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Metadata Elements for Digital Course Resources in Universities

디지털 강의자원 관리를 위한 메타데이터 요소에 관한 연구

  • 최윤경 (이화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 정연경 (이화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Published : 2008.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mandatory and extensible elements of Korea Education Metadata elements for digital course resources universities in Korea. For the study, literature research, case study and interview were performed. The mandatory elements of KEM consisted of sixty nine elements, and were proposed by two phases. Also, based on interview process twelve items were newly recommended to supplement KEM elements.

본 연구는 국가 교육 표준 메타데이터인 KEM을 기반으로 국내 대학에서 강의자원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재사용성을 높일 수 있는 강의자원 메타데이터 필수 요소 및 확장 요소를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 연구와 국내외 사례 분석, 그리고 국내 현황조사 방법을 이용하였다. 국내외 사례 조사 및 현황 분석을 통해 KEM의 요소를 기반으로 국내 대학의 현황을 반영하여 강의자원 메타데이터의 필수 요소와 확장 요소를 제안하였다. 필수 요소로는 69개 요소를 2개 수준으로 제안하였다. 제 1수준의 31개 요소들은 강의자원 관리를 위해 대학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해야하는 필수 항목이다. 제 2수준 필수 요소는 총 38개로, 강의자원 관리를 위한 핵심 요소는 아니지만, 개별 대학에서 이 요소를 필수 요소로 사용하도록 권고하였다. 확장 요소는 면담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전체 6개 응답 기관 중 50% 이상에서 확장이 필요하다고 선택한 12개를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태문. 2002. 멀티미디어 교육자원의 메타데이터 요소 설계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2. 박현정. 2001. e-Learning contents의 표준화 현황 및 방안 연구: 기업교육에서 e-learning contents의 metadata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정보과학대학원, 멀티미디어전공.
  3. 이용호, 김태수, 김이겸, 오삼균. 2001. 국가 표준 교육정보 메타데이터 형식 개발 연구. [인용 2007.11.23]. .
  4. 손진곤, 조용상, 정광식. 2005. 고등교육정보 및 저작권 관리를 위한 메타데이터 (KEM v3.0) 연구. [인용 2007.7.1]. .
  5. 전일양, 최석두. 2002. 더블린코어 확장요소의 비교분석 : 교육분야를 중심으로. 한국정보관리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9: 109-114.
  6.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4. Korea Education Metadata(KEM) profile for K-12. [인용 2007.7.10]. .
  7.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7. 2006 교육정보화백서. [인용 2007.9.14] .
  8. 홍용표. 2002. 강의자원의 학술적 가치와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사대도협회지, 3: 184-196.
  9. Baures, Lisa and Quade, Ann. 2007. Learning Objects: Standards, Metadata, Repositories, and LCMS. California: Information Science Press, 63-91.
  10. DCMI-Education Working Group. 2006. DC Education application profile. [cited 2008.1.30]. .
  11. Dublin Core Education application profile (working draft of v0.4). [ctied 2007.11.23]..
  12. Duval, Erik, Hodgins, Wayne, Sutton, Stuart and Weibel, Stuart L.. 2002. "Metadata principles and practicalities." D-Lib Magazine, 8(4). [cited 2008.3.12]. .
  13. EdNA Online. 2002. EdNA Metadata Standard v1.1. [cited 2008. 2. 28]. .
  14. EdNA Online. 2006. EdNA resource metadata application profile. [cited 2008.2.28]..
  15. Friesen, Norm. 2004. Final Report on the “International LOM survey.” Standards Council of Canada, Canadian Advisory Committee, ISO/IEC JTC1/SC36 Document No: 36C087 Issued 8-25-2004. [cited 2007.7.30]. .
  16. Friesen, Norm, Roberts, Anthony and Fisher, Sue. 2002. “CanCore : Metadata for learning objects.” Canadian Journal of Learning and Technology, 28(3). [cited 2007.7.8]. .
  17. GEM 2.0: element description. [cited 2007.7.11]. .
  18. IEEE LTSC. 2002. Draft standard for Learning Object Metadata. [cited 2007.8.8]. .
  19. Lowe, Carrie. 2000. “GEM: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metadata project for education.” Journal of Internet Cataloging, 3(2/3): 109-126. https://doi.org/10.1300/J141v03n02_01
  20. Markus, Bela. 2002. “Educational metadata.”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Conference of FIG. [cited 2007.11.5]. .
  21. Millea, Jenny. 2003. “The EdNA metadata standard.” [cited 2008.2.15]. .
  22. Mitchell, Jennie L. and Farha, Nicholas. 2007. Learning Objects: Standards, Metadata, Repositories, and LCMS. California: Information Science Press, 1-40.
  23. NISO(National Information Standards Organization). 2004. Understanding metadata. [cited 2007.10.12].
  24. Sutton, S. and Mason, J. 2001. “The Dublin Core and metadata for education resources: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ublin Core and Metadata Applications.” [cited 2007.8.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