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tterns of Ceremonial Foods for Middle-aged Residents in Ganghwa

강화 지역 중년 남.녀의 의례 음식 섭취 실태

  • Kim, Eun-Mi (Department of Hotel Culinary Arts, Kimpo College)
  • Published : 2008.08.31

Abstract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in a survey conducted in Ganghwa. The questionnaire was specifically designed to identify ceremonial and prohibitive foods in Ganghwa.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were reported as frequencies, and $X^2$ analysis was employed to assess the relationships among religious. Ceremonial foods were important on the 15th of January by the lunar calendar(87.5%), the Korean Thanks giving Day(84.4%), New Year's Day(79.8%), and the winter solstice(77.4%). A table in celebration of a baby's first birthday included baekseolgi, rice cake with Indian millet and red bean, songpyeon, injeolmi, fruits, and japchae. Women who had delivered a child ate boiled rice and seaweed soup. Birthday parties was hosted in 67.0% of the homes. The reasons for not having a birthday party were the inability to make enough time(38.2%) and difficulties with work(19.4%). Pyebaek foods were jerked beef, chicken, jujube and chestnuts. A 60th birthday anniversary was the reason for 31.4% of the respondents to eat ceremonial foods, and a Memorial Day service that carried in the eldest son was the reason in 53.4% of the families. The Memorial-Day service foods were learned by a Catholic mother(66.7%), by the husband's Buddhist mother(37.9%), or by Confucianism(54.5%)(p<0.05).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increase the understanding of celebrational foods and to enforce systematic public relations.

강화 지역의 전통음식, 시절식과 12달 동안의 절기식 및 출산시, 삼칠일, 백일, 돌, 화갑, 혼례 등의 통과 의례 음식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여 전통문화의 계승 발전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강화에서 20대 전후부터 거주하여 30년 이상 계속 거주한 50대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그 결과, 절기식은 정월대보름(87.5%), 추석(84.4%), 정월초하루 설날(79.8%), 동지(77.4%)로 주로 농사와 관련된 명절이 우세한 것으로 보였다. 통과 의례 음식 중 돌상은 86.4%가 차렸으며, 백설기, 수수팥떡, 송편, 인절미, 과일, 잡채 등의 음식이 전통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아이 낳은 산모에게 쌀밥과 미역국을 대접하는 경우가 367명(96.1%)이었다. 생일상을 집에서 차리는 경우는 256명(67.0%), 차리지 않는 경우는 126명(33.0%)이었다. 차리지 않는 이유는 '시간이 없어서'는 38.2%, '귀찮아서'는 19.4%로 57.6%를 차지하였다. 폐백상차림은 육포(닭), 대추, 밤이 기본적인 음식이었으며, 회갑상을 차리는 경우는 120명(31.4%)이었다. 제사를 장남집에서 모신다고 한 경우는 53.4%이었으며, 제사가 필요한 이유는 관습대로 지키는 것보다 조상에게 감사하는 마음이 더 많았다(p<0.05). 제사 음식은 주로 천주교는 친정어머니(66.7%)에게서 배우고, 불교는 37.9%, 유교는 54.5%가 시어머니에게서 배워 종교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임신 중 금기 식품은 개고기, 게장, 꽃게, 닭고기, 오리고기, 토끼고기, 팥죽, 팥밥, 커피, 모난 것, 물렁뼈가 있는 것, 불결한 모양, 비늘 없는 생선이라고 하였다. 이와 같이 시대가 지남에 따라 전통적인 의례 행사가 많이 변형되고 쇠퇴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앞으로 지역의 축제나 전시회, 품평회, 대중매체를 통해 꾸준한 홍보 활동 등으로 전통의 맥을 이어야 하겠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