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derating Effects of the Childcare Teacher's Ego-resilience on Relationship between Their Job Satisfaction and Burnout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소진과의 관계에 대한 자아탄력성의 중재효과

  • Lee, Jeung-Hee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WooSong Information College) ;
  • Cho, Song-Yon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Hoseo University)
  • Published : 2009.12.30

Abstract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childcare teacher‘s ego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job satisfaction and burnout. The participants were 336 childcare teachers from Chungnam-do and Daejeon Metropolitan City. The research instruments were the Job Satisfaction Scale modified from Bently and Remple 1970), the Ego-resilience Scale from Park(1996) with CPI and CAQ correction, and Maslach Burnout Inventory from Maslash and Jackson(1981). SPSS PC program(17.0) was used for productive correlatio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d reliability by Cronbach's as data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the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ego-resilience level were above average (M=3.37, 3.58 each), while their burnout level was below average(M=2.57). Secondly,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ir job satisfaction and burnout(r=-.51), while a positive correlation was between their job satisfaction and ego-resilience(r=.34). Thirdly, the burnout and ego-resilience against job satisfaction explained 28.1%. The optimistic attitude of the childcare teacher‘s ego- resilience was shown to moderate the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Keywords

References

  1. 경규혜(1995) 보육교사의 근무실태와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구은미, 김광웅(2005) 보육프로그램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관련변인의 인과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0(3), 139-157.
  3. 김수원(1998)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연진(1995) 탁아프로그램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원장 및 교사변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김용미(2003) 유아교사들의 소진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사회적 지지에 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34, 111-127.
  6. 김인숙(2009) 교사의 팔로우십 유형에 따라 원장-교사 교환관계, 자아탄력성, 조직문화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김주연(2007) 대학생의 정서지능과 자아탄력성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춘예(1998) 보육시설 보육교사의 근무조건과 직무 만족간의 상관연구.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혜성(2001)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소진 경험과 직무만족간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민선우(2004) 유아교사의 자아개념과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박근희(2003) 유치원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자아 개념과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박현진(1997) 자아탄력성에 따른 지각된 스트레스, 대처 및 우울.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변미희(2004)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관련 변인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영유아보육학 36, 95-117.
  14. 송미연(2001) 24시간 어린이집 야간보육교사의 근무 만족도 및 요구도에 관한 연구: 서울과 인천지역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15. 송유진(1993) 유아교육기관의 조직풍토와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심순애(2007)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지지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여선영(2005) 아동상담자의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소진(Burn Out)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오선균(2001) 보육교사의 직무 만족과 소진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용인경(2003) 기혼유아교사의 가정 내 역할갈등과 자기효능감 및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카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유정혜(1997) 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1. 이경선(2000) 보육의 질에 영향을 주는 관련변인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이은해, 이미리, 박소연(2006) 아동연구방법. 서울: 교문사. 97.
  23. 이정희(2006) 유치원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소진. 우송정보대학논문집 35. 443-458.
  24. 이희자, 송민재(2001) 교사가 지각한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지도성과 교사의 직무만족도. 한국생활과학회지 10(2), 153-163.
  25. 임영순(2001) 유아교사의 자아개념과 직무 만족도와의 관계 연구.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6. 임정숙(1998) 보육교사 직무만족에 관한 조사 연구: 충남지역 어린이집을 중심으로. 한남대학교 지역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장휘숙(2001) 애착과 다섯 가지 성격특성들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4, 105-119.
  28. 정효정(2003) 보육교사의 조직환경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요인분석. 한국영유아보육학 33, 273-305.
  29. 조부경, 고영미, 박근희(2003) 유치원교사의 직무만 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자아개념 요인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24(6), 81-94.
  30. 조성연(2004) 보육교사의 직무 만족도와 직무스트레스. 한국영유아보육학 36, 23-44.
  31. 조성연(2005)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소진. 한국생활과학회지 14(1), 69-79.
  32. 조성연, 이정희, 황혜정, 나종혜, 양성은(2008)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 서울: 신정. 57.
  33. 조성연, 이정희, 김온기, 제경숙, 황혜정, 나유미 (2004) 영유아보육론. 서울: 학지사. 104.
  34. 중앙보육정보센터(2009) 2008년 12월 말 기준 보육통계 10. 15. http://www. educare.or.kr.
  35. 한임순, 김향자(1998)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만족과 소진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14, 171-218.
  36. 현미옥, 송순(2008) 보육교사 직무만족도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4(2), 81-109.
  37. 홍승희(2009) 지적장애 특수학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 및 심리적 소진의 관계. 충북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황신덕(2004) 상사 리더십 및 상사에 대한 신뢰와 구성원 태도와의 관계에 있어서 자아탄력성(egoresilience) 의 조절 효과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Block JH, Block J(1980) The role of ego-control and ego-resiliency in the organization of behavior, In W. A. collins (Ed), Minnesota symposia on child psychology 13, 39-101.
  40. Freudenberger J(1977) Burnout: Occupational hazard of the child care worker. Child Care Quarterly 6, 2.
  41. Garmezy N(1983) Stressor in childhood. In N. Garmezy., & M. Rutter(Ed). Stress, coping, and development in children. New York : McGraw- Hill.
  42. Hilebrand J, Seefeldt C(1986) Teacher burnout and environmental quality in child care centers. Child Care Quarterly 15(2), 90-97. https://doi.org/10.1007/BF01121153
  43. Higgeins GO(1994) Resilient adults: Overcoming a cruel past. New York: Jossey-Bass.
  44. Huang HW(2001) Kindergarten teacher job satisfaction and the need for continuing education in Southern Taiwan. Unpublished doctori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South Dakota, California.
  45. Klohnen EC(1996) Conceptual analysis and measurement of the construct of ego- resilienc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70(5), 1067-1079.
  46. Manlove E(1993) Multiple correlates of burnout in child care worker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8, 499-518. https://doi.org/10.1016/S0885-2006(05)80082-1
  47. Maslash C, Jackson SE(1981) Maslash Burnout Inventory: Manual.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