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deas of Teaching-learning Experiences Selection for Multicultural Education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경험 선정 아이디어

  • 권충훈 (광주여자대학교 중등특수교육과) ;
  • 김훈희 (경상대학교 교육학과)
  • Published : 2008.08.28

Abstract

Multiculuralism becomes the presentive term of Korea. And school is interested in multicutural education very much. The reason for this is connected to the fact of increasing intermarriages, immigrant laborers, and their children. So, the academic world is producing various research papers and public institution is proposing and practicing several policies. Particularly multicultural education is recognized as the very important intervening strategy on multicutral society and studie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the ideas of teaching-learning experience selection for multicutural education in Korea. So the study conten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 First, it is to analyze the concep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its' research trends. Second, it is to review the prior models of theorizing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 models of curriculum development and teaching design. Finally, it is to inquiry the model of teaching-learning experience selection for multicutural education. Above all, we think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model of multicutural teaching-learning experience selection classified by objects involved in multicutural education.

다문화는 최근 한국사회를 대표하는 용어가 되고 있다. 그 이유는 국제결혼과 외국인 근로자들의 증가와 함께 유치원 및 초등학교에 국제결혼가정 자녀와 외국인 근로자들의 자녀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다문화사회 현상은 각 학문분야의 연구주제로 등장하여, 각종 연구결과물들이 산출되고 있다. 이 중에서 다문화교육은 다문화사회의 강력한 개입전략의 하나로 인식되어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경험 선정의 아이디어를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주요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교육의 개념과 연구동향 분석하는 것이다. 둘째, 기존의 다문화교육 이론 정립 모형과 교육과정 개발 모형 및 교수설계 모형들을 검토하는 것이다. 셋째, 한국에 적용 가능한 다문화교육의 교수-학습 경험 선정 모형을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구안시 2원적 접근, 즉 다문화교육 이론적 접근과 교수설계의 실천적 접근에서 교수-학습 경험을 선정하는 모형을 제시하였다. 특히,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성공적인 실천을 위해서 다문화교육 관련 대상자별 교수-학습 경험의 선정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Keywords

References

  1. 법무부, 보도자료-체류외국인 100만명 돌파, 2007(8).
  2. J. A. Banks, An Introduction to Multicultural Education, 4/E, Pearson Education, Inc., 2008.
  3. 장인실, "다문화 교육이 한국 교사 교육과정 개혁에 주는 시사점", 교육과정연구, Vol.21, No.3, pp.409-431, 2003.
  4. 장인실, "다문화 교육과 교육과정", 교육과정연구, Vol.26, No.4, pp.27-53, 2006
  5. J. A. Banks, Multiethnic Education : theory and practice, Boston: Allyn and Bacon, 1988.
  6. J. A. Banks, Multicultural education: characteristics and goals, In J. A. Banks & C. A. M. Banks(Eds.), Multicultural education: Issues and perspectives(pp.3-28), Boston: Allyn and Bacon, 1993.
  7. C. I. Bennett, Comprehensive multicultur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Boston: Allyn and Bacon, 1995.
  8. 김선미, "다문화교육의 개념과 사회과 적용에 따른 문제", 사회과교육연구, 제4호, pp.63-81, 2000.
  9. 오은순, "다문화 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지원 방안 연구(I)",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7.
  10. 박재의, 전현정, 이순옥, 김무정, "다문화교육 연구학교 운영 사례 분석을 통한 교육과정 개발방향 모색", 다문화-세계화 교육환경에 따른 학교 교육과정의 대응, 한국교육과정학회.한국초등교육학회, pp.277-309, 2008.
  11. 교육인적자원부, "초등학생용 교과서 보완 지도 자료", 2006.
  12. http://www.mest.go.kr/ms_kor/inform/public/science/other/index.jsp
  13. 평택대학교 다문화가족센터, "다문화가족을 위한 정책 및 지원 전략", 추계학술세미나, 2006.
  14. 조영달, "다문화가정의 자녀교육 실태 조사", 2006년도 교육인적자원부 정책연구과제, 2006.
  15. 조혜영, "다문화가족 자녀의 학교생활실태와 교수․학생의 수용성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7.
  16. M. A. Gibson, "Approach to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Some concepts and assumptions," Anthropology and Education Quarterly, No.7, pp.7-18, 1976.
  17. G. Gay, "On behalf of children: A curriculum design for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of Negro Education, No.48, pp.324-340, 1979.
  18. E. C. Sleeter and A. C. Grant, "An analysi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United States," Harvard Educational Review, Vol.57, No.4, pp.421-444, 1987. https://doi.org/10.17763/haer.57.4.v810xr0v3224x316
  19. J. A. Banks, "Approaches to multicultural curriculum reform," In J. A. Banks & C. A. M. Banks(Eds.), Multicultural education: Issues and perspective, pp.195-214, Boston: Allyn and Bacon, 1993.
  20. R. W. Tyler, Basic principles of Curriculum and Instruction,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49.
  21. W. Dick, L. Carey, and J. Carey, The systematic design of instruction(5th ed.), New York: Longman,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