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New High Amylose Rice Variety "Goamibyeo"

아밀로스함량이 높은 벼 품종 "고아미벼"

  • Received : 2008.12.03
  • Published : 20081200

Abstract

'Goamibyeo', a mid-late maturing ecotype with high amylose content in kernels, was developed by the rice breeding team of National Yeongnam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NYAES) in 2000 and released in 2001. This variety was derived from the three way cross of Milyang 95//Kimcheonaengmi/$2^*Ilpumbyeo$ (in 1992 summer) through the pedigree breeding method and designated as 'Milyang 168' in 1997. The heading date of 'Goamibyeo' was Aug. 18 in ordinary season with culm length of 85 cm. However, 'Goamibyeo' showed susceptible to bacterial leaf blight, stripe virus and leaf blast disease. The amylose content of 'Goamibyeo' in milled rice kernels is about 26.7% with translucent and clear in chalkness. Thus, 'Goamibyeo' is expected to be used as a source grain for rice noodle industries. The milled rice yield potential of 'Goamibyeo' is about 5.38 MT/ha in local adaptability test of three years and it would be adaptable to Yeongnam plain of Korea.

'고아미벼'는 쌀가루를 가공하여 제면용으로 이용할 품종을 육성 할 목적으로 영남농업시험장에서 육성한 고아밀로스 품종으로서 그 주요특성과 수량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출수기는 남부평야지의 보통기재배에서 8월 18일로 '동진벼'와 같은 중만생종이다. 2. 수당립수는 '동진벼'보다 많으나 등숙비율 및 현미천립중은 '동진벼'보다 낮은 편이며 기타 도정특성은 '동진벼'와 비슷하다. 3. 70일 묘대일수에서 불시출수가 적으나 냉수관개에서 임실률이 낮아 내냉성은 '동진벼' 보다 낮은 편이나 내도복성은 우수하다. 4. 도열병 등 병해에는 약한 편이고 주요 충해에 대한 저항성은 없다. 5. '고아미벼'는 특히 아밀로스함량이 26.7%로 높아 고형물의 용출율이 적고, 가공 후 고형물의 찰성이 적어 제면용으로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6. 수량성은 남부평야지의 보통기 보비재배에서 쌀수량이 5.38 MT/ha로 '동진벼'보다 4% 증수 되었으며, 이모작에서는 4.88 MT/ha, 만식재배에서는 4.80 MT/ha로 '동진벼'대비 각각 1% 증수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박래경, 조수연. 1990. 쌀품질의 고급화 육종현황과 금후전 략. '90 수입개발대책 45:30-40
  2. 영남농업시험장. 1997. 시험연구보고서
  3. 농촌진흥청. 1998. 하계작물 신품종 공동연구보고서
  4. 농촌진흥청. 1999. 하계작물 신품종 공동연구보고서
  5. 농촌진흥청. 2000a. 2000 하계작물 신품종 공동연구보고서
  6. 농촌진흥청. 2000b. 2000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 선정위원 회 결과
  7. 농촌진흥청. 2000c. 하계작물 신품종개발공동사업과제 수행 계획서
  8. 영남농업시험장. 2000. 시험연구보고서
  9. 한국쌀연구회. 2002. 쌀 상품화 및 고부가가치화 생산현황과 개발전략.한쌀회 총서12권
  10. 한국쌀연구회. 2005. 쌀 소비촉진 방안. 한쌀회 총서 19권 : 40-50
  11. 한국쌀연구회. 2006. 한국 쌀 산업의 최근 10년과 미래. 한쌀회 총서 20권:161-181
  12. 한국쌀연구회. 2008. 세계식량 위기와 우리 쌀 산업. 한쌀회총서 24권:180-1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