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Job Analysis of Fashion Model's

패션모델의 직무분석

  • Published : 2008.09.28

Abstract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in an effort to bring light on the job scope which is required among the fashion models in Korea, then to sort out the concrete items of job pursuant to the job scope for the systemization of them. For this study, ten models who majored a fields of industry and the college in Korea, have gathered to analyze the job of the fashion models using the DACUM. As a result of it, the jobs of the fashion models have been classified into 7 duties and subsequent 86 tasks, while the fashion models entry jobs have been divided into 32 tasks(37.21%) that are necessary in the college before appointment. The result of analysis which investigates the relation between the significancy, the degree of difficulty and the frequency of the business, has it that the number of high-significancy business rises to 46 tasks(53.49%), high degree of difficulty business reaches to 21 tasks(24.41%), high frequency business is 18 tasks(20.93%), high degree of significancy and difficulty business stands at 13(15.12%), high significancy and frequency business amounts to 16 tasks(18.60%), and high degree of significancy, difficulty and frequency business reaches to 7 tasks(8.14%) respectively. These results should be actively reflected on the college curriculum before appointment, and on the job retraining courses for the incumbent fashion models, so as to enhance their job competency.

이 연구는 한국의 패션모델이 직업현장에서 수행하는 직무 영역에 따라 구체적인 직무항목을 체계화하여 분류함으로써 패션모델들에게 요구되는 직무의 영역을 도출하기 위하여 실행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패션모델산업의 각 분야와 한국 내 대학에서 활동하고 있는 10명의 패션모델들을 대상으로 데이컴(DACUM)법을 이용하여 패션모델의 직무를 분석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 결과, 패션모델의 직무는 7가지 임무에 따른 86가지의 과업이 분석되었으며, 패션모델이 입직초기에 수행해야할 직무가 32가지 과업(37.21%)로 분석되었는데 이들 과업은 대학을 졸업하기 전까지의 교육과정에서 익혀야할 과업이다. 분석된 결과에서 직무의 중요도, 난이도, 수행빈도를 조사한 결과 중요도가 높은 직무는 56가지(53.49%), 난이도가 높은 직무는 21가지(24.41%), 수행빈도가 높은 직무는 18가지(20.93%)로 분석되었다. 또한 중요도와 난이도가 모두 높은 직무는 16가지(18.6%), 중요도와 난이도 및 수행빈도가 모두 높은 직무는 7가지(8.14%)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패션모델 입직 전의 대학교육과정과 현직 패션모델을 대상으로 한 재교육 프로그램의 교육내용 구성에 본 직무분석 결과를 적극 반영함으로써 패션모델의 직무능력을 강화 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정민경기자, "모델, 그 화려함의 뒤안", 서울 경제신문 : 건강․생활면, 2008. 6. 18.
  2. 양의식, 모델전략, 징검다리, 2001.
  3. 성광숙, "60년대 이후 패션 트렌드를 중심으로 본 패션 모델 이미지". 한국패션뷰티학회지, 제2권, 제 1호, pp.21-22, 2004.
  4. 양의식, 모델.com, 징검다리, 2000.
  5. 김정원, "국내패션모델 유형 및 직무태도 분석", 경일 대학교, pp.391-392, 2002.
  6. 김동수, "모델 학원학과 등 지망생만 수 만명", 서울경제신문: 건강․생활면, 2008. 6. 18.
  7. Solomon, R. M. (2002). Consumer Behavior(5th ed.). New Jersey: Prentice-Hall
  8. K. A. Hamilton, "The macro-micro interface in the construction of individual fashion forms and meanings,"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Vol.15, No.3, pp.164-171, 1997. https://doi.org/10.1177/0887302X9701500306
  9. 유혜경, 이승희, "패션마케팅분야의 연구경향과 시사점", 한국의류학회 제26회 정기총회 및 춘계학술대회 초록집: p.34, 2002.
  10. 김동수, 모델학, 서울:(주)황금가지, 2002.
  11. 김재원,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서 이벤트 디자인에 관한 연구-기업 이벤트를 중심으로", 이화 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65-68, 1996.
  12. 김문숙, 한성지, 최혜정, 홍인숙, "우리나라 패션산업을 위한 비즈니스 리엔지니어링에 관한 연구", 복식 문화연구, 제7권, 제4호, p.500, 1999.
  13. W. B. Castetter, The Personnel Function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1996.
  14. B. M. Harris, Personnel Administration in Education: Leadership for Instructional Improvement. Massachusetts : Allyn and Bacon, Inc., 1985.
  15. 김판욱, DACUM(Developing A Curriculum). 충남대학교산학연구원, 2001.
  16. 김수진, 한명숙, "밀레니엄을 맞이하는 1990년대 패션과 메이크업의 동향", 복식문화연구, 제1권, 제6호, p.183, 1999.
  17. 김수진, 한명숙, "뉴미디어 및 인터넷 시대에 부웅하는 패션산업의 새로운 동향", 복식문화연구, 제10권, 제3호, p.294, 2002.
  18. 고정민, "21세기 한국을 먹여살릴 10대 산업, 삼성경제연구소 연구보고서", 제1권, p.12, 2001.
  19. 정삼호, "패션트렌드에 나타난 퓨전스타일 연구", 중앙대학교 생활과학논집, 제19권, 제1호, p.97, 2002.
  20. 김소영, 양숙희, "현대 패션 변화에 따른 마네킹의 표현양상", 복식문화연구, 제9권, 제1호, pp.73-74.
  21. C. M. Calasibetta, "Fairchild's Dictionary of Fashion, N.Y : Fairchild", p.374, 1998.
  22. 허준, "파리모드 2000년-현대 모드의 오뜨 뀌띄르의 후계자들", 유림문화사, p.89, 1995.
  23. 황현모, "나도 Fashion Show 연출가", 도서출판 정주, p.45, 1999.
  24. 이호정, 이윤숙, "패션비지니스 사전", 교학연구사, 1997.
  25. 김정수, "국내 패션모델 유형 및 직무태도 분석", 경일대학교논문집, p.404, 2002.

Cited by

  1. The Effects of Structural, Psychologic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n Job Satisfaction of Fashion Models vol.68, pp.6, 2018, https://doi.org/10.7233/jksc.2018.68.6.0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