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Vascular Plants in Mt. Myo-bong, Seokpo-ri, Bonghwa-Gun

봉화군 석포리 묘봉 일대의 관속식물상에 관한 연구

Bae, Kwan-Ho;Kim, Jun-Soo;Hong, Jin-Ki;Oh, Seung-Hwan;Cho, Hyun-Je;Yoon, Chung-Weon
배관호;김준수;홍진기;오승환;조현제;윤충원

  • Published : 20090600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vascular plant of Mt. Myobong. The vascular plants were collected 3 times from March 2008 to October 2008 were listed 231 taxa: 71 families, 151 genera, 196 species, 1 subspecies, 30 varieties and 4 forms. The 9 taxa were recorded in the surveyed sites as the endemic plants; Deutzia uniflora, Filipendula glaberrima, Vicia venosa var. cuspidata and others. The six taxa were recorded in the surveyed sites as the rare plants; Aristolochia manshuriensis, Rodgersia podophylla, Eleutherococcus senticosus and others. The specific plants which is categorized to Degree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ppeared as 48 taxa; Degree V was 5 species ; Hylomecon vernalis and Degree IV was 5 species ; Abies holophylla, Acer tegmentosum, Rhamnus parvifolia etc. and Degree III was 7 species; Ulmus davidiana, Aristolochia manshuriensis, Sorbaria sorbifolia var. stellipila etc. and Degree II was 10 species ; Lychnis cognata, Oxalis obtriangulata, Phellodendron amurense etc. and Degree I was 25 species; Equisetum hyemale, Juglans mandshurica, Quercus variabilis etc..

본 연구는 경북 봉화군에 위치한 묘봉 일대의 관속식물상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008년 3월부터 10월까지 3회에 걸쳐 확인된 관속식물상은 71과 151속 196종 1아종 30변종 4품종으로 총 231분류군이다. 이중 한국특산식물은 매화말발도리, 터리풀, 광릉갈퀴 등 9분류군, 희귀식물은 등칡, 도깨비부채, 가시오갈피 등 6분류군이 확인되었다. 또한,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에는 V등급에 피나물의 1분류군, IV등급에 전나무, 산겨릅나무, 돌갈매나무 등 5분류군, III등급에 당느릅나무, 등칡, 쉬땅나무 등 7분류군, II등급에 동자꽃, 큰괭이밥, 황벽나무 등 10분류군, I등급에 속새, 가래나무, 굴참나무 등 25분류군으로 총 48분류군이 확인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수목원, 한국식물분류학회, 2007. 국가표준식물목록. p.534.
  2. 환경부, 2005. 야생식물보호법(멸종위기 동식물 I, II 급). 환경부.
  3. 김철환, 2000. 자연환경 평가-1. 식물군의 선정. 환경생물. 18: 163-198.
  4. 김준민, 임양재, 전의식, 2002. 한국의 귀화식물. 사이언스북스. 서울.
  5. 산림청, 2003. http://www.nature.go.kr/
  6. 양인석, 1962. 경북식물조사연구. 경북대학교 논문집 5: 17-65.
  7. 한국자연보존협회, 1989. 한국의 희귀 및 멸종위기 동식물도감.
  8. 이상태, 1997. 한국식물검색집. 아카데미서적. 서울.
  9. 이영노, 2006. 새로운한국식물도감. (주)교학사.
  10. 이우철, 임양재, 1978. 한반도관속식물의 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식물분류학회지 8: 1-33.
  11. 이우철, 1996.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 아카데미서적. 서울.
  12. 이창복, 2003. 원색대한식물도감. 향문사. 서울.
  13. 환경부, 2001. 제2차 전국자연환경조사 지침,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을 포함한 식물상.
  14. 길봉섭, 김창환, 1994. 국립공원덕유산의 식물상. 원광대논문집. 28: 63-100.
  15. 김중현, 김용현, 윤창영, 김주환, 2008. 대구광역시 비슬산 일대의 식물상.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2(5): 481-504.
  16. Melchior, H., 1964. A. Engler's Syllabus der Pfanzenfamilien. Gebruder Berntraeger, Berlin. Band II.
  17. Yim, Y. J., 1977.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and climate in Korean Peninsula IV Zonal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in relation to thermal climate. Jap. J. Ecol. 27: 269-278.
  18. Takhtajan, A., 1986. Floristic regions of the world.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p.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