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mparison of Forage Production and Feed Value of Winter Forage Crops in Jeju

제주지역에서 동계사료작물의 사초생산성 및 사료가치 비교

  • Published : 2008.09.30

Abstract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compare forage production and feed value of winter forage crops at the experimental field of Livestock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Subtropical Agriculture from 2007 to 2008. The experiment was arranged in a randomized block design with three replications. The five winter forage crops used in this experiment were barely ('Youngyang' and 'Yuyeon'), oats ('Samhan' and 'Swan'), wheat ('Kumkang' and 'Woori'), triticale ('Shinyoung') and italian ryegrass ('Hwasan 101' and 'Florida-80'). The species having the fastest heading date was wheat (5th April) while the heading date of oats ('Samhan') was the latest as 28th April. The dry matter (DM) content of wheat was the highest among the five winter forage crops. Italian ryegrass ('Hwasan 101') showed the highest CP content by 11.2% and oats (Swan) showed the lowest content by 9.8%. Average acid detergent fiber (ADF) and neutral detergent fiber (NDF) content were 28.6 and 50.8% respectively. The five winter forage crops have narrow range of total nutrient digestibility (TDN) from 64.0% to 69.1%. Italian ryegrass ('Hwasan 101') showed the highest DM yield by 25,951 kg/ha, but the DM yield of barely and wheat low by 13,892 kg/ha ('Yuyeon') and 14,815 kg/ha ('Woori'), respectively. Italian ryegrass and oats have higher forage yield and feed value in Jeju. Also, oats has high grain and forage yield. The results demonstrated oats can cultivate as alternative winter forage crop for whole crop silage barely in Jeju.

본 시험은 제주지역에서 동계사료작물의 사초생산성과 사료가치를 평가하여 청보리를 대체할 수 있는 사료작물을 탐색하고 제주지역에 적합한 동계사료작물 선발을 목적으로 제주시 난지농업연구소 시험포장에서 2007년 10월부터 2008년 6월까지 수행되었다. 제주지역에서 동계사료작물의 내한성은 모두 우수하였다. 출수 기는 밀('금강' 및 '우리')이 4월 5일로 가장 빨랐으며 '삼한' 귀리가 4월 28일로 가장 늦은 것으로 나타났다. 호숙기는 '금강'과 '우리' 밀 (5월 9일) > '유연' 보리(5월 12일) > 'Swan' 귀리(5월 16일) 순으로 나타났으며 초장은 '신영' 트리티케일이 129cm로 가장 크고 '금강' 밀이 82cm로 가장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초 생산성은 이탈리안 라이그라스('화산 101호')의 생초수량이 128,667 kg/ha, 건물수량이 25,951 kg/ha로 가장 생산성이 높았으며, 곡류 사료작물 중 귀리('삼한')의 건물수량이 22,556 kg/ha로 가장 높았다. 사료가치에서 조단백질 함량은 이탈리안 라이그라스('화산 101호')가 11.2%로 높았고 밀이 10.8%로 곡류 사료작물 중 가장 높았다. TDN 함량은 밀('금강' 및 '우리')이 69.1과 68.8%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초종 간 차이가 5% 내외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제주지역에서 동계사료작물은 수량적인 측면에서는 이탈리안 라이그라스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료비 절감 등을 고려하면 제주지역에서는 귀리나 밀도 곡실효과를 얻을 수 있어 청보리 대체사료작물로 이용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AOAC. 1996.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Assoc. Offic. Anal. Chem., Arlington, VA
  2. ANKOM Technology. 2005a. Method for Determining Neutral Detergent Fiber. ANKOM Technology, Fairport, NY. h t t p : / / w w w . a n k o m . c o m / 09_procedures/procedures2.shtml. Accessed May 8, 2005
  3. ANKOM Technology. 2005b. Method for Determin- ing Acid Detergent Fiber. ANKOM Technology, Fairport, NY. http://www.ankom.com/09_procedures/ proceduresl.shtml. Accessed May 8, 2005
  4. Heo. H.Y., H.H. Park, M.J. Kim, S.W. Choi, K. G. Park, J.H. Nam, J.G. Kim, C.K. Lee and Y. U. Kwon. 2003. A New Cold Tolerant, High Forage and Grain Yielding Winter Oat Cultivar "Samhan". Korean J.Breed. 35(3):331-332
  5. Goering, H.K. and P.J. Van Soest. 1970. Forage fiber analysis. Agric. Handb. 379, U. S. Gov. Print. Office, Washington, DC
  6. SAS. 1988. SAS/STATR: User's Guide (Release 6.03), SAS Inst. Inc., Gary, NC
  7. 고서봉, 이희석, 나기준. 1976. 조사료 생산 작 부체계 확립시험. 제주농업시험장보고서. p. 59
  8. 고서봉, 황경준, 박형수, 고문석. 2005. 제주지 역에서 청예 및 곡실용 귀리 품종 선발. 한국초 지조사료학회. 제43회 학술발표회. pp. 168-169
  9. 김원호, 서 성,신재순,임영철,김기용,김찬 호. 2006. 파종시기 및 파종량이 총체보리의 생 육특성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지학회지 26(3):155-158 https://doi.org/10.5333/KGFS.2006.26.3.155
  10. 김원호, 서 성,임영철,신재순,성병렬,지희 정, 이상진, 박태일. 2007.호남지역 사료용 총 체보리 우량품종 선발. 한국초지학회지 27(3):161-166 https://doi.org/10.5333/KGFS.2007.27.3.161
  11. 농촌진흥청. 2007. 2006년도 동계작물 신품종 개발공동연구 보고서. pp. 213
  12. 서 성,김원호,김종근,최기준,고종민,임시 규. 2007. 권역별 답리작 사료작물 최대 생산을 위한 적작목(품종)선발. 3. 영남지방(밀양)을 중심으로. 한국초지학회지 27(2):85-92 https://doi.org/10.5333/KGFS.2007.27.2.085
  13. 서 성, 김원호, 김종근, 최기준. 2004a. 권역 별 답리작 사료작물 최대 생산을 위한 적작목 (품종)선발. 1. 중부지방(수원)을 중심으로.한국초지학회지 24(3):207-216
  14. 서 성, 김원호, 이준희, 박태일, 최기춘. 2004b. 답리작 사료작물 최대 생산을 위한 적 작목(품종)선발. 2.호남지방(익산)을 중심으 로.한국초지학회지 24(3):217-224
  15. 임영철,윤세형,김원호,김종근,최기준,김맹 중, 정민웅,서성, 육완방. 2007. 중부지역 답리 작에서 동계 사료작물의 조기파종 효과. 한국초지학회지. 27(3):183-188 https://doi.org/10.5333/KGFS.2007.27.3.183
  16. 최기준,임영철,성병렬,김기용,이종경,임근 발, 박형수,서성, 지희정. 2007. 내한 조숙성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신품종 '코스피드'. 한국초지학회지. 27(3):145-150 https://doi.org/10.5333/KGFS.2007.27.3.145
  17. 최동윤, 조성백, 신재순, 이종언, 고서봉. 1993. 파종기별 청예용 귀리품종 선발. 제주농업시험장 보고서

Cited by

  1. Effect of Protein Fractionation and Buffer Solubility of Forage Sources on In Vitro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Degradability and Gas Production vol.32, pp.1, 2012, https://doi.org/10.5333/KGFS.2012.32.1.59
  2. Evaluation of Productivity and Silage Quality for Domestically Developed Forage Crops in Korea vol.35, pp.2, 2015, https://doi.org/10.5333/KGFS.2015.35.2.145
  3. Evaluation of Forage Production and Feed Value of Sasa borealis in the Jeju Area vol.38, pp.2, 2018, https://doi.org/10.5333/KGFS.2018.38.2.135
  4. Study on the Forage Cropping System Linked to Whole Crop Rice and Winter Crop in Southern Region vol.38, pp.4, 2018, https://doi.org/10.5333/KGFS.2018.38.4.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