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n the Status and Supply-Demand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Korea

국내 작업치료 인력 현황 및 수급분석

Jung, Min-Ye;Cha, Yu-Jin
정민예;차유진

  • Published : 2009.12.30

Abstract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upply and status of occupational therapists and grasp the demand accurately, to estimate the appropriate supply-demand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future and to contribute to accomplishment of appropriate occupational therapists. For this purpose, I will examine the training and increase status of occupational therapists, the professional activities and employment status of occupational therapists, and appropriate supply estimation of occupational therapists. Methods : I utilized secondary data for all materials used for manpower estimation and found the sum total and average through a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for the collected data. Results :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status of supply and manpower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Korea, it is seen that occupational therapists have been trained at 19 4-year colleges and 27 3-year technical colleges. The average passing rate of applicants for the national examination for occupational therapists is 78%, with currently 4395 occupational therapists having been produced. The employment ratio in 2008 was 79%, while in 2009 it was 83%. 54.9% of occupational therapists are member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ists. Occupational therapists are mainly employed in rehabilitation hospitals, followed by general hospitals and other hospitals and clinics. Compared to other countries, the level of supply of occupational therapists is very lacking; however, it is expected that the number of trained occupational therapists will be equal to that of advanced countries by 2020. Conclusion : 57.9% of occupational therapists are employed in medical institutions. The number of occupational therapists per 100,000 persons after 2020 will be 37 persons, which is the similar to the quantitative growth of advanced countries. It is urgent to change the Korean legal systems to an advanced state so that occupational therapists can provide occupational treatment services to the chronically disabled and aged in communities, other than at medical institutions in the future.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보다 정확한 작업치료인력 공급 및 현황을 분석하고, 수요를 파악하여 미래의 적정 작업치료 인력 수급을 추계함으로써 작업치료 인력의 적정달성에 기여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작업치료사 양성 및 증가현황과 작업치료사의 전문가 활동 및 취업현황, 그리고 작업치료사의 적정 공급 추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 : 작업치료사의 양성 및 증가현황은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한국보건의료인국가 시험원의 통계 자료를 수집하였고, 작업치료사의 전문가 활동 및 취업현황은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교육개발원, 대한작업치료사협회 내부자료를 이용하였다. 작업치료사의 적정공급 추계는 통계청, 보건복지가족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청, 대한작업치료사협회,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의 통계 등을 이용하였다. 결과 : 우리나라 작업치료 공급 및 인력 현황을 분석한 결과 4년제 19개교, 3년제 전문대학 27개교로 2원화되어 작업치료사를 양성하고 있다. 작업치료사 국가고시 응시자의 평균 합격률은 78%로 현재 4395명의 작업치료사가 배출되었다. 한국교육개발원의 교육정보공시센터 통계 자료에 의하면 2008년 작업치료(학)과 졸업생의 취업률은 79%였고, 2009년 취업률은 83%였다. 전문가 활동을 위해 대한작업치료사협회에 가입한 작업치료사는 54.9%였으며, 기관별 취업 현황은 재활병원, 병원 및 종합병원, 노인요양병원 순이었다. 작업치료 인력 수준의 국제비교는 공급이 매우 부족한 실정이었으나, 2020년에 이르러서는 선진국과 비슷한 수준의 작업치료사가 양성될 것으로 전망되었다. 결론 : 작업치료사의 57.9%는 의료기관에 취업해 있다. 2020년 이후로는 10만 명당 작업치료사의 수는 37명으로 선진국과 비슷한 양적성장이 예상된다. 앞으로 작업치료사가 의료기관 외 지역사회에서 만성 장애인과 노인을 위해 작업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선진적 법제도의 변화가 시급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09). 2009 2/4분기 종별 인력현황. 서울: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 교육과학기술부. (2009). 2008년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조사.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3. 노영민. (2009).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일부 개정 법률안. 서울: 의안정보시스템.
  4. 대한작업치료사협회. (2004). 회원현황. 강원도: 대한작업치료사협회.
  5. 대한작업치료사협회. (2007). 작업치료(학)과의 세계작업치료사연맹(WFOT) 교육기준 인증 신청접수. 강원도: 대한작업치료사협회.
  6. 대한작업치료사협회. (2009). 회원현황. 강원도: 대한작업치료사협회.
  7. 박현애, 현수경, 한경자, 박정호, 박성애. (2002). 국내간호인력 수급 분석 및 추계연구. 대한간호, 41(1), 51-68.
  8. 보건복지가족부. (2009). 보건의료인 등 보수교육 업무지침. 서울: 보건복지가족부.
  9. 오영호, 이준협, 지영건. (2005). 의료기사인력 수급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0. 오영호. (2007). 2006년도 보건의료자원실태조사. 보건복지포럼, 133(8), 88-102.
  11. 오영호. (2008). GINI계수에 의한 주요 보건의료인력의 지역간 분포 변화. 보건복지포럼, 139(9), 98-110.
  12. 이미자. (1998). 한국작업치료의 현안과 대안. 대한작업치료학회지, 6(1), 93-105.
  13. 이애주. (2009). 의료인 면허재등록 및 취업신고 의무화 관련법 개정안. 서울: 의안정보시스템.
  14. 이재신, 이택영, 이지연, 유은영. (2004). 최신 작업치료학 개론. 서울: 탑메디오피아.
  15. 장현숙, 김세라, 유선주, 김은경. (2000). 보건의료인력 수급 및 관리체계. 서울: 한국보건산업진흥원.
  16. 전현희. (2008).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일부 개정법률안. 서울: 의안정보시스템.
  17. 정영호, 고숙자. (2005). 영국과 호주의 의료인력계획 및 정책적 시사점. 보건복지포럼, 104(9), 98-109.
  18. 정원미, 이한석, 정낙수. (1995). 작업치료사 인력수급. 대한작업치료학회지, 3(1), 66-69.
  19. 한국교육개발원. (2009). 2008년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조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0. 한국교육개발원. (2009). 취업률 통계 자료. 서울: 교육정보공시센터.
  21. 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09). 2009년 대학학과정보. 서울: 한국대학교육협의회.
  22.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 (2008). 연도별 작업치료사 국가시험 합격현황. 서울: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
  23.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 (2009). 2009년 작업치료사 합격자. 서울: 한국보건의료인 국가시험원.
  24. 한국작업치료교육인증위원회. (2009). 작업치료(학)과의 세계작업치료사연맹 교육기준. 강원도: 대한작업치료사협회.
  25.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2009). 2009년 대학학과정보. 서울: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26. Confrey, E. A. (1973). The logic of a "shortage of health manpower". International Journal of Health Services, 3(2), 253-259. https://doi.org/10.2190/B3Y0-JNGX-YLL7-0BXB
  27. Greenberg, L., & Cultice, J. M. (1997). Forecasting the need for physicians in the United States: The health resources and services administration's physician requirements model. Health Services Research, 31(6), 723-737.
  28. Heffler, S., Smith, S., Keehan, S., Clemens, M. K., Won, G., & Zezza, M. (2003). Health spending projections for 2002-2012. Health Tracking, 54(3), 54-65.
  29. Case-Smith, J., Allen, A. S., & Pratt, P. N. (2005). Occupational therapy for children (5th ed., pp. 28-29). St. Louis, MO: Mosby.
  30. World Federation of Occupational Therapists. (2008). Revised minimum standards for the education of occupational therapist. Forrestfield, WA: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