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New High-Quality, Disease Resistance and High-Yielding Rehmannia glutinosa Cultivar, "Kokang"

고품질 내병 다수성 지황 고강

  • Received : 2008.03.05
  • Published : 2008.03.10

Abstract

Kokang is a high-quality, disease resistant and high-yielding Rehmannia glutinosa cultivar developed by the medicinal crop breeding team of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during the period from 1997 to 2005. The reproduction of Rehmania glutinosa has been accomplished mainly by vegetative propagation with its seedlings have many variants. The cultivar was selected from seedling of Jihwang 1. The plant type of Kokang is some rising from ground. It has higher disease resistance, catalpol content and extract content compared with Jihwang 1. Regional yield trials conducted at three site from 2003 to 2005. The root yield of Kokang was 11.8ton per hectare, which was increased 13% compared with a check variety, Jihwang 1. This cultivar is adaptable to the whole of Korea except for mountain areas.

"고강"은 고품질 내병 다수성 지황 개발을 목표로 지황1호 실생 집단에서 우량 개체를 선발, 증식을 거친 후 2001~'02년 생산력 검정시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고품질이면서 병해에 강하고수량성이 높아 수원7호로 계통명을 부여한 후, 2003~'05년까지 3년간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한 결과 우수성이 인정되어 2005년 12월 직무육성 품종 심의회를 거쳐 "고강"으로 명명하였는바 그 주요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고강의 초형은 지면에서 약간 솟아오르는 형태를 나타내며, 생육중기 완전 전개된 잎중 가장 어린잎들의 색깔은 안토시아닌 색소를 거의 띠지 않아 대비품종과 구별된다. 2. 고강은 지황1호에 비하여 잎이 크고 많으며, 뿌리가 굵고 길다. 3. 고강은 병에 대한 저항성도 비교적 강하여 생산의 안정성이 높은 품종이다. 4. 고강은 2003~'05년까지 3년간 실시한 지역적응시험결과 수원 등 3지역에서 모두 증수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3지역의 10a당 평균 수량은 1,186kg로 지황1호 대비 13% 증수하였다. 5. 고강은 지황의 주요성분인 catalpol과 엑스함량이 지황1호에 비하여 많은 고품질 품종이다.

Keywords

References

  1. 농림부. 2006. 특용작물.인삼 생산실적
  2. 농촌진흥청. 2003-2005. 신품종개발공동연구보고서
  3. 송주택. 1983. 한국자원식물. 한국자원식물연구소. 924p
  4. 안덕균,김창민,신민교,이경순.1998.중약대사전.도서출판 청담. pp. 168-176
  5. 이창복. 1993.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680p
  6. 작물시험장. 1998-2002. 시험연구보고서(특용작물편)
  7. Ma JY, Ha CS, Sung HJ, Zee OP. 2000. Hemopoietic effects of rhizoma rehmanniae preparata on cyclophosphamideinduced pernicious anemia rats. Kor. J. Pharmacogn. 31(3):325-334
  8. Morota T, Sasaki H, Nishimura H, Sugama K, Chin M, Mitsahashi H. 1989. Two iridoid glycosides from Rehmania glutinosa. Phytochemistry. 28:2149-2153 https://doi.org/10.1016/S0031-9422(00)97934-2
  9. Oshio H, Naruse Y, Inoue H. 1984. Quantitative analysis of iridoid glycoside of Rehmaniae radix. Shoyakugaku Zasshi. 35:291-294
  10. Park BY, Chang SM, Choi J. 1989. Relationships between the inorganic constituents contents and the catalpol and sugar contents in the rhizoma of Rehmania glutinosa. J. Korean Agric. Chem. Soc. 32(3):249-2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