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f Father related Variables Influencing Children's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아버지 관련 변인이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Kim, Hae-Do (Dept. of Child & Family Studie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도금혜 (경북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Published : 2008.10.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ther related variables on children's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Father related variables were father's child-rearing involvement, fathers parenting behavior and father-child communication style. The subjects were 236 - 5th and 6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s in Daegu. The major finding were as follows: First, children's self-esteem was affected by father's child-rearing involvement, fathers parenting behavior and father-child communication style. Second, father's parenting behavior has great effect on children's self-esteem than any other variables. Third, children's school adjustment was affected by father's child-rearing involvement, fathers parenting behavior and father-child communication style. Fourth, father-child communication style has great effect on teacher adjustment than any other variables. father's parenting behavior has great effect on pee. adjustment than any other variables. father-child communication style has great effect on school education adjustment than any other variables. Father's child-rearing involvement has great effect on school rule adjustment than any other variables.

Keywords

References

  1. 김경희(2000). 아버지의 심리적 자세 및 양육참여도가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규수, 윤진주, 김선혜(2004). 유아의 사회 성숙도와 아버지 관련 변인들과의 관계성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9(2), 277-295.
  3. 김미애(1997).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과 가족체계특성과 청소년의 성격특성.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김은경, 유가효(2002). 아버지 양육태도와 아동의 자아존중감, 문제행동 간의 관계. 놀이치료연구, 5(1), 33-43.
  5. 김정선(1996). 어머니와 고등학생 자녀 간 의사소통과 자아존중감.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김정화, 김언주(2007). 아버지의 양육행도 및 아동의 학습태도와 아동의 대인관계 스트레스 관계. 아동교육, 16(3), 85-92.
  7. 김희화(2005). 아버지의 양육참여 실태 및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대한 아버지 양육참여의 영향. 아동학회지, 26(5), 311-330.
  8. 노호은, 박경자(2001).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자녀 양육태도와 자기효능감간의 관계. 연세교육과학, 49, 55-71.
  9. 문혁준(1999). 아동기의 부모자녀 양육태도와 대학생이 지각하는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37(9), 141-152.
  10. 박영신, 김의철, 정갑순(2004). 한국 청소년의 부모자녀관계와 성취에 대한 종단연구 : 자기효능감과 성취동기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 사회문제, 10(3), 37-59.
  11. 백남근(2001). 부모의 의사소통 유형과 자기효능감 및 진로성숙도와의 관계.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성귀자(1999). 아버지의 자녀 양육참여도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손미리(1997). 청소년이 지각한 아버지의 역할수행과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송순, 송희옥(2005). 양육행동에 대한 아버지신념과 아동의 자기능력지각과의 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1), 37-62.
  15. 송요현, 현은강(2006). 아버지 역할수행과 아동 및 청소년의 사회성. 아동학회지, 27(5), 19-34.
  16. 신효미(2007).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행동과 학교생활적응이 인터넷 게임중독 위험성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오윤자(2004). 초등학생 아버지-자녀가 지각한 의사소통 유형과 자녀의 자기효능감. 한국가족관계학회지, 9(2), 201-129.
  18. 우수경(2002). 유아의 정서능력과 관련변인가의 구조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 우수경, 정영숙(2003). 부모의 정서표현성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 충북대학교, 생활과학연구논총, 7(1), 99-119.
  20. 우정희(2002). 아버지의 결혼만족도와 양육태도가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윤서영(1999). 아동의 역할수행과 아동의 사회적 적응과의 관계.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유우영, 이숙(1998). 유아의 사회적 적응과 관련변인과의 인과관계. 대한가정학회지, 36(10), 65-78.
  23. 윤미애, 오윤자(2005). 아버지-자녀의 의사소통 유형과 자기효능감에 대한 연구 -초등학생을 중심으로-. 아동교육, 14(1), 115-129.
  24. 이영희(2006). 아동이 지각한 아버지의 의사소통유형 및 양육참여도와 성역할 정체감과의 관계.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이은숙(1999). 아동이 지각한 아버지-자녀간 의사소통 방식과 아동의 자아개념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이학옥, 이정숙(2005). 아버지의 자녀양육행동과 청소년기 자녀의 자기존중감의 형성. 한국생활과학연구, 18, 49-60.
  27. 이희숙(1984). 자녀가 지각한 부친의 양육태도와 자아개념과의 상관관계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8. 임현수(2007). 초등학생이 지각한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자녀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정지영, 김희화(2005). 아버지와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청소년의 자율학업동기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3(9), 163-173.
  30. 정현희, 최경순(1995).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아동의 성역할, 정서반응, 친사회적 행동과의 관계. 아동학회지, 16(1), 33-47.
  31. 조주은(2004). 아버지의 양육행동 및 참여도와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행동과의 관계.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2. 지효숙(2007). 아버지-자녀 간 의사소통과 청소년 자녀와의 친밀도 관계 연구. 부산교육학연구, 20, 153-170.
  33. 최경순(1992). 아버지의 양육행동 및 참여도와 아동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4. 최애나 (2007). 음악치료가 소득계층별 아동의 공격성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저소득층과 중산층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5. 한미자(2002).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와 아동의 자기능력지각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6. 현정환(2004). 아버지의 아동발달의 이해 및 양육행동에 관한 연구 -어머니와의 비교를 통하여-.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16(2), 171-180.
  37. 황순영(2004). 아버지의 양육참여도 및 역할만족도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8. 황순영, 정영숙, 우수경(2005).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와 역할만족도 및 유아의 사회적 능력. 한국생활과학회지, 14(4), 521-529.
  39. 황영미, 문혁준(2006). 또래수용도와 아동의 기질,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아버지의 양육참여도. 대한가정학회지, 44(2), 83-91.
  40. Barnes. H., & Olsen, D. H.(1985).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the Circumflex Model. Child development, 56, 437-444.
  41. Coley, R. L.(1998). Children's socialization experiences and functioning in single-mother households: The importance of fathers and other men, Child Development, 69(1), 219-230. https://doi.org/10.1111/j.1467-8624.1998.tb06144.x
  42. Coosey, E. C., & Fondell, M. M.(1996). Spending time with his kids: Effects of family structure on father's and children's love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8(3), 693-707. https://doi.org/10.2307/353729
  43. Flouri, E., & Buchanan, A.(2004). Early father's and mother's involvement and child's later educational outcomes. British of Educational Psychology, 74, 141-153. https://doi.org/10.1348/000709904773839806
  44. Huntsinger, C. S., Jose, P. E., & Larson, S. L.(1998). Do parent practices to encourage academic competence influence the social adjustment of young European American and Chinese American children? Developmental Psychology, 34(4), 747-756. https://doi.org/10.1037/0012-1649.34.4.747
  45. Lamb, M. E., Pleck, J. H., & Levine, J. A.(1985). The role of the father in child development: The effects of increased paternal involvement. In B. S. Lahey & A. E. Kazdin(Eds.), Advances in clinical child psychology (Vol. 8). New York : Plenum.
  46. McDonald, K., & Parke, R. D.(1984). Bridging the gap: Parent-child play interaction and peer interactive competence. Child development, 55, 1267-1277.
  47. Rosenberg,M.(1979). Conceiving theself. New york : Basic Book

Cited by

  1.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ocial Relationships, Self Esteem, Life Satisfaction, and School Adjustment in Early Adolescents vol.33, pp.1, 2012, https://doi.org/10.5723/KJCS.2012.33.1.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