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cognition and Attitudes on Ethical Issues for DNR of 119 Rescue Party

119구급대원의 심폐소생술 비 시행(DNR)과 관련된 윤리문제 인식 및 태도

  • You, Soon-Kyu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al Care, Eulji University) ;
  • Jung, Ji-Yeon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al Service, Howon University) ;
  • Shin, Sang-Yol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al Service, Howon University) ;
  • Choi, Yoo-Im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Howon University) ;
  • Choi, Hea-Kyung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al Service, Choonhae College of Health Sciences)
  • 유순규 (을지대학고 응급구조학과) ;
  • 정지연 (호원대학교 응급구조학과) ;
  • 신상열 (호원대학교 응급구조학과) ;
  • 최유임 (호원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 최혜경 (춘해대학 응급구조과)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This study as a descriptive survey was to investigate recognition and attitudes on ethical issues for DNR of 119 rescue party who are working on the field, and to develop an objective framework which helps rescue team to manage DNR pati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subject were 226 rescue party in Jeollabuk-do area in Korea. Study was practiced from May 6 through June 20, 2009,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x^2$-test, crosstabs using SPSS Win 12.0. The results indicated that ethical attitudes on subjects' factors(sex, age, religion, marital status, clinical working career, current working area, current position, educational experiences for ethics and values, DNR education places, DNR implication experience, and DNR consulting demand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fore, following researches will be necessary in order to consider measures about DNR based on this study.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장에서 근무하는 119 구급대원들을 대상으로 DNR(Do not resuscitate)과 관련된 이들의 윤리문제 인식 및 태도를 알아봄으로써, DNR 대상 환자 처치에 도움이 되는 객관적인 기틀을 마련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전라북도 소방서에서 근무하는 구급대원 21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09년 5월 6일부터 6월 20일까지였으며, 자료수집 방법은 구조화된 질문지를 이용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은 SPSS 12.O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x^2$-test, 교차분석이다. 연구 결과 대상자의 성별, 연령, 종교, 결혼상태, 임상근무경력, 현재 근무지 경력, 현재직위, 윤리 및 가치관에 관한 교육경험, DNR 교육 받은 곳, DNR 실행경험, DNR 상담요청에 따라 윤리적 태도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DNR에 관한 대책을 마련하기 위하여 더 많은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진윤, 조형상. 종합병원에서의 "Do Not Resuscitate" 명령. 대한구급의학회지, 5(1). pp. 5-11. 1990.
  2. Sharon G, James P. DNR or CPR-the choices. Critical Care Medicine. 20(9). pp. 1263-1272. 1992. https://doi.org/10.1097/00003246-199209000-00013
  3. 김성렬. DNR이 결정된 무의식 환자 가족의 경험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4. 강현임. 심폐소생술금지에 대한 간호사와 의사의 인식과 경험. 한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5. 허대석. 무의미한 치료의 중단. 대한의사협회지. 44(9). pp. 956-962. 2001.
  6. Hakim, R.B, Teno, J.M, Harrell, F.E., Knaus. W.A., Wenger. N., Phillips, R., Layde, P., Califf, R., Connors. A.F., Lynn, J.Factors Associated with D0-Not-Resuscitate Orders. Annals of Internal edicine. 125(4). pp. 284-293. 1996. https://doi.org/10.7326/0003-4819-125-4-199608150-00005
  7. Simpson, S. A Study into Uses and Effects of Do-Not-Resuscitate orders in the Intensive Care Units of to Teaching Hospitals. Critical Care Nursing. 10. pp. 12-22. 1994. https://doi.org/10.1016/0964-3397(94)90074-4
  8. 김상희. 암환자의 DNR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9. 성미혜, 박재희, 정경은, 한혜란. 중환자실간호사의 DNR과 관련된 윤리문제의 인식 및 태도 조사. 임상간호연구. 13(3). pp. 109-122. 2007.
  10. Tittle, Linda Moody, Becker P. Preliminary development of Two Predictive Models for DNR patients in Intensive care. Image J Nurs Sch. 23(3). pp. 140-144. 1991. https://doi.org/10.1111/j.1547-5069.1991.tb00658.x
  11. 이순행, 김정숙, 황문정, 황버들, 박윤정. 임상 간호사의 DNR과 관련된 윤리문제에 대한 태도 조사. 임상간호연구. 4(1). pp. 147-162. 1998.
  12. 정수현. 간호사의 DNR 관련 윤리적 태도와 간호 전문직관. 관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13. 한성숙, 장순아, 문미선, 한미현, 고규희. DNR에 대한 간호사의 인식 및 태도조사 연구. 간호행정 학회지. 7(3). pp. 403-414. 2001.
  14. 이미희. 심폐소생술 금지(DNR)에 대한 노인들의 태도와 우울 및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15. 전명희. 노인의 심폐소생술 비 시행(DNR)에 대한 간호사의 인식. 한양대학교 임상간호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16. 이윤복. 심폐소생술금지(DNR)에 대한 간호사와 의사의 인식과 경험 및 윤리적 태도. 임상간호연구. 13(2). pp. 73-85. 2007.
  17. Ellen R. Family dynamics in the of life treatment decision. Gen Hosp Psychiatry. 16(4). pp. 251-258. 1994. https://doi.org/10.1016/0163-8343(94)90004-3
  18. Stuart. J., Younger, M. D. Beyond DNR: Fine-tuning end-of-life decision making. Neurology. 45. pp. 615-616. 1995. https://doi.org/10.1212/WNL.45.4.615
  19. 고효정. DNR에 대한 간호사의 윤리적 태도와 DNR 결정후 간호활동의 변화 연구. 조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Cited by

  1. Recognition and Attitudes on DNR of College Students (Focused on Comparison between Nursing and Non-Health Department College Students) vol.11, pp.12, 2010, https://doi.org/10.5762/KAIS.2010.11.12.4907
  2. Awareness and Ethical Attitudes about DNR of Emergency Department Students(Differences in Recognition According to Bioethics Education) vol.15, pp.2, 2014, https://doi.org/10.5762/KAIS.2014.15.2.1074
  3. Perceptions about the Professional Ethics of EMT vol.28, pp.1, 2014, https://doi.org/10.7731/KIFSE.2014.28.1.0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