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ographical Structure of View Point in the Landscape Experience on Mountain in Yangsan City

경관체함이 발생하는 조망점의 지리구조에 관한 연구;양산시 소재 산지를 대상으로

  • Kang, Young-Jo (Dept. of Urban Planning and Landscape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
  • Cha, Young-Chae (Dept. of Urban Planning and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Dong-A University) ;
  • Cha, Myeong-Sook (Dept. of Urban Planning and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Dong-A University)
  • 강영조 (동아대학교 조경학과) ;
  • 차영채 (동아대학교 대학원 도시계획 조경학과) ;
  • 차명숙 (동아대학교 대학원 도시계획 조경학과)
  • Published : 2008.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the visual characteristics and geographic structure in a landscape of mountains in Yangsan City. In order to carry out this study, 40 view points of 6 mountains in Yangsan City were selected to experience the mountainscape.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mountainscape of Yangsan City was confirmed from the view point to the object of view as ranging in middle distance reverse, the angle of elevation 11${\sim}13^{\circ}$ which give the impression of confronted to the mountain, and the horizontal angle 50${\sim}90^{\circ}$ which gives the impression of vastness. This shows that mountainscapes are perceived impressively when seeing the mountain with the meaning to feel the texture of the mountain as a confrontational relationship rather than a pictorial relationship. The geographic structure of the view point which occurs in scenes of impressive experience is classified into eight types and its characteristics are investigated. The first type is corridor, and it emerges in a long narrow linear structure made from the surrounding environment with buildings or street trees. The second is tunnel in which a vision and light hidden while passing underneath a bridge, high-level road, or inside a tunnel can be seen. Third, the maze is formed by the mountain shape. The hill spur emerges when the direction of traffic changes after turning the coner of a building or mountain edge. The hill ground emerges at the top of a hill slope. Next, parallel emerges when the observer and the mountain are in the same direction of process. Confrontation occurs when confronting an isolated mountain. Finally, the view point emerges when passing through major points such as a bridge or square and the boundary of a village or city. This research arranged visual conditions that create impressive mountainscapes. Geographic characteristics in terms of Types that make possible to experience mountainscapes were describ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ill be basic data collected for the management and preservation of mountainscapes and for landscape effect evaluation. Furthermore, this research suggests theoretical evidence to preserve and manage geographic structures that create view experiences as well as to preserve the landscape in terms of view points.

본 연구는 경관이 발생하는 조망점에서 체험되는 시각특성과 그 조망점에서의 경관체헝을 극적으로 이끄는 지리 구조를 양산시에 소재하고 있는 산지 경관의 사례 연구를 통하여 밝현 것이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양산시 소재 6개의 산을 대상으로 그 산을 체험할 수 있는 조망점을 40개소 선정하였다. 이들 조망점에서 파악된 산지경관 조망점에서 조망대상이 중거리역에 주로 분포하고 있으며, 시각크기는 산과 대변하는 느낌을 주는 앙각 11${\sim}13^{\circ}$, 시야 전체를 차지하고 광대한 인상을 주는 수평각 50${\sim}90^{\circ}$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양산시에서는 도시민이 산의 느낄 수 있는 거리대에서 대면적 관계로 산지경관을 지각하고 있다. 이어서 인상적인 경관체험을 유발하는 조망점의 지리 구조를 8개 의 유형으로 분류하였으며, 그 특성을 고찰하였다. 산이 건물이나 길가의 수목 등의 주변 환경이 만들어낸 좁고 긴 선형의 공간을 형성하는 회랑형이 7개소, 또 산을 교량 또는 고가도로의 하부나 터널을 지날 때 가려졌던 시야와 빛이 열리면서 체험하게 되는 터널형이 2개 소, 산세를 따라 굽이지는 길의 마지막에 나타나는 미로형이 4개소, 교차로에서 방향을 전환하거나 건물이나 산자락을 끼고 돌 때 동선방향이 바뀌는 순간 나타나는 모롱이형이 8개소, 오르막 경사의 마루에서 나타나는 고개마루형이 3개소, 산이 관찰자와 같은 진행방향으로 길게 누워져 있을 때 차창에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평행형이 4개소, 고립되어 있는 산파 형태인 대변형이 5개소, 마을, 도시 등의 지역 경제나 교량, 광장과 같은 주요 지점을 지날 때 나타났다. 산지 경관이 인상적으로 체험되기 위해서는 조망점뿐 아니라 그곳으로 다가가는 지리구조도 아울러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성과는 산지경관의 관리 및 보존과 경관자원도 등 경관영향평가의 기초자료를 수집하는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또 경관도로의 정비 등에도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명수(2001) 진경산수화 분석을 통한 산지구릉 경관 유형의 분류 및 해석. 한국조경학회지 29(4): 12-23
  2. 강영조(2003) 풍경에 다가서기. 서울: 효형출판
  3. 김기호(1996) 게쉬탈트(Gestalt)이론을 적용한 도시경관관리에 관한 연구. 국토도시계획학회지 31(3): 143-157
  4. 김종렬(2006) 조망경관 관리를 위한 건축물 높이 규제 방법에 관한 연구. 동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한수, 김기호(2004) 도로에서 본 산 조망경관의 관리기준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지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62-69
  6. 서울특별시(2000) 서울의 주요 산 경관풍치 보전계획. 서울: 서울특별시
  7. 심은경(2000) 도로에서 조망되는 부산항경관의 유형적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이호식(2005) 사전 경관영향평가를 위한 조망점 위치결정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임승빈, 신지훈(1996) 경관영향평가를 위한 물리적 지표설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11(10): 157-166
  10. 정정섭, 권상준, 조태동(2004) 시가지내 산악경관의 시점 높이별 조망특성. 한국환경과학회지 13(6): 497-503
  11. 한국조경학회(2004) 자연경관계획 및 관리. 서울: 문운당
  12. 篠原修(1982) 土木景観の計画. 東京: 技報堂
  13. 樋口忠彦(1975) 景観の構造. 東京: 技報堂
  14. 中村良夫(2004) 風景を創る. 강영조 역(2007) 풍경의 쾌락. 서울: 효형출판
  15. http://www.yangsan.go.kr/tour/
  16. http://www.visitkore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