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Group Horticultural Therapy on the Change of Depression and Self-esteem in Older Adult

집단원예치료가 노인의 우울감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 Han, Kyung-Hee (Dept. of horticultural therapy, Graduation school of Dankook university) ;
  • Lee, Sang-Mi (Dept. of horticultural therapy, Graduation school of Dankook university) ;
  • Suh, Jeung-Keun (Dept. of horticultural therapy, Graduation school of Dankook university)
  • 한경희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원예치료학과) ;
  • 이상미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원예치료학과) ;
  • 서정근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원예치료학과)
  • Published : 2009.08.25

Abstract

This research was performed for the purpose of activation that group horticultural therapy improved the effect of therapy for the older adult and was verified the therapeutic elements and the operating method for horticultural therapy. In this study, group horticultural activities consisted of four stage, namely, initial stage, conflict stage, working stage and final stage. The initial stage was to understand their treatment process of horticultural therapy. The transition stage was to have the opportunity of mutual understanding. The working stage was to gain the feeling of satisfaction and accomplishment from the experience of horticultural therapeutic elements. The final stage was to confirm their activities to manage their emotion and behavior in social life.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empirical evidence to improve self-esteem and to reduce depression of older adult through horticultural therapy. Certainly, the present paper was limited in scope. Further studies on different large scale assessments are needed.

본 연구는 원예치료와 집단치료가 매우 유용한 노인들에게 집단원예치료를 적용하여 집단원예치료의 치료적 요소들과 운영 방법들을 검증해 보고, 또한 노인을 대상으로 한 원예치료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집단원예치료를 이용하고 활성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집단발달단계에 따른 치료목표를 설정하여 전체원예활동은 실내, 실외 프로활동을 병행하였고, 실외활동은 주로 '시간 중심형 활동(time focused activities)'을 수행하였고 회기별 원예활동은 평균 50분, 5~10명 내외의 개별, 2인집단, 전체집단의 그룹 활동으로 진행되었으며 집단원예치료의 운영 방법을 적용하여 수행하였다. 시작단계는 1회기부터 2회기로 이 단계에서는 치료사와 대상자, 비대상자에 대한 소개가 이루어지며 치료사와 대상자, 대상자와 대상자, 대상자와 비대상자간의 관계형성을 위하여, 자기소개 및 활동 이해하기, 자기텃밭 정하기 및 텃밭정리 등의 활동을 구성하였고 집단의 형태는 집단전체, 2인 집단으로 수행하였다. 갈등단계는 3회기부터 6회기로 식재 준비활동, 번식, 재배, 수확 등과 같은 재배와 관련된 활동은 식물생장을 경험하게하고 식물의 삶의 주기와 인간 삶의 주기를 통합시켜 자신의 감정을 표출하고 현재 자신의 모습을 인식시키기 위하여 텃밭에 가을채소 모종심기, 박스에 쪽파심기, 비료주기 및 텃밭관찰, 국화삽목 등의 활동으로 2인집단의 형태로 구성하여, 식물의 삶의 주기와 인간 삶의 주기를 통합시켜 자신의 감정을 표출하고 집단 내, 집단 간, 상호탐색의 기회를 제공하도록 하였다. 작업단계는 7회기부터 10회기로 본 활동의중, 후반부에 해당되며 재배관리, 수확, 장식 및 재배 결과물 선물하기 등의 활동반복을 통하여 안정감, 만족감, 성취감 획득 등의 긍정적 정서를 갖고 표현하도 록 유도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종결단계는11회부터 12회 기로 전체활동을 마무리하는 단계로써 가족에게 편지쓰기, 삽목국화화분 짝에게 선물하기, 집단전체가 각자 나무의 빈 곳을 채워가며 조화롭게 X-mas트리를 만들고 모두가 함께 보고 즐길 수 있는 장소에 설치한 후느낌나누기 등의 활동을 집단전체, 개별의 형태로 구성하여 치료가 끝남에 대한 감정을 다스리고 이별을 준비하며 집단원예치료의 의미파악과 집단치료의 목적, 목표와 개별 목표, 활동에 대한 반응을 확인하는 과정이 되도록 하였다. 결과에 따르면, 집단원예치료 전, 후 노인의 우울감 변화는 일반노인의 경우, 실험군 평균이 2점 감소하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P= 0.027*). 대조군의 경우, 우울감의 평균이 1.9점 증가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치매노인의 경우, 실험군 평균이 2.8점 감소하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P=0.017*). 대조군의 경우, 우울감 평균이 0.9점 증가 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집단원예치료 전, 후 노인의 자아존중감 변화는 일반 노인의 경우, 실험군 평균이 4.9점 증가 하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P=0.027*). 대조군의 경우, 자존감 평균이 1점 감소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치매노인의 경우, 실험군 평균이 4.1점 증가하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P=0.018*). 대조군의 경우, 1.4점 감소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금미혜. 2006. 원예치료가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보건스포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기주. 2004. 원예치료가 치매노인의 우울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호남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득이. 2006. 원예치료가 중증뇌질환 노인의 손 기능과 인지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구카톨릭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영희. 2006. 원예치료프로그램이 시설노인의 사회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상주대학교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도란주. 2007. 농촌건강 장수마을 노인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원예치료 프로그램 적용과 효과 :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읍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박재숙. 2007. 원예치료가 치매노인의 우울 및 정서적 안정에 미치는 영향. 밀양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송금자. 2007. 재활평가도구를 활용한 원예치료가 치매 노인의 인지 및 상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농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이자운. 2008. 원예치료프로그램이 장기입원노인의 우울 및 지속성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이은숙. 2008. 원예치료가 주간보호시설을 이용하는 여성노인의 우울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목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이영자. 1996.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과 우울 및 불안과의 관계. 서울여대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이현주. 2008. 원예치료가 일반노인과 치매노인의 손기능과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대구카톨릭대학교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윤숙영. 2007. Pincus의 재활실천이론에 근거한 원예치료 적용이 치매노인의 일상활동기능 및 생리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박사학위논문.
  13. 전병제. 1974. 자아개념 측정 가능성에 관한 연구. 연세논총, 11(1). 연세대학교 대학원.
  14. 정수찬. 2006. 색채를 활용한 원예치료프로그램이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정성애. 2005. 심리적 적응단계에 따른 원예치료 프로그램 적용이 뇌졸중 환자의 심리.신체적 재활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농축대학원석사학위논문.
  16. 정선희. 2004. 원예치료가 노인성질환자들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경상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정인과 곽동일 신동균 이민수 이현수 김진영. 1997. "노인우울척도(Geriatric Depression Sclae)의 신뢰도, 타당도 연구" pp.112.
  18. 주은연. 2005. 원예치료가 학습부진아의 행동특성 및 정서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조문경. 2008. 치매환자의 인지기능 및 행동심리증상 향상을 위한 비약물적 치료로서의 원예치료. 건국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최규식. 2006. 원예치료가 치매노인의 우울증과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성산효도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최선남, 김갑숙, 전종국. 2007. 집단미술치료. 서울: 학지사.
  22. 한경희. 2009. 집단원예치료 모델구성 및 적용. 단국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3. 한경희, 이상미, 서정근. 2008. 문헌고찰을 중심으로 한집단원예치료 모델의 개념적 틀. 한국식물인간환경학회지:11(4):53-64.
  24. 한경희, 이상미, 서정근. 2009a. 원예치료 연구논문의 집단운영 유형 분석. 한국식물인간환경학회지: 12(1):27-35.
  25. 한경희, 이상미, 서정근. 2009b. 원예치료 연구논문에 나타난 집단원예치료 요소에 대한 분석. 한국식물인간환경학회지 12권 3호 계정 예정.
  26. Bennis W.G. & H.A. Shepard 1956. A theory of group development. Human Relations, 9(4):415-37 https://doi.org/10.1177/001872675600900403
  27. Corey, G. & Corey, M. S. 1977. Groups: Process and practice. Belmont. CA:Wadsworth.
  28. Corey, M. S. & Corey, G./역자 김진숙, 김창대, 박애선, 유동수, 전종국, 천성문. 집단상담 과정과 실제 시그마프레스. 서울.
  29. Haller, R.L. and C.L. Kramer, edt. 2006. Horticultural therapy methods. NY: The Haworth Press. pp25, pp59.
  30. Kee, B. S. 1996. A preliminary study for the standardization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from-Korea version. J. Kor. Neuropsychiatr. Assoc. 35(2):298-307.
  31. Karus. N. 1987. Life stress,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an elderly pop ulation, Psychology and Aging, 2(4):349-356. https://doi.org/10.1037/0882-7974.2.4.349
  32. Lifton, W. M. 1972. Groups: facilitating individual growth and societal change. New York, New York: John Wiley & Sons, Inc.
  33. Liebmann, M. 1986. Art therapy for groups, London: Crom Helm.
  34. Ra, S. H. 2001. Effect of the Horticultural activities in leisure on the changes of depression, life satisfaction and small muscles of old woman. MS Diss., Konkuk Univ., Seoul.
  35.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T: Princeton Univ. Press.
  36. Son, K.C. 2004. Horticultural wellbeing. Joongang life Publicing Co., Seoul.
  37. Yalom, I. D. 1995. The theory and practice of group psychotherapy(3rd ed.). New York: Basic Boo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