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pping Method for a Detailed Stock Map Plan(Age-Class) for a Small-Scale Site for Development Work

소규모 개발 사업지의 정밀 임상도(영급) 작성 방안 연구

  • Lee, Soo-Do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Jinju National Univ.) ;
  • Kim, Jeong-Ho (Dept. of Specialization Project, Dongmoon Construction Co., Ltd.)
  • 이수동 (진주산업대학교 조경학과) ;
  • 김정호 (동문건설(주) 특화사업부)
  • Published : 2008.08.31

Abstract

Gwangtan-myeon, Paju-si, Gyeonggi-do was classified as a 4 grade age-class deciduous tree forest, however as a result of vegetation survey, this site was found to consist of natural forest with deciduous trees, thus causing difficulty in judging which age class it belongs to. Subsequently, the necessity of drawing up a detailed stock map plan was raised. For this reason, this research was designed to propose a mapping method for a detailed stock map plan based on a detailed survey on actual vegetation, vegetation structure, and analysis data on tree rings. The detailed analysis of actual vegetation pattern showed that there exist 22 patterns of vegetation, in which the natural forest has 11 patterns, such as Quercus mongolica forest and Q. variabilis forest, etc. while the artificial forest was found to have 6 patterns including Castanea crenata, etc. In order to verify their age-class, this research measured a tree age by collecting 42 quadrats and 89 specimen tree cores on the basis of a detailed actual vegetation map; as a result, an artificial forest and oak trees with small diameters located at low-lying areas, was categorized as 2-grade age class(covering 29.8%), and other areas were judged to be available for land use as 3-grade age-class(covering 57.6%) while the areas judged to be 4-or-more grade age-class (covering 8.8%) was impossible for land use because they are located on a steep slope ridge line on a boundary. In case a proposed site for a small-scale development is judged as a natural forest with deciduous trees as mentioned above, it is necessary that a detailed stock map plan should be drawn up through a detailed investigation into actual vegetation and analysis of plant gathering structure & specimen trees. A detailed stock map plan includes the data that makes it possible to comprehensively judge natural property, scarcity, and diversity of vegetation; thus, it is considered that a detailed stock map plan will be useful in judging the development propriety of a small-scale site.

국립산림과학원에서 발간된 임상도에 따르면 파주시 광탄면에 위치한 본 연구대상지는 활엽수 Ⅳ영급으로 분류되었으나 식생조사 결과 영급판정이 어려운 활엽수 천연림으로 구성되어 정밀 임상도 작성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정밀 현존식생 조사와 식생구조 및 연륜 분석 자료를 기초로 한 정밀 임상도 작성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정밀 현존식생유형 분석결과 22개 유형이었으며 자연림은 신갈나무림, 굴참나무림 등 11개 유형, 인공림은 밤나무림 등 6개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영급 판정을 위해 정밀 현존식생도를 바탕으로 방형구 42개와 89개 표본목의 목편을 채취하여 수령을 측정한 결과, 저지대에 입지한 인공림, 참나무류 소경목 지역은 II영급(29.8%), 나머지 지역은 III영급(57.6%)으로 토지이용이 가능하였고 Ⅳ영급 이상(8.8%)은 경계부의 급경사 능선부에 분포하여 토지이용은 불가능하였다. 이상과 같이 소규모 개발 예정지가 활엽수 자연림으로 판정된 경우 보전과 이용 판정에 있어 정밀 현존식생 조사, 식물군집구조 및 표본목 분석을 통한 정밀 임상도를 작성하여야 할 것이다. 정밀 임상도에는 식생의 자연성, 희소성, 다양성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자료가 포함되어 소규모 부지의 개발적정성 판단에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전오(2003) 환경친화적인 택지개발계획 수립을 위한 환경생태평가기법 활용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81 쪽
  2. 김정호(2001) 친환경적인 개발을 위한 환경성검토 강화방안-경기도 남양주시 개발예정지를 대상으로-.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4쪽
  3. 김형호, 정세경, 정주상(2006) 산림기능평가를 위한 GIS 응용모델 이 개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9(4): 1-11
  4. 서울특별시(2000) 도시생태 개념의 도시계획에의 적용을 위한 서울시 비오톱 현황조사 및 생태도시 조성지침 수립-1차년도 연구보고서-. 245쪽
  5. 성천경, 조정호(2004) 고해상도 정사위성영상을 이용한 임상도 수정에 관한 연구. 한국GIS학회지 12(2): 127-135
  6. 우종춘, 장재영, 신현지(2004) 수치 임상도를 이용한 강원도 삼척시 민유림 산림기능에 관한 연구. 산림경제연구 12(2): 36-47
  7. 이경재, 박인협, 조재창, 오충현(1990) 속리산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II)-Classification 및 Ordimation 방법에 의한 식생분석-.응용생태연구 4(1): 33-43
  8. 이규성, 윤정숙(1999) 임상도와 위성영상자료를 이용한 산림지역의 녹지자연도 추정기법 개발. 환경영향평가 8(3): 77-90
  9. 이수동(2007) 택지개발지구에서의 비오톱 평가에 기초한 환경생태계획 기법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4(6): 22-38
  10. 이승호, 조현국(2004) 위성영상을 이용한 수치임상도 갱신. 산림과학정보 459: 118-121
  11. 이여하(1989) 측수학 요론. 기전연구사, 260쪽
  12. 최송현(1996) 산림생태게의 환경영향평가기법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49쪽
  13. 한국수자원공사(2004) 토취장 자연생태계 평가 및 녹지 조성계획. 252쪽
  14. Fritts, H. C.(1976) Tree rings and Climate. Academic Press Inc. (London)Ltd. 567pp
  15. Curtis, J.T. and R. P. McIntosh(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nsconsin. Ecology 32: 476-496 https://doi.org/10.2307/1931725
  16. http://www.kfri.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