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Behavior of Suspended Solids for the Development of Coastal Industrial Complex

해안지역 산업단지조성 따른 해양 부유물질 거동에 관한 연구

  • Kim, Ki-Dam (Graduate school of Korea Maritime University) ;
  • Lee, Joong-Woo (Division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Korea Maritime University) ;
  • Lee, Hak-Seung (Graduate school of Korea Maritime University) ;
  • Kang, Seok-Jin (Graduate school of Korea Maritime University) ;
  • Jeon, Min-Su (Graduate school of Korea Maritime University)
  • 김기담 (한국해양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대학원) ;
  • 이중우 (한국해양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 이학승 (한국해양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대학원) ;
  • 강석진 (한국해양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대학원) ;
  • 전민수 (한국해양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대학원)
  • Published : 2008.08.31

Abstract

The government is now driving a policy that development of industrial complex site for the local manufacturing industry by reengineering and expanding the existing sites or reclamation of coastal zon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impact of the coastal reclamation work in terms of physic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is also dealing with the impact of coastal reclamation for national industrial complex site to the ocean physical characteristics, variation of sedimentation and diffusion system and marine environment from the analysis of the field measurement and numerical simulation. The site for application is at the coastal boundary near Onsan national industrial complex, Ulsan metro city. In order to verify the numerical simulation result, it is compared to the collected data for tide, current, and sediments of the existing measurement and field observation at the selected stations for this study. The verified numerical models were applied to the actual field and the future change was analyzed.

정부는 지역제조산업 육성을 목적으로 기존 부지를 개선 확장하거나 해안지역 매립을 통하여 신설하는 방향으로 산업단지조성을 위한 정책을 펼치고 있다. 따라서, 물리적 환경적인 특성의 관점에서 해안지역매립으로 인한 영향의 분석은 반드시 필요하다. 본 논문도 임해지역 국가산업단지 조성에 따른 영향을 인근 해역의 해양물리적 특성, 퇴적 및 확산 체계 변화, 해양환경 변화 등의 현상을 현장관측조사 및 수치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적용대상역은 울산광역시의 온산국가산업단지 인근의 해안선경계역이다. 검증을 위해 조석, 조류 및 퇴적에 관한 기존의 관측자료를 확보하였으며 일부 특정지점에서는 현장관측도 수행하였다. 검증한 모델로 실제대상해역에 적용하고 장래변화를 분석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주환, 문승록, 박선중, 정재웅(2004), "해수유통시설에 따른 대흑산도항 오염확산양상 변화," 공업기술연구논문집 제4집, pp.581-587.
  2. 고려개발주식회사, (주)건일엔지니어링(2007), "여수 동방파제 축조공사 환경영향검토", 5장 부유사확산 수치모형 실험 p.66.
  3. 국가균현발전위원회(2007), "지역혁신 균형발전 정책교본 혁신클러스터".
  4. 국립해양조사원(2001), "울산항 조류도"
  5. 경기개발연구원(2008), "해양오염사고의 피해 및 비용에 대한 주민의식 조사 연구 보고서".
  6. 울산광역시(2006), "회야강 2개소 하천정비기본계획 및 재정비수립에 따른 사전재해영향성 검토서".
  7. 이종섭, 윤은찬(2004), "파.흐름 공존장에서 부유사와 소류사 flux에 의한 지형변화예측모델", 한국해안.해양공학발표논문집, pp228-232
  8. 해양수산부(2001), "부유토사 발생량 평가 및 오토방지막 효율에 관한 연구용역(I, II)".
  9. Engelund. F. and Hansen. E.(1967), "A monograph on sediment transport in alluvial streams", Copenhagen, Teknisk. Florlag.

Cited by

  1. Coastal Circulation and Bottom Change due to Ocean Resort Complex Development vol.36, pp.7, 2012, https://doi.org/10.5394/KINPR.2012.36.7.5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