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Computer Application Ability Gap of the Elementary Student

초등학생의 컴퓨터 활용능력 격차에 관한 연구

  • 마대성 (광주교육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 김동완 (화순제일초등학교) ;
  • 김정랑 (광주교육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 김철 (광주교육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 박선주 (광주교육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 김찬 (광주남초등학교)
  • Published : 2008.06.30

Abstract

To cope actively in the knowledge based society, we deepen a specialty territory and magnify this by applying Information Communications Technology(ICT) effectively. It needs the ability that it will be able to solve the problem from daily life effectively. Accordingly Ministry of Education & Resource Development of Korea make an effort for ICT application education. In spite of this effort, digital divide problem is serious socially and the computer subject is not adopted with formal subject from school.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omputer application ability gap and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computer education by analyzing the difference in computer application ability between the students who take a computer class and who do not take a class. Also by comparing the difference of computer application ability between the city and rural student, we tried to find a solution to reduce the regional disparity.

지식기반사회에서 능동적으로 대처하기위해 정보통신기술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자신의 전문 영역을 확대 심화하고, 일상생활에서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필요로 하고 있다. 따라서 교육인적자원부는 ICT 활용교육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사회적으로 정보격차의 문제가 심각하고 학교 현장에서는 컴퓨터 교과가 정식과목으로 채택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 수업을 받고 있는 학생과 받고 있지 않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초등학생의 컴퓨터 활용능력 격차분석을 하고 컴퓨터 교육의 중요성을 알아보았다. 또한 도시와 농촌 학생들 간의 컴퓨터 활용능력 격차를 비교해 봄으로써 지역 간 격차를 줄이는 방안에 대해서도 모색해 보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