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fluences of a Sound Design of Media Contents on Communication Effects - TV-CF Sound Using a BQ-TEST

영상음향의 사운드디자인설계가 커뮤니케이션 효과에 미치는 영향 - TV광고음향을 뇌 지수 분석기법으로 -

  • 유회종 (호서대학교 디지털미디어학과) ;
  • 서현주 (호서대학교 디지털미디어학과) ;
  • 문남미 (호서대학교 디지털미디어학과)
  • Published : 2008.09.30

Abstract

The sound design performed in the production of media contents, such as TV, movie, and CF, have been conducted through the experienced feeling of some experts in the aspect of auditory effects that communicates stories. Also,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f the quantitative approach and verification to apply visual and auditory effects felt by users. This study i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and investigates the difference in communication effects in which the difference in a sound design in the production of media contents that affects users. This study analyzed the brain quotient (BQ) obtained by the measurement of brain waves during the watching of an experiment image (track A) designed by using a 60-second TV CF only and an experiment image (track B) designed by sound effects and music and investigated which sound design represents differences in communication effects for users. The results of this investigation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results of the comparison of the attention quotient (ATQ), which is the BQ of recognition effects, between A and B tracks, the track A showed a higher difference in activation than the track B. It can be analyzed that the sound design based on music showed higher levels in attention and concentration than that of the sound effect design. Second, in the results of the comparison of the emotional quotient (EQ), which is emotional effects, between A and B tracks, the track A represented a higher difference than the track B. It means that the sound design based on music showed higher contribution levels in emotional effects than that of the design based on sound effects. Third, in the results of the comparison of the left and right brain equivalent quotient (ACQ), which is memory activation effects, between A and B track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s, although there are some constraints in TV CF based on the conventional theories in which sound effects based design affects strong concentration, and music based design affects emotional feeling, the music based design may present more effects in continued concentration. In addition, it was evident that the music based design showed higher effects in emotional aspects. However, it is necessary to continue the study by increasing the number of subjects for improving the little differences in ACQ. This study is useful to investigate the communication effects of the sound based design in media contents as a quantitative manner through measuring brain waves and exp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the basic materials in the fields of sound production.

지금까지 TV, 영화, 광고 등 미디어콘텐츠 제작에서 사운드디자인은 스토리를 전달하는 청각효과측면에서 전문가의 경험적 느낌에 의하여 주로 진행되었으며, 수용자가 느끼는 시청각적 효과를 적용키 위한 정량적 연구와 검증은 아직 취약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미디어콘텐츠 제작에서 사운드디자인설계의 차이가 수용자에게 미치는 커뮤니케이션 효과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시도한 비 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실험 연구이다. 연구방법은 60초의 TV광고영상을 음악으로만 디자인한 실험영상(A트랙)과, 음향효과와 음악으로 디자인한 실험영상(B트랙)을 시청하는 동안 뇌파측정을 통하여 얻어진 뇌 지수(Brain Quotient)를 비교 분석하여, 어떠한 사운드 디자인 설계가 수용자의 커뮤니케이션 효과에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첫째, 인지효과의 해당 뇌지수인 주의지수(ATQ)를 A트랙과 B트랙을 비교한 결과 A트랙이 B트랙보다 높은 활성화 차이를 보였다. 이는 음악위주의 사운드 디자인이 음향효과디자인보다 수용자에게 더 높은 관심과 집중도를 보였다고 해석할 수 있다. 둘째, 감성효과에 해당하는 정서지수(EQ)를 A트랙과 B트랙 비교결과 A트랙이 B트랙보다 높은 활성화를 보였다. 이 역시 음악위주의 사운드디자인이 음향효과위주의 디자인보다 정서적으로 감성효과가 높게 관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기억활성효과에 해당하는 뇌 활성지수(ACQ)는 A트랙과 B트랙 비교결과 B트랙 군보다 A트랙 군이 약간의 차이가 있었으나 유의하지는 않았다. 이번 실험을 통하여 지금까지 강한 집중을 위해서는 음향효과디자인이, 정서적인 감정은 음악디자인이 관여도가 높다는 기존의 연구에서, TV광고음향의 한정이 있기는 하나 집중도에서 음악디자인이 오히려 효과가 높을 수 있으며, 정서적인 관여는 역시 음악디자인이 효과가 높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다만 기억활성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던 점은 피험자숫자를 늘리는 등 계속적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미디어콘텐츠에서 사운드디자인설계가 수용자에게 미치는 커뮤니케이션효과의 영향을 뇌파측정을 통하여 정량적으로 알아 본 것에 의의가 있으며, 사운드디자인제작현장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을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David Gibson,"The Art of Mixing"Mix Books, 2004
  2. Korea life science library "Sound and Hearing"1996
  3. obert J, Sternberg, "Cognitive Psychology" BakhakSa,2005
  4. Herbert Zettle," Television Production Handbook"ThomSon, 2004
  5. Tomlinson Holman 1999 "Sound for Film and Television"
  6. 이석원,"음악음향학",심설당,2003
  7. 강성훈"음향.효과.처리", 음향기술산업연구소,2006
  8. 재)한국정신교육연구소" 두뇌전문가 교육",2006ppt
  9. 김명남,"The birth of the Mind(마음이 태어 나는 곳)",해나무,2005
  10. 김명석, "디지털미디어와 사회",나남출판, 2003
  11. 김원식.진승현 "긍/부정 감성자극에 대한 행동활성화 체계 및 행동억제체계 민감도에 따른 뇌파의 LORETA분석" 감성과학회 VOL8, P 403-413
  12. 김용진.장남기 "시청각학습의 반복수행에 따른 전두부의 뇌파 활성도 변화" 한국과학교육학회지 제21권 제3호 pp.516-528
  13. www.filmsound.org
  14. Ferrier, C.H., Eleanora Aronica, E., Leijten, F.S.S., Spliet, W.G.M., Huffelen, AC., and Rijen, P.C., "Electrocorticographic Discharge patterns in Glioneuronal Tumors and Focal Cortical," Dysplasia Epilepsia, Vo47, No.9, pp. 1477-1486, 2006 https://doi.org/10.1111/j.1528-1167.2006.00619.x
  15. Walter, D.O., Leuchter, AF. A Tourial on Classical Computer Analysis of EEGs: Spectra and Coherences in Analysis of the Electrical Activity of the Brain, ed. by Angeleri F., Butler S., Giaquinto S., Majkowski l Wiley & Sons pp. 105-124. 1997
  16. Bablyoantz, A, Salazar, I.M, and Nicolis, C., "Evidence of Chaotic Dynamics of Brain Activity during the Sleep Cycle," Phys. Lett., Vol. lIlA, pp. 152-156, 1985
  17. Jeong, J.. Kim, S.Y., and Han, S.H., "Nonlinear Analysis of Chaotic Dynamics underlying EEGs in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Electroence phalography and Clinical Neurophysiology, Vol.106, No.3, pp. 220-228, 1998 https://doi.org/10.1016/S0013-4694(97)00079-5
  18. Comon, P., "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 - A New Concept"," Signal Processing, Vol.36, No.3, pp. 287-314, 1994 https://doi.org/10.1016/0165-1684(94)90029-9
  19. 김용진.장남기 시청각학습의 반복 수행에 따른 전두부의 뇌파 활성도 변화", 한국과학교육학회지, 제21권 제3호 pp.516-528,2000
  20. 한영수,채명신,박병운, 박종기, "뇌-컴퓨터-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암환자들이 전전두엽 뇌파분석": 한국정보과학회소프트웨어 및 응용제 35권 제3호, 2008
  21. 전영돈,노상원, "디지털미디어에서 커뮤니케이션극대화를 위한 사운드디자인" 한국디자인학회 ,2002
  22. 박병운, 뇌파해석기법: 한국정신과학연구소,2005
  23. Stanley R, Alten, Audio in Medai,7th ver, THOMSON, 2007
  24. 권오연, 음악에 의한 감성의 생리적 측정연구에 대한 소고: 민족음악학회, 25, 815-214. 2003
  25. Rothschild, M. L., Hyon, Y. J., Reeves, B., Thorson, E., & Goldstein, R.(1988). Hemispherically lateralized EEG as a response to television commercials. Journal of Consumer Reserch, 15. pp. 185-198 https://doi.org/10.1086/209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