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assifying Rural Landscape Types and Developing Rural Landscape Evaluation Indicators Using Expert Delphi Survey Method

전문가 델파이 설문 조사를 통한 농촌경관 유형분류 및 평가지표 개발

  • Ban, Yong-Un (Dept. of Urban Engineering,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Baek, Jong-In (Graduate School,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Kim, Min-Ah (Graduate School,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Yoon, Jin-Ok (Korea Rural community & Agriculture corporation)
  • Published : 2008.09.30

Abstract

This study has intended to elicit the definition of rural landscape, to classify rural landscape type, and to develop the evaluation indicators of rural landscape, meeting the definition through delphi expert survey method. The survey was performed five times for 80 days by 20 experts. The delphi expert survey asked experts as follows: 1) to fill out open-ended questions regarding the definition of rural landscape, and classification of rural landscape types, and evaluation indicators; 2) to provide their own feasibility evaluation regarding the results of the previous answer; and 3) to reevaluate the feasibility of the definition, types, and indicators. Based on the survey results, this study has found the appropriate definition of rural landscape like the comprehensive complex of physical (objective) and nonphysical (subjective) factors characterizing natural and/or artificial scenary of rural village itself Also, this study has developed the evaluation indicators of rural landscape in accordance with space types and landscape units classified. The developed indicators included areal ratio, the degree of green naturality, the building coverage ratio for physical landscape field, and skyline, landscape adjectives, color landscape, semantic scale.

Keywords

References

  1. 김상범, 2006, 농촌경관계획을 위한 공간별 주요경관요소에 관한 연구 : 농촌전통테마마을을 중심으로,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2(3), 13-18
  2. 김승주, 2004, 도시경관진단을 위한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김정호 외, 2006, 비오톱 유형을 고려한 도시생태계 평가기법 개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41(1)
  4. 나정화 외, 2001, 생물종 및 서식지 보전의 관점에서 본 대도시의 비오톱 구조분석, 한국조경학회지, 28(6), 29-51
  5. 나정화, 2005, 경관 생태 연구의 새로운 방법론 모색을 통한 도입 가능성과 한계성, 한국조경학회지 33(4), 45-70
  6. 농림부, 2002, 지역자원을 고려한 농촌경관평가모델 작성 및 계획기법 개발
  7. 농림부, 2005, 어메니티 증진을 위한 농촌경관 보전 및 관리방안
  8. 농업기반공사, 2005, 농촌계획수립을 위한 경관가치의 평가 및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9. 박찬용, 2006, 도시경관계획을 위한 지표의 설정과 적용,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0. 박필제, 2006, 감성 이미지 기반 도시경관 조명연출 평가모형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1. 서주환, 2001, 경관의 선호도에 미치는 소리의 영향, 한국조경학회지, 29(3), 10-18
  12. 서주환 외, 2002, 형태지수를 이용한 농촌경관의 선호성 분석에 관한 연구: 농촌 문화마을을 대상으로, 한국산림휴양학회지, 6(2), 7-14
  13. 서주환 외, 2002, 지역자원활용을 고려한 농촌경관 평가모델 작성 및 계획기법 개발, 농림부
  14. 송두범, 1999, 농촌개발정책 단위별 유형구분 및 특성분석, 지역사회개발학술지, 9(1), 75-96
  15. 송미령, 박경철, 2005, 농촌경관 보전을 위한 정책 동향과 시사점,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경제, 28 (3), 121-137
  16. 심준영 외, 1997, 근교농촌의 경관유형에 따른 고층 건물의 관찰거리 및 규모와 경관선호도와의 관계, 한국조경학회지, 25(1), 112-123
  17. 양병이, 1997, 지속가능성 지표에 의한 우리나라 주거단지의 환경친화성 평가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 학회지, 국토계획, 32(2)
  18. 유지연, 2006, 가정과학의 교육내용에 대한 필요도: 델파이 조사 연구,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8(2), 125-134
  19. 이동근 외, 2005, 농촌경관 보전 및 관리를 위한 경관자원 분류 및 평가에 관한 연구: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을 중심으로, 농촌계획학회지, 11(2), 21-34
  20. 이동근 외, 2007, 농촌어메니티 자원에 기초한 농촌 경관평가에 관한 연구, 농촌계획학회지, 13(1), 11-17
  21. 이배연, 2005, 농촌경관 분석을 위한 평기지표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이상영, 2002,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농촌경관평가의 한.일 비교, 한국축산경영학회지.한국농업정책학회지, 29(4), 639-658
  23. 이영경, 2004, 자연경관의 특질 분석 :자연성에 대한 조경 전문가와 일반인의 평가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1(6), 1-14
  24. 이종성, 2001, 델파이 방법, 교육과학사
  25. 임승빈, 서정희, 박향춘, 정윤희, 2007, 경관유형 분류지표에 관한 연구 -자연 및 농촌경관 유형도 작성을 중심으로,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3(1), 41-50
  26. 정태일, 2004, 지구단위계획상의 경관계획요소 특성 연구,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7. 황재훈 외, 2007, 충청북도 경관 유형에 따른 경관 계획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 2007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42-153
  28. 황재훈, 조유경, 지강희, 2007, 충청북도 경관 유형에 따른 경관계획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42-153
  29. http://rural.rrdi.go.kr 농촌어메니티 자원도, 농촌자원 개발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