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Thesis about standard of injured workers' return to work : A literature review

산재장애인 직업복귀 기준 정립을 위한 개념 고찰

  • 김윤봉 (근로복지공단 재활사업국)
  • Published : 2009.04.30

Abstract

Korea Workers' Compensation & Welfare Service has conducted survey of injured workers' return to work ratio from the year of 2002. Return to work ratio of injured workers' has improved from 40% in 2002 to 53.7% in 2008. In spite of quantitative extension, discussion on the management of qualitative employment status is still necessary. This paper was to examine concept of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hours worked, types of employment, coverage of data source, reference period, periodicity of data collection around ILO(International Labor Organization) and Korea National Statical Office standar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mprove gathering of statical information like qualitative employment indicator in terms of decent work and political․clinical reference in return to work of injured workers'.

산재장애인의 직업복귀에 관하여 근로복지공단에서는 2002년부터 매년 신규로 장해등급을 판정받은 산재장애인 전체를 대상으로 요양종결 후의 직업복귀 실태 조사를 실시하여 산재장해인의 직업복귀 여부를 조사 관리하여 오고 있으며, 실제로 산재장해인 직업복귀율은 2002년 40%에서 2008년 53.7%로 매년 상승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산재장해인의 직업복귀율에 관하여 양적 확대 이면의 질적인 고용현황 관리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시기로서, ILO(International Labor Organization) 기준 및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기준을 중심으로 경제활동인구의 개념, 근로시간, 근로형태, 연령이나 집단 및 지역구분 등 조사대상의 범위, 조사기간과 조사주기, 조사의 내용 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직업복귀 기준 및 고용의 질적 관리 개념으로 다루어져야 할 양질의 일자리(decent work) 측면에서의 지표들을 고찰함으로써 향후 산재장애인 직업복귀 통계 정보의 질적 향상 도모와 조사결과의 정책적, 임상적 자료 제공으로서의 역할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고동운(2007). 미국 캘리포니아주의 직업재활. 산재보험 직장복귀 정책 세미나 자료집. 근로복지공단.
  2. 근로복지공단(2009). 4/4분기 산재장애인 취업실태 조사결과 분석 자료.
  3. 노임대, 이달엽(2003). 장애인근로자와 일반근로자의 직업성공 요인 비교연구. 직업재활학회지, 13(2), 51-80.
  4. 박수경(1999). 산재장애인의 재취업실태와 영향요인 분석. 한국사회복지학, 37(4), 5-50.
  5. 변용찬, 김성희, 윤상용, 최미영, 계훈방, 권선진, 이선우(2006). 2005년도 장애인 실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6. 어수봉(2007). 고용의 질 측정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고용과 직업연구, 1. 한국고용정보원.
  7. 이달엽(2004). 직업개발 및 배치. 서울: 학지사.
  8. 이승렬(2003). 산재근로자의 직업복귀 실태와 결정요인 분석. 한국노동연구원.
  9. 이승렬(2005). 산재근로자의 노동이동에 관한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10. 이승욱(2007). 산재근로자 직업복귀 요인에 관한 연구. 산재 직업복귀 요인/재활상담사 직무분석/FCE 프로그램 연구집. 근로복지공단
  11. 이현주, 윤순녕, 최정명, 현혜진, 백은광(2001). 재가장애인의 재활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12. 통계청(2008). 통계행정편람.
  13.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1998). 산재장애인 취업실태 조사.
  14.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2008). 장애인 고용동향.
  15.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2007) 캐나다브리티시컬럼비아주, 미국 네바다주, 캘리포니아주 산재보험 운영 현황분석. 근로 복지공단내부자료.
  16. Blackwell, T. L., Leierer, S. J., Haupt, S., & Kampitsis, A.(2003), Predictor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Return-to-Work Outcomes in Workers' Compensation. Rehabilitation Counseling Bulletin. 46(2), 108-114. https://doi.org/10.1177/00343552030460020501
  17. ILO(2007). The employment situa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towards improved statistical information.
  18. Lysgaard, A. P., Fonager. K., & Nielson. C. V.(2005). Effect of financial compensation on vacational rehabilitation. J Rehabil Med, 37, 388-391. https://doi.org/10.1080/16501970510040948
  19. Sager, L. & James, C.(2005). Injured workers' perspectives of their rehabilitation process under the New South Wales Workers Compensation System. Australian Occupational Therapy Journal, 52, 127-135. http://nso.go.kr https://doi.org/10.1111/j.1440-1630.2005.00477.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