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ctors Influencing the Ego Integrity of Elders living Alone

독거노인의 자아통합감 영향요인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egree of perceived health status, social activities, life satisfaction, powerlessness, loneliness, social support and ego integrity of elders living alone, compare the level of ego integrity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analyze the relationship of the variables, and examine whether ego integrity is influenced by the related factors. Results of the study are to be used raise the quality of life of elders living alone. Method: Participants were 104 elderly living alone and data collection was done from July 24 to August 20, 2008.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ith the SPSS program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The level of ego integrity of elders living alone was 3.19 with a possible range of 1 to 5. The correlation factors for ego integrity included perceived health status (r=.298, p=.000), social activity (r=.384, p=.000), life satisfaction (r=.381, p=.000), powerlessness (r=-.226, p=.000), loneliness (r=-.648, p=.000), and social support (r=.733, p=.000). The most powerful predictor of ego integrity was social support. Social support (54.3%), the number of children (4.2%), and social activity (13.8%) accounted for 71.0% of ego integrity.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ocial support, the number of children, and social activity should be considered in developing ego integrity programs designed for elders living alone.

Keywords

References

  1. 김선옥 (1994). 한국노인의 만족감과 고독감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2. 김수현, 강현정, 김윤정 (2008). 농어촌 여성독거노인의 사회적 관계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3(3), 51-71.
  3. 김순이, 이정인 (2009). 노인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 학대가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29(1), 231-242.
  4. 김옥수 (1998). 사회적 지지가 미국 이민노인의 외로움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성인간호학회지, 10(2), 311-321.
  5. 김주희, 양경희, 안수연, 서문숙, 정주연, 정명실, 최선아 (1996). 노인간호학. 서울: 현문사.
  6. 김윤정, 안정신, 강인 (2008). 생태학적 관점에서 본 여성독거노인의 삶의 질.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3(3), 23-42.
  7. 김춘미, 고문희, 김문정, 김주현, 김희자, 문진하, 백경선, 손행미, 오상은, 이영애, 최정숙 (2008). 여성독거노인의 삶. 대한간호학회지, 38(5). 739-747.
  8. 김희경 (2006). 노인의 자아통합감과 영향요인. 노인간호학회지. 8(1), 25-36.
  9. 박순미 (2008). 독거노인의 건강상태지각, 통증, 일상생활활동, 외로움과 삶의 질.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공주.
  10. 백학영 (2006). 저소득 독거노인의 빈곤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사회복지연구. 31(가을호), 5-39.
  11. 보건복지가족부 (2008). 독거노인 보호정책, 우리가 만들어간다!. web site: http://www.mw.go.kr/front/cm/scm0307nc.jsp?PAR_MENU_ID=04#
  12. 심문숙 (2007). 저소득 독거노인의 생활경험.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1(2), 171-181.
  13. 심문숙 (2008). 여성독거노인 음주문제 심각. 건강생활. 봄호, 12-14.
  14. 이은옥, 구미옥, 권인각, 김금순, 김인자, 김종임, 김희주, 박송자, 박정윤, 박현애, 서순림, 서은영, 송경자, 송미순, 양영희, 엄동춘, 엄애용, 유경희, 은영, 이경숙, 이동숙, 이숙희, 이은남, 이인숙, 이인옥, 이혜영, 임난영, 임은옥, 정면숙, 조용애, 최경숙, 최은옥, 최정명, 홍정희 (2007). 연구논문분석과 실무적용. 서울: 군자출판사.
  15. 장성옥, 공은숙, 김귀분, 김남초, 김주희, 김춘길, 김희경, 송미순, 안수연, 이경자, 이양휘, 전시자, 조남옥, 조명옥, 최경숙 (2004). 노인의 자아통합감 개념분석. 대한간호학회지, 34(7), 1172-1183.
  16. 장성옥, 공은숙, 김귀분, 김남초, 김주희, 김춘길, 김희경, 송미순, 안수연, 이경자, 이영휘, 전시자, 조남옥, 조명옥, 최경숙 (2007). 한국노인의 자아통합감 측정도구 개발을 위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37(3), 334-342.
  17. 장인순 (2006). 일부 지역사회 독거노인의 여가활동 유형,과 건강상태,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연구.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0(2), 130-140.
  18. 정경희, 오영희, 이윤경 (2003). 지역별 노인복지 현황과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2003-13.
  19. 정승은 (1998). 노인의 무력감 측정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서울.
  20. 정태연, 조은영 (2009). 노년기의 외로움 및 생활만족도와 관련된 변인탐색. 한국노년학, 25(1), 55-71.
  21. 조근종 (2000). 노인의 사회활동참여와 사회적지지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39(3), 198-207.
  22. 채현탁 (2006). 농촌지역 독거노인의 사회적 지지망 강화 방안. 사회복지정책. 24(4), 225-256.
  23. 최외선 (2007). 노인의 자아통합감과 죽음불안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7(4), 755-783.
  24. 통계청 (2008). 성 및 연령별 노인인구. web site: http://www.nso.go.kr/nso2006/k09___0000/k09i__0000/k09i__0000.html?realQuery=노인%20인구
  25. Brandt, P., & Weinert, C. (1985). The PRQ: A social support measure. Nurs Res, 30, 277-280.
  26. Campell, I. (1987). Hopelessness: A concept analysis. J Psychosocial Nurs, 25(2), 18-22.
  27. Huang, L., & Lin, Y. (2002). The health status and need of community elderly living alone. J Nurs Res, 10(3), 227-236. https://doi.org/10.1097/01.JNR.0000347602.81885.69
  28. Russell, D., Peplau, L. A., & Cutrona, C. E. (1980). The revised UCLA loneliness scale: Concurr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evidence, J Pers Soc Psychol, 39, 472-480. https://doi.org/10.1037/0022-3514.39.3.472
  29. Sun, W., Watanabe, M., Tanimoto, Y., Shibutani, T., Kono, R., Saito, M., Usuda, K., & Kono, K. (2007). Factors associated with good self-rated health of non-disabled elderly living alone in Japan: A cross-sectional study. BMC public Health, 7, 297-306. https://doi.org/10.1186/1471-2458-7-297
  30. Wood, V., Wylie, M. F., & Shaefor, B. (1969). An analysis of short self-report measures of life satisfaction: Crrelation with rater judgements. J Gerontol, 2(4), 465-4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