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Site Classification System and Modification of Site Coefficients in Korea Based on Mean Shear Wave Velocity of Soil and Depth to Bedrock

기반암 깊이와 토층 평균 전단파속도를 이용한 국내 지반분류 방법 및 지반 증폭계수 개선

  • 김동수 (한국과학기술원 건설 및 환경공학과) ;
  • 이세현 (한국과학기술원 건설 및 환경공학과) ;
  • 윤종구 (한국유지관리(주) 전략기획실)
  • Received : 2007.11.14
  • Accepted : 2007.12.22
  • Published : 2008.01.31

Abstract

Site response analyses were performed based on equivalent linear technique using the local geologic and dynamic site characteristics, which include soil profiles, shear wave velocity profiles and depth to bedrock for 125 sites collected in Korean Peninsula. From the results of site response analyses, 2-parameters site classification system based on the combination of mean shear wave velocity of soil and depth to bedrock was newly recommended for regions of shallow bedrock depth in Korea. First, as the borders of bedrock depth (H) for site classification were determined as 10m and 20m, the soil sites were divided into 3 classes as $H_1$, $H_2$ and $H_3$ sites. And then, the 3 site classes were subdivided into 7 classes based on the mean shear wave velocity of soil ($V_{s,soil}$). The feasibility of new site classification system was verified and the representative site coefficients ($F_a$ and $F_v$) and design response spectrum were suggested by analyzing uniform trend and dispersion of site coefficients for each site class. The suggested site coefficients and the regression curves present the nonlinear characteristics of soils according to the change of rock outcrop acceleration with uniform trend effectively. From the comparison between the mean values of response spectrum which was acquired from the site response analysis and the suggested design response spectrum, there was a little difference in some of site classes and it was verified to adjust the integration interval to make it more suitable for the site condition in Korea.

본 논문에서는 국내 125개 지반에 대한 지층 구성, 전단파속도 주상도, 기반암 깊이 등을 기존 자료의 수집 및 부분 시험 수행을 통해 확보하여 지진응답해석을 수행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기반암이 얕아 대부분의 지반조사가 기반암까지 이루어지는 국내 지반조건에 적합하도록 기반암 깊이와 토층 평균 전단파속도를 동시에 고려하는 2-매개변수 지반분류 방법을 새롭게 제안하였다. 우선, 기반암 깊이(H)에 대해 10m와 20m를 경계 값으로 설정하여 $H_1$ 지반(H<10m), $H_2$ 지반($10m{\leq}H<20m$) 그리고 $H_3$ 지반($H{\geq}20m$)으로 분류하고 이후, 토층 평균 전단파속도($V_{s,soil}$)를 추가 변수로 하여 총 7개의 지반그룹으로 세분화 하였다. 또한 각 지반그룹에 대하여, 지진응답해석 결과로부터 획득한 지반 증폭계수의 경향성과 그 분산정도를 분석하여 새로운 지반분류 방법의 타당성을 입증하고, 각 지반그룹별 대표 지반 증폭계수 및 설계응답스펙트럼도 함께 제안하였다. 제안된 지반 증폭계수와 이를 대표하는 추세선은 암반노두 가속도의 변화에 따른 지반의 비선형성을 일정한 경향성과 함께 효율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또한 지진응답해석으로부터 획득한 스펙트럴 가속도의 평균값과 제안된 설계응답스펙트럼을 비교한 결과, 일부 지반그룹에서 차이가 발생하였고, 추후 지반 증폭계수 계산을 위한 적분구간을 국내 지반조건에 적합하도록 개선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1997) 내진설계기준연구(II) - 내진설계성능기준과 경제성 평가, 한국지진공학회
  2. 김동수, 추연욱(2001) 공진주시험을 이용한 국내 비점성토 지반의 동적변형특성,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한국지반공학회, 제17권, 제5호, pp. 115-128
  3. 김성균, 이정모, 김준경(2001) 한반도에서 발생가능한 최대지진, 지질학회지, 대한지질공학회, 제37권, 제1호, pp. 107-114
  4. 선창국, 정충기, 김동수(2005) 국내 내륙의 설계 지반 운동 결정을 위한 지반 증폭계수 및 지반분류 체계 제안,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한국지반공학회, 제21권, 제6호, pp. 101-115
  5. 선창국, 한진태, 최정인, 김기석, 김명모(2007) 지반응답해석 Round Robin Test의 입력 지진파 및 물성에 관한 고찰, 2007 가을 정기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지반공학회, pp. 266-292
  6. 윤종구, 김동수, 방은석(2006a) 국내 지반특성에 적합한 지반분류 방법 및 설계응답스펙트럼 개선에 대한 연구 (I) - 국내 내진설계기준의 문제점 분석,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한국지진공학회, 제10권, 제2호, pp. 39-50 https://doi.org/10.5000/EESK.2006.10.2.039
  7. 윤종구, 김동수, 방은석(2006b) 국내 지반특성에 적합한 지반분류 방법 및 설계응답스펙트럼 개선에 대한 연구 (II) - 지반분류 개선방법,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한국지진공학회, 제10권, 제2호, pp. 51-62 https://doi.org/10.5000/EESK.2006.10.2.051
  8. 윤종구, 김동수, 방은석(2006c) 국내 지반특성에 적합한 지반분류 방법 및 설계응답스펙트럼 개선에 대한 연구 (III) - 설계응답스펙트럼 개선방법,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한국지진공학회, 제10권, 제2호, pp. 63-71 https://doi.org/10.5000/EESK.2006.10.2.063
  9. BSSC (1997) NEHRP Recommended Provisions for Seismic Regulations for New Buildings and Other Structures, Part 1- Provisions, 1997 Edition, Building Seismic Safety Council, Washington D.C
  10. Dobry, R. and Martin, G. (1999) Development of Site-Dependent Ratio of Elastic Response Spectra (RRS), Proceeding of the Workshop on Earthquake Site Response and Seismic Code Provisions.
  11. Dobry, R., Ramos, R., and Power, Maurice S. (1998) Site Factors and Site Categories in Seismic Codes, Technical Report MCEER-99-0010, Multidisciplinary Center for Earthquake Engineering Research (MCEER), Buffalo, New York
  12. ICBO (1997) 1997 Uniform Building Code, Volume 2-Structural Engineering Design Provisions, International Conference of Building Officials, California
  13. Idriss, I.M. and Sun, J.I. (1992) User's manual for SHAKE91 : a computer program for conducting equivalent linear seismic response analysis of horizontally layered soil deposits", University of California, Davis, California
  14. Pacific Earthquake Engineering Research Center (PEER), http://peer.berkeley.edu/smcat/search.html
  15. Schnabel, P.B., Lysmer, J., and Seed, H.B. (1972) SHAKE : A Computer Program for Earthquake Response Analysis of Horizontally Layered Sites, Report EERC 72-12, Earthquake Engineering Research Center,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Califor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