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국내 외기조건에서 폐열회수 환기장치의 성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erformance of Energy Recovery Ventilator under Outdoor Conditions in Korea

  • 김일겸 (강남필터(주), 인하공업전문대학 기계과) ;
  • 박우철 (강원대학교 기계자동차공학부)
  • 발행 : 2009.01.31

초록

본 논문은 실내 외의 온 습도변화에 따른 효율변동을 고려하여 폐열회수 환기장치의 성능을 예측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국내의 외기조건에서 폐열회수 환기장치의 성능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고효율기자재 인증조건을 만족하는 풍량 $250m^3/h$의 일본 M사의 제품을 선정하였다. 폐열회수 환기장치를 설치할 경우 서울은 난방부하 69.1%, 냉방부하 59.4%의 절감효과가 나타났고, 부산은 난방부하 66.4%, 냉방부하 59.6%의 절감효과가 나타났다. 동절기의 가습부하는 강릉이 3월에 $0.737{\ell}/h$의 최대 가습부하가 발생하고, 하절기의 제습부하는 목포가 8월에 $1.008{\ell}/h$의 최대 제습부하가 발생한다. 동절기에 남부지방과 동해안지역은 배기측에 응축 또는 응결이 발생하지 않으나 그 외의 지역은 발생한다. 따라서 남부지방과 동해안지역을 제외한 지역에서는 동절기에 배기측에 응축 또는 응결이 발생하지 않도록 방지책을 강구하여야 한다.

In this study, a simulation program has been developed to predict the performance of energy recovery ventilators fur various indoor and outdoor conditions. In order to get a fundamental data about domestic air condition, the heat recovery ventilator is selected with the product of the wind quantity $250m^3/h$ Japanese M companies which are satisfied at High Efficiency Certification Standards. At the case on which the heat recovery ventilator is established, heating load decreases by 69.1% and cooling load decreases by 59.4% in Seoul, and heating load decreases by 66.4% and cooling load decreases by 59.6% in Pusan. The maximum humidification load of winter or summer time with $0.737{\ell}/h$ or $1.008{\ell}/h$ occurred in March from Kangnung or August from Mokpo respectively. In Southern part region and East Sea of winter time, the condensation or frost on exhaust side dose not occurred on exhaust side, but the area of that outside is occurred. Therefore, the preventive measure from the area except a southern part region and the east coast area must be considered, in order to condense or frost not to occur on exhaustion side in winter.

키워드

참고문헌

  1. 환경부(2004), "다중이용시설등의 실내공기질관리법 시행규칙", 환경부령 제156호.
  2. 환경부(2005), "다중이용시설등의 실내공기질관리법 시행규칙", 환경부령 제1896호.
  3. 국토해양부(2006),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령", 건설교통부령 제497호.
  4. 배철호, 임영헌, 드래바 굴로라, 박지열, 곽경민, 주의성, 김영생, 김지용(2005), "운전조건에 따른 전열교환기의 성능특성 연구", 설비공학논문집 제17권 제10호, pp. 891-897.
  5. 이정재, 임병찬, 김환용(2005), "KS, JIS 열교환 환기장치 실험규격의 민감도 분석", 설비공학논문집 제17권 제11호, pp. 998-1004.
  6. 김광현, 이정재(2008), "전열교환 환기시스템의 외기변화에 따른 성능평가 및 에너지평가를 통한 운전방안에 관한 연구", 설비공학논문집 제20권 제1호, pp. 57-64.
  7. E.G. Phillips, R.E. Chant, B.C. Bradley, and D.R. Fisher(1989), "A Model to Compare Freezing Control Stratigies for Residential Air-to-Air Heat Recovery Ventilators", ASHRAE Transactions 95(2), pp. 475-483.
  8. E.G. Phillips, R.E. Chant, D.R. Fisher, and B.C. Bradley(1989), "Comparison of Freezing Control Straegies for Residential Air-to-Air Heat Recovery Ventilators", ASHRAE Transactions 95(2), pp. 484-490.
  9. C.G. Barringer and C.A. Mcgugan(1989), "Effect of Residential Air-to-Air Heat and Moisture Exchangers on Indoor Humidity", ASHRAE Transactions 95(2), pp. 461-474.
  10. MITSUBISHI(2006), "Lossnay Technical Report".
  11. JIS B 8628(2003), "Air to air heat exchangers", JR AIA/JSA.
  12. KS B 6879(2003), "폐열회수형 환기장치", 한국표준협회.
  13. 지식경제부 고시 제2008-11호(2008), "고효율기자재 보급촉진에 관한 규정", 지식경제부
  14. 박성현(2003), "현대실험계획법", 민영사.
  15. ASHRAE Handbook - Systems and Equipment (2000), "Air-to-Air Energy Recovery", ASHRAE, pp 44.1-44.19.
  16. ASHRAE Handbook - Fundamentals(2005), "Psychrometrics", ASHRAE, pp. 6.1-6.17.
  17. 국토해양부 고시 제2008-5호(2008), "건축물의에너지 절약설계기준", 국토해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