Flow, CASA
  13. Michael Batty (2002) Agent-Based Pedestrian Modeling, CASA
  14. Thorsten Schelhorno 3 인 (1999) Streets: An Agent-Based Pedestrian Model, CAS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