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Group Horticultural therapy elements on Horticultural Therapy Research Paper

원예치료 연구논문에 나타난 집단원예치료 요소에 대한 분석

  • Han, Hyung-Hee (Dept. of horticultural therapy, Graduation school of Dankook university) ;
  • Lee, Sang-Mi (Dept. of horticultural therapy, Graduation school of Dankook university) ;
  • Suh, Jeung-Keun (Dept. of horticultural therapy, Graduation school of Dankook university)
  • 한경희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원예치료학과) ;
  • 이상미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원예치료학과) ;
  • 서정근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원예치료학과)
  • Published : 2009.08.25

Abstract

This study is to provide fundamental data that the model of group horticultural therapy will be developed in the real horticultural therapy situation, and the conceptional frame of group horticultural therapy will be revised it in the future according to the issues and status of group horticultural therapy spot. The result of the analysis about the therapists on the research papers is as follows : 100% of one primary therapist, 29% of one secondary therapist, 26% of two secondary therapists, 11% of three secondary therapists, ect. The data of the analysis about the clients is as follows : as human growth, 34% of adult, 30% of old adult, 21% of children, 15% of adolescent, as division; 72% of cure and rehabilitation, 28% of prevention, as category of therapeutic problem, 81% of mental function, 5% of bodily function, 14% of multiple function. The data of the analysis about horticultural activities is as follows : 25% of cultivation, 61% of decoration, 10% of appreciation, 4% of ect.

본 연구는 집단원예치료 현장의 대상자, 치료사, 원예활동과 같은 원예치료요소들에 대한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여 현재의 원예치료 상황을 고려한 집단원예 치료 모델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첫째, 치료사에 대한 분석결과, 모든 논문에서 주치료사는 1인으로 파악되었고 보조치료사는 1인이 29%, 2인이 26%, 3인이 11%로 나타났다. 둘째, 대상자를 인간성장기와, 원예치료를 수행하는 공간, 치료적 문제에 따라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인간 성장기에 따라 성인이 38개(34%)로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냈으며 다음으로 노인 33개(30%), 아동 23개(21%), 청소년 17개(15%)순으로 나타났고, 치료 및 재활 공간은 80개(72%), 예방공간이 31개(28%)로 조사되었다. 또 한 신체기능에 문제를 가진 대상이 12개(11%)의 실험에서 나타났고, 정신기능에 문제를 가진 대상이 65개(59%), 정신과 신체기능에 모두 문제가 있는 대상을 복합으로 분류하여, 복합이 34개(31%)로 나타났다. 총 5개의 실험에서 12가지의 신체기능 문제가 파악되었고 그 중 75%가 손기능과 관련되어 나타났으며 정신기능과 관련된 문제는 인지기능에서 종합적인 일반 인지기능이 11개(32%), 치매노인의 인지기능이 3개(9%)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사회 심리기능에 관련된 문제는 자아존중감이 31개(17%), 일반적인 사회심리상태가 25개(14%), 우울이 20개(11%) 등으로 나타났다. 셋째, 원예활동을 활동의 범주, 활동소재에 따라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조사된 총 활동 수는 2,060개였고 이를 활동범주에 따라 구분하면 기르기 활동은 522개(25%), 꾸미기 활동은 1248개(61%), 느끼기 활동은 205개(10%), 기타가 91개(4%)로 나타났다. 활동소재에 따라 구분하면 식물재료는 975개(31%), 화훼자재는 1433개(45%), 기타소모품은 761개(24%) 사용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식물재료 내에서는 절화류가 412개(42%), 분화류가 315개(32%), 화훼자재에서는 용기가 429개(30%), 오아시스나 하우스 철심, 지주대와 같은 구조물을 위한 소재가 406개(28%), 리본이나 포장지와 같은 장식물이 260개(18%), 기타소모품에서는 학용품이 201개(26%), 사무용품이 117개(15%)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문희. 2005. 원예요법을 적용한 간호중재프로그램이 알츠하이머병 치매노인의 인지, 정서, 의사소통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충남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김영희. 2006. 원예치료프로그램이 시설노인의 사회생활 적용에 미치는 영향. 상주대학교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고순실, 남윤숙, 이경근, 이애경, 이상미. 2008. 한국식물인간환경학회 구두발표:11(2) :36-38.
  4. 남명희. 2006. 원예치료가 정신과 주간병동 만성 정신분열증 환자의 자존감 및 자기개념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립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서정근, 이상미. 2004. 원예치료 과정의 적용과 실제. 서울: 단국대학교출판부. p40-69.
  6. 손기철, 조문경, 송종은, 김수연, 이손선. 2007. 전문적 원예치료의 실제. 서울: 쿠북.
  7. 이상미. 2006. 대상자별 원예치료의 효과와 수익접근법적 경제가치분석.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이지혜, 김혜지, 박계연, 이애경. 2008. 한국식물인간환경학회 구두발표:11(2) :15-17.
  9. 인명신. 2006. 원예활동이 취학 전 유아의 창의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안혜선. 2004. 사회적 간화를 이용한 원예치료가 자폐성 장애 학생의 문제행동 감소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농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최규식. 2006. 원예치료가 치매노인의 우울증과 일상생활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성산효도대학대학교대학원
  12. 최영애. 2003. 원예치료. 서울: 학지사.
  13. 최영애. 2007. 실행에서 찾아낸 원예치료의 평행적 주제들-대학생들의 강낭콩 기르기를 통해서. 한국식물인간환경학회지:10(4): 147-154.
  14. 최영애. 2008. 원예치료실행에서 식물양육에 대한 이론적 모델-나선모델과 애착이론에 기반하여. 단국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한경희. 2004. 짝지워 수행한 치료적 원예활동이 치매노인의 대인관계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한경희, 이상미, 서정근. 2008. 문헌고찰을 중심으로 한집단원예치료 모델의 개념적 틀. 한국식물인간환경학회지:11(4): 53-64.
  17. 한경희, 이상미, 서정근. 2009. 원예치료 연구논문의 집단운영 유형 분석. 한국식물인간환경학회지:12(1):27-35.
  18. AHTA.2004. http://www.ahta.org/information/frq.html.
  19. Matsuo, E. 1998. 한국식물.인간.환경학회지 Vol.1, No.1. p22-33.
  20. Mattson, R. H. 1982. A graphic definition of the horticultural therapy model. pp.43-58. In: R. H. Mattosn and J. Shoemaker(Eds.). Defining horticulture as a therapeutic modility. Part 2: Models in horticultural therapy. Kansas State University Press and Department of Horticulture, Forestry and Recreation Resources.
  21. Relf, D. 1981. Dynamics of horticultural therapy, Rehab. Lit. 42(5-6).
  22. Relf, D. 2006. Historical perspective of theoretical models for research and program development in horticultural therapy. IHC 구두발표, IHC 2006 Abstracts - 27th International Horticultural Congress & Exhibition: 390.
  23. Unruh, A. M. 2004. The Meaning of gardening in daily life: a comparison between gardeners with serious health problems and healthy participants. Acta Hort. 639: 67-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