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ashion Brand Collaboration, with Whom and What to Collaborate? -Proposing a Strategic Collaboration Model, according to the Level of Clothing Involvement-

패션브랜드 제휴-누구와 무엇으로 제휴할까? -의복관여수준에 따른 전략적 제휴모형 제안-

  • Lee, Hye-Rim (Dept. of Fashion, Graduate School of Fashion. Dongduk Women's University) ;
  • Lee, Soo-Jin (Dept. of Fashion Design, Dongduk Women's University)
  • 이혜림 (동덕여자대학교 패션전문대학원 패션학과) ;
  • 이수진 (동덕여자대학교 의상디자인학과)
  • Published : 2008.09.30

Abstract

This research examined how customers evaluate fashion brand collaborations in speculating the collaboration factors, product, model, and designer. Respondents evaluated 8 different collaborate case cards from 1 to 8, presenting a certain fashion brand, who had recently teamed up with various kinds of product companies for collaboration. Product was foun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evaluating the collaboration case cards, analyzed through Conjoint Analysis. Respondents segmented additionally by clothing involvement valued different collaboration factors; products for the high clothing involvement group and messenger and designer for the low clothing involvement group. All the segments and respondents chose the best the card presenting blue jeans, Mr. Chang, and B.S. Choi, as similarity for products, fame for mdoel, and similarity for designer, respectively.

Keywords

References

  1. 김주호. (2001). E-mail 광고유형별 효과분석. 광고연구, 53, 47−71
  2. 마크, 고베. (2002). 감성디자인 감성브랜딩. 이상민 옮김 (2002). 서울: 김앤김북스
  3. 박재옥, 이경훈. (2007). 모바일 의류광고유형 및 소비자 관여에 따른 광고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1(1), 131−140 https://doi.org/10.5850/JKSCT.2007.31.1.131
  4. 쌍방향 콜레보레이션, 패션 속으로. (2005, 1. 3). 패션채널. 자료검색일 2007, 12. 10, 자료출처 http://www.fashionchannel.co.kr
  5. 양윤주. (2004). 정보처리동기, 제휴브랜드 시장지위가 브랜드 희석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학회, 33(1), 113−133
  6. 유오균. (2007). 브랜드 제휴에 대한 평가에 있어서 제휴파트너의 부정적 정보의 효과. 충주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7. 윤지영. (2004). 패션기업의 제휴유형과 브랜드 제휴에 대한 태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8. 이문규. (2003). 브랜드 제휴의 유형에 따른 소비자 평가. 한국경영학회, 32(3), 875−905
  9. 이승희. (2005). 브랜드 이미지와 광고모델 이미지의 일치성이 패션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지, 9(4), 161−169
  10. 이영선. (1991). 소비자의 의복관여와 외적정보탐색.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1. 이우용, 권오용. (1998). 마케팅 역량 강화를 위한 공동마케팅의 전략적 활용. 서강경영논총, 9(0), 343−357
  12. 이은영. (1991). 의복평가기준의 이론적 틀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5(3), 321−334
  13. 이은택, 정만수. (2001). 설득커뮤니케이션.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14. 이재훈. (2000). 섬유산업의 경쟁력 강화에 관한 연구. 경영연구, 15(4), 99−116
  15. 이정행. (2005). 메시지 소구방식에 따른 광고모델 유형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관여도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6. 임경복. (2001). 지각된 위험과 의복관여도가 정보탐색 활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5(2), 206−216
  17. 임경복. (2007). 의복관여도와 충성성향이 정보탐색 활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31(9), 1396−1407 https://doi.org/10.5850/JKSCT.2007.31.9_10.1396
  18. 장유리. (2000). 문화이벤트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Event Identity에 관한 연구: 국내의 전시형 문화이벤트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 장윤희. (2005). 브랜드 제휴가 소비자의 제휴브랜드 제품태도에 미치는 영향.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 정세하. (2004). 기업간 브랜드 제휴전략에 의한 브랜드 자산가치 증가에 관한 연구: 브랜드 이미지 및 지각 품질에 근거한 자산가치 증가에 대한 연구.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1. 조동성, 조현덕. (1998). 국내 파트너 기업특성이 외국인 합작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95−99
  22. 패션비즈니스의 향후 전망. (2001, 4). 패션비즈. 자료검색일 2007, 12. 12, 자료출처 http://www.fashionbiz.co.kr
  23. 패션업계의 공동마케팅 collaboration 사례. (2003, 1. 27). 삼성패션연구소. 자료검색일 2007, 11. 20, 자료출처 http://www.samsungdesign.net
  24. 홍원표. (2005). 패션기업 콜레보레이션 실태와 특성. 한국의류학회지, 30(7), 1001−1011
  25. Park, C. W. & Allan, D. S. (1996). Composite branding alliances: An investigation of extension and feedback effect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33, 453−466 https://doi.org/10.2307/3152216

Cited by

  1. Consumer Responses toward Fashion Collaboration Brands -Effects of Collaboration Type and Brand Sensitivity- vol.36, pp.10, 2012, https://doi.org/10.5850/JKSCT.2012.36.10.10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