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Integrated Music Education Programs - focused on Amadeus program -

통합적 유아음악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 서은주 (전북대학교 대학원 가정학과)
  • Received : 2009.04.29
  • Accepted : 2009.06.24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In this study we tried to clarify the relation between an integrated music program and development of musical talents in children. The study was conducted for 60 children - who are 5 years old - selected from 2 kindergartens located in J city, Jeollabukdo, where Amadeus program is taught. We analyzed the actual musical contents and methods provided for the children and conducted pre and post-experiment tests to identify what kind of effects Amadeus program has on children. As a study method, we used PMMA(The Primary of music Audation) which has a capacity to objectively measure the improvement level of each individual.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ing contents and methods in Amadeus program were analyzed. Second, the musical talents in children were found improved after the experiment, and accordingly the program was also deemed to have proved its effectiveness. And finally, the rhythmic senses in children also improved after the experiment, which confirms positive effects of the program.

본 연구는 통합적 음악프로그램이 유아의 음악성발달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전라북도 J시에 소재한 어린이집 중 2곳, 만 5세 아동 각 60명씩을 선정하여, 실험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사전검사를 실시한 후, 실험집단에 Amadaus프로그램을 교육 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살펴 볼 내용은 Amadaus 실제 교육내용과 방법을 분석하고, Amadaus 프로그램이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 통제집단의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고, 검사도구는 각 개인의 향상도를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도구 PMMA (The Peimary of music Audation) 를사용하여 검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Amadaus프로그램에 대한 내용과 교육방법을 분석하였다. 둘째, Amadaus프로그램 실시 한 실험집단 유아들이 통제집단 유아들보다 음악성 하위요인 - 음감, 리듬감 - 모두에서 높게 나타나 Amadaus프로그램이 유아의 음악성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연희. (2008). 음악감상이 유아기 감성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 권세미. (2009). 유아의 자기표현능력증진을 위한 오르프 음악활동의 적용.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3. 백갑녀. (2008) 신체활동을 통한 놀이프로그램 적용방안연구: 유아.초등 저학년중심.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4. 송세진. (2007). 달크로즈교수법이 유아의 음정과 리듬감에 미치는 영향- 만 5세를 중심으로 -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5. 안미영. (2008). 유아음악교육실태 및 부모의 인식. 배제대학교대학원
  6. 이경희. (2009). 통합적 접근방법을 통한 유아리듬지도연구: 만 5-6세 유아중심 동아대학교 예술대학원
  7. 우혜종. (2009). 음악활동에서의 동기유발방법연구.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8. 황민주. (2008). 만 2세 영아반에 적절한 음악경험이 음악적성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9. Barnhart, M.R. (2007). The singing Bridge. university of Cincinnati
  10. Gordon, E, E. (1990). A music learing theary and Young children. chicago : C.I.A. Publication, IN
  11. Gsrrety, Kevin W. (2007). No Child Left Behind: Deter mining the impact policy on music education. The Ohio state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