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ternet Game Addiction and Related Variables

부모의 양육태도, 아동의 자기통제 및 문제행동이 초등학생의 인터넷 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

Baek, Ji-Eun
백지은

  • Published : 2009060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internet game addic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related variables, such as self control, parenting behavior, parent control and behavior problem. The survey subjects were 668 elementary school students' mothers. The results were as follow: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gender and grade groups on the internet game addiction. Second, self control was an important predicting variabl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ternet game addiction tendency. Also, parenting attitude, attention problem, social problems, withdrawn, anxious/depressed and somatic complaints were important predicting variables of internet game addiction tendency.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전 학년을 대상으로 아동의 게임중독 경향이 학년과 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또한 학년과 성별에 따라 인터넷 게임 중독에 대한 아동의 자기통제, 부모의 양육태도, 그리고 아동의 행동문제 변인의 상대적 영향력이 어떠한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전학년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사용하였으며 668명의 설문결과를 최종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은 성별의 주효과(F=76.21, p<.001), 학년의 주효과(F=4.76, p<.001) 그리고 학년과 성별의 상호작용효과(F=2.82, p<.05)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생 아동의 연령 및 성별에 따라 인터넷 게임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에 차이가 있었다. 인터넷 게임중독을 설명하는 변인 중 자기통제는 성별과 학년 구분에 상관없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자율/통제적인 양육태도는 고학년 집단에서만 인터넷 게임중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반면 부모의 수용/거부적인 양육태도는 초등학교 저학년 남아집단에서만 인터넷 게임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고학년 남아 집단에서만 주의집중이 인터넷 게임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미성숙과 위축, 우울/불안, 신체증상과 같은 내재화 행동문제는 초등학교 전체 학생의 인터넷 게임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인적자원부 (2006). OECD PISA 2003 만 15(고 1)대상 ICT활용 조사결과. 교육인적자원부.
  2. 권재환 (2005). 심리적.환경적 변인과 인터넷 게임중독간 관계: 대인관계 기술의 매개효과 검증.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 김남희, 신윤미, 조선미, 이영문, 임기영, 정영기, 김수권, 최지순 (2008). 청소년 인터넷 중독 성향과 관련된 사회 인구학적 특성과 정서 및 행동상의 요인. 한국신경정신병리학회지, 47(4), 378-383.
  4. 김주한 (2006). 인터넷 중독의 이해와 최신동향. 대한의사협회지, 49(3), 202-208.
  5. 김영민 (2003). 인터넷게임 사용시간과 원거리 실제감이 게임중독 경향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은주, 김주환, 신의진 (2008). 초등학생의 게임 중독 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들의 남녀차 분석. 교육학 연구, 46(1), 203-230.
  7. 남현미 (1999). 가족의 심리적 환경과 청소년의 자기통제력 및 친구특성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내일신문 (2009). 게임중독 버릇. 도박 중독까지 간다. 2009년 4월 22일.
  9. 류인균, 하지현, 양은주, 김영미, 장창곡, 우종인 (2000). 인터넷 중독의 정신병리. 정신병리학회지, 9, 16-26
  10. 류진아 (2003).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 변인.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1. 문화관광부 (2001). 게임몰입(게임중독)의 현황과 대처방안. 문화관광부.
  12. 박정은 (2001).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적 사용 및 영향 변인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3. 박현숙, 권윤희, 박경민 (2007). 청소년의 인터넷 게임 중독 영향 요인. 대한간호학회지, 37(5), 754-761.
  14. 방희정, 조아미 (2002). 가족기능과 청소년의 인터넷 게임행동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2002 춘계 심포지움. 한국심리학회 산하 발달심리학회.
  15. 안영균, 신영철, 고복자, 심진현, 김범조, 이승민, 이길홍 (2005). 인터넷 중독 청소년들의 정신병리 및 대처방식, 한국중독정신의학회지, 9(1), 23-32.
  16. 오경자, 이혜련, 홍강의, 하은혜 (1991). K-CBCL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17. 유희정, 우성일, 김재원, 하지현, 이철순, 손진욱 (2003). 고등학생의 인터넷 중독과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의 관계, 정신병리학회지, 12, 85-94
  18. 이경님 (2003).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와의 의사 소통과 자기통제가 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1(1), 77-91.
  19. 이경님 (2004). 개인적 변인과 환경적 변인이 아동의 게임중독경향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2(4), 99-118.
  20. 이선경 (2001). 청소년의 인터넷 사용현형과 우울 및 자기통제력과의 관계.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이송선 (2000). 청소년의 컴퓨터 게임중독과 정서적 특성간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이유경 (2002). 컴퓨터 게임 중독 청소년의 사회적 관계 및 적응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이인숙 (2004). 초등학생들의 인터넷 중독과 인터넷 기대 및 자기효능감. 아동간호학회지, 9, 376-383.
  24. 이해경 (2002). 인터넷상에서 청소년들의 폭력게임 중독을 예측하는 사회심리적 변인들.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4(1), 55-79.
  25. 이혜진 (2001). 청소년 인터넷 중독과 개인, 가족, 학교 및 또래 환경요인과의 관계연구.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임성후, 정성심, 홍성도, 박정환, 김지혜 (2006). 학령기 아동의 컴퓨터 게임 이용양상과 정신병리. 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지, 17(10), 19-26.
  27. 장미경, 이은경 (2007). 초등학생의 인터넷 사용 욕구와 부모관련변인이 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4), 1125-1138.
  28. 전영자, 서문영 (2006). 중, 고등학생의 인터넷 중독과 관련 변인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4(3), 13-25.
  29. 정보통신부, 한국인터넷 진흥원 (2006). 2005년 하반기 정보화실태조사. 정보통신부, 한국인터넷 진흥원
  30. 정진태 (2003). 부모의 양육태도가 중학생의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정아란, 엄기영 (2006). 만 5세 유아의 컴퓨터 게임 이용 실태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3(2). 89-114
  32. 조선일보 (2005). 게임중독으로 머리 비뚤어진 사연 공개 - KBS 2TV 추적 60분 - 죽음의 덫, 게임중독. 2005년 9월 27일.
  33. 최나야, 한유진 (2006). 충동성, 부모와의 의사소통 및 인터넷 게임에 대한 기대가 아동, 청소년의 게임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2). 209-220.
  34. 주은미 (2006). 강남지역 초등학생의 인터넷 중독에 엉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연구. 숭실대 석사학위논문.
  35. 최효순 (2001). 초기 청소년들의 진로태도 성숙과 사회환경 및 개인변인과의 인과분석.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한국게임산업개발원 (2006). 2006 대한민국게임백서. 서울; 한국게임산업개발원.
  37. 한국정보문화진흥원 (2005). 인터넷 중독 종합 대책 공청회. 정보통신부.
  38. 한국평가진흥원 (2005). 인터넷 중독 진단 척도 개발연구. 한국평가진흥원.
  39. 행정안전부 (2008). 2008 인터넷중독 실태조사. 행정안전부.
  40. 홍재현, 함병주, 곽동일 (2003). 인터넷 중독의 성격유형. 한국중독정신의학회지, 7(1), 11-19.
  41. Cao, F., & Su, L. (2007). Internet Addiction among Chinese adolescents: Prevalence and Psychological features. Child Care Health Development, 33, 275-281. https://doi.org/10.1111/j.1365-2214.2006.00715.x
  42. Davis, R. A. (2001). A cognitive-behavioral model of pathological internet us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18, 553-575. https://doi.org/10.1016/S0747-5632(02)00004-3
  43. Linn, M. C., Petersen, A. C. (1986). A meta-analysis of gender differences in spatial ability: Implications for mathematics and science achievement, Baltimor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44. Orzack, M. H. (1996). Internet Addiction treatment. Research@cmhcsys.com.
  45. Provenzo, E. F. Jr. (1991). Video Kids: Making Sense of Nintendo.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46. Swain, A., Jones, G. (1991). Gender role endorsement and competitive anxiety. Internet Journal Sport Psychology, 22, 50-65.
  47. Young, K. S. (1996). Pathological Internet Use: A case that breaks the stereotype. Psychological Reports, 79, 899-902. https://doi.org/10.2466/pr0.1996.79.3.899
  48. Young, K. S. (1998). Caught in the net: How to Recognize the signs of Internet Addiction-and a Winning strategy for Recovery, New York: John Wiely & Sons, Inc.
  49. Young, K. S. (2000). Caught in the net. 김현수 역. 인터넷 중독증. 서울: 나눔의 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