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the Determinants of Distance-Learning on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E-learning의 결정요인이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

  • Published : 2008.08.31

Abstract

The increase in demand for e-learning has created a need to explore the implications of the emerging paradigm shift on the learning environment. To utilize information technology to improve learning processes, the pedagogical assumptions underlying the design of information technology for educational purposes must be understood. However, little theoretical development or empirical research has examined the learning effectiveness in web-based distance learning. In this regard,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ich factors of E-learning influence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and expectation. Based on the prior studies of the education and business training field, research model and research hypotheses were developed. Factors studied in this paper were student characteristics, system environment and teacher characteristics. The result showed that the student characteristics has the significant effect on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and expectation. However, the system characteristics and the teacher characteristics have the partial significant effects. This result is partially due to the subject characteristics of this study, because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the students and they have already the experiences in IT and e-learning.

교육의 패러다임이 교수자 중심에서 학습자 중심으로 바뀌면서 가상 교육의 환경이 현실에서 벌어지는 교육환경과 많은 차이가 있을 뿐 아니라 인터넷 기반 교육은 학습자들 간의 다양한 상호작용을 지원할 수 있는 장점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E-Learning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추출해서 추출한 요인들이 E-Learning 기대효과와 학습효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해 보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위하여 E-Learning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크게 학습자의 특성과 시스템 지원환경, 교수자의 특성 3개의 요인으로 구성하였다. 학습자의 특성 요인은 사용의 편의성과 자기효능감의 2개의 요인들로 구성하였으며, 시스템의 특성요인은 컨텐츠 구성, 내용의 적정성, 상호작용정도, 매체 풍부성 4개의 요인으로 구성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수자의 특성 요인들로는 강의내용, 강의 스타일, 교수자신용도 등 3개의 요인들로 구성하였다. 분석결과 학습자의 특성은 사용자 편의성이 기대효과와 학습효과에 유의한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인터넷을 통한 학습의 편리성이 학습의 성과가 향상되기를 바라는 학습자의 기대가 컸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되고, 또한 학습효과도 학습자가 학습에 거는 기대감이 학습효과에 반영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명희, "총체적 학습사회 구현을 위한 e-Learning의 활용가능성 및 전략", 경영교육연구, 제8권, 제1호, 2005, pp. 23-38
  2. 강영환, "e-Learning환경에서 학습자의 만족도와 학습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경영교육연구, 제7권, 제2호, 2004, pp. 1-12
  3. 강인원, 최지호, 이성근, "사이버대학의 e-Learning 서비스에서 신뢰 차원이 학교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경영학연구, 제34권, 제4호, 2005, pp. 1143-1164
  4. 고민정, "대학 e-Learning 실태 및 기대수준에 대한 요구분석", 경영교육연구, 제10권, 제1호, 2007, pp. 10-24
  5. 권대봉, "정보기술을 활용한 학습", 경영교육연구, 제2권, 제1호, 1998, pp. 27-48
  6. 김권수, "e-Learning 지원센터의 전략적 역할 정립과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경영교육연구, 제8권, 제1호, 2005, pp. 10-32
  7. 김주헌, "경영학 교육에 있어서의 가상강의 도입과 그 효과", 경영교육연구, 제4권, 제1호, 2000, pp. 87-104
  8. 김진수, 김진우, "학습자 중심의 인터넷 기반강좌", 경영교육연구, 제4권, 제1호, 2000, pp. 69-86
  9. 김재식, 양희동, 엄혜미, 김재경, "기업 e-Learning 시스템 성과에 대한 이해관계자 인식 부합 관점의 연구", 경영정보학연구, 제15권, 제4호, 2005, pp. 27-60
  10. 김해룡, 이문규, "온라인 교육 서비스 품질에 대한 소비자 평가 측정도구의 개발", 경영교육연구, 제5권, 제2호, 2002, pp. 7-25
  11. 송복섭, 권수갑, "교육의 혁신 e-Learning 개념 및 동향", 주간기술동향, 통권 제1305호, 2007
  12. 양윤선, "기업 e-Learning에서 튜터의 학습동기유발전략에 따른 상호작용 및 학습결과 분석에 대한 연구", 경영교육연구, 제7권, 제1호, 2004, pp. 25-30
  13. 유일, "웹기반 원격교육의 학습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경영교육연구, 제6권, 제2호, 2003, pp. 7-27
  14. 유지연, "지식기반 사회에서의 e-Learning 현황 및 전망", 정보통신신정책, 제13권, 제16호, 2001, pp. 28-50
  15. 이문봉, 김종원, "e-Learning 시스템의 성공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정보시스템연구, 제15권, 제4호, 2006, pp. 171-188
  16. 이석용, 서창갑, 김유일, "개인의 e-Learning 수용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정보시스템연구, 제15권, 제2호, 2006, pp. 49-75
  17. 이수경, 권성연, 고기정, 임영택, "학습자특성 및 수강 경험에 따른 e-Learning의 학습행태 차이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지, 제10권, 제2호, 2007, pp. 49-64
  18. 이웅규, 이종기, "e-Learning에서의 학습 환경과 학습자 자기효능감이 학습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경영정보학연구, 제16권, 제1호, 2006, pp. 1-21 https://doi.org/10.1111/j.1365-2575.2006.00210.x
  19. 이인숙, "대학 집합 수업과 통합된 웹 기반 온라인 수업 학습자의 인식 및 학습유형 분석", 교육공학연구, 제15권, 제1호, 1999, pp. 197-218
  20. 정경수, 김경준, "기업의 e-Learning에 대한 학습효과 및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정보시스템연구, 제15권, 제2호, 2006, pp. 1-29
  21. 전성빈, "정보통신기술과 원격교육", 경영교육연구, 제2권, 제1호, 1998, pp. 5-26
  22. 천윤필, "효과적인 e-Learning 수행을 위한 조직의 구성 및 역할에 관한 연구: 국내 일반대학의 e-Learning 지원조직을 중심으로", 경영교육연구, 제7권, 제2호, 2004, pp. 36-41
  23. 한태명, 이경순, "e-Learning을 통한 교육개혁 비전", 2004, 경영교육연구, 제7권, 제1호, pp. 16-19
  24. 한경석, 노미현, "데이터마이닝 가상강의 효과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 분석", 경영교육연구, 제7권, 제2호, 2004, pp. 37-55
  25. Ampbell, R. and D. Monson, "Building a goal-based scenario learning environment", Educational Technology, Vol.34, No.9, 1994, pp. 9-14
  26. Barbour, M. K., "Principles of effective web-based content for secondary students: Teacher and developer perceptions", Journal of Distance Education, Vol.21, No.3, 2007, pp. 93-114 https://doi.org/10.1080/08923640701299058
  27. Chan, M. S. and R. F. Waugh, "Factors affecting student participation in the online learning environment at the open university of Hong Kong", Journal of Distance Education, Vol.21, No.3, 2007, pp. 23-38
  28. Conrad, D., "Building and maintaining community in Cohort-based online learning", Journal of Distance Education, Vol.20, No.1, 2005, pp. 1-20
  29. Cynthia, K. R. and P. M. Jr. Peter, "What small business executives have learned about managing information technology", Information and Management, Vol.37, 2000, pp. 257-269 https://doi.org/10.1016/S0378-7206(99)00052-X
  30. Gibson, S. and K. Peacock, "What makes en effective learning experience for promoting faculty use of technology?", Journal of Distance Education, Vol.21, No.1, 2006, pp. 62-74
  31. Gorsky, P., A. Caspi, and I. Tuni-Arad, "Use of instructional dialogue by university students in a distance education chemistry", Journal of Distance Education, Vol.19, No.1, 2004, p. 1019
  32. Gunawardena, C. N. and F. J. Zittle, "Social presence as a predictor of satisfaction within a computer- mediated conferencing environment", American Journal of Distance Education, Vol.11, No.3, 1997, pp. 8-26 https://doi.org/10.1080/08923649709526970
  33. Kanuka, H. and T. Anderson, "Online social interchange, discard, and knowledge construction", Journal of Distance Education, Vol.13, No.1, 1998, pp. 57-74
  34. Murphy, K. L. and M. P. Collins,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conversations in instructional electronic charts", Journal of Distance Education, Vol.12, No.1, 1997, pp. 177-200
  35. Schank, R. S., Goal-Based Scenarios. Technical Report. Evanston, IL: The Institute for the Learning Sciences, Northwestern University,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