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udy on Path Analysis for Parenting Efficacy of Married Immigrant Women at Multi-Culture Family

다문화 가정 결혼이민자의 양육효능감에 관한 경로분석 연구

  • 김도희 (위덕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이경은 (경북대학교 보건복지학부)
  • Published : 2009.04.30

Abstract

Korea society has been focused on the in creasing multi-culture population with the phenomenon of booming foreigner lately. In fact, the foreigner women who are married to korean men are having difficulty with parenting, it also has direct effect on their children. For that reason this study has the purpose on examining for related factors about parenting of the foreigner women who are married to korean men . As a result, frist, there is a correlation relationship with spouse supporting, social support,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efficacy. Second, according to path analysis, spouse supporting has direct relationship with social support,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efficacy. Also spouse supporting has indirect effect with parenting efficacy. Social support has direct relationship with parenting stress but Social support has indirect relationship with only parenting efficacy. It suggests for spouse supporting program for helping parenting of foreigner women who are married to korean and social supporting has good way to prevent parenting stress rather than parenting efficacy.

Keywords

References

  1. 강희정(1998). 3세이하 자녀를 둔 전문 사무직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어머니 역할관과 지원체계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 광주여성발전센터(2002). 외국인 주부 실태조사
  3. 권오희(2006). 국내 결혼이민자 가정의 자녀문제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김도희(2008). 결혼이민여성의 양육효능감에 대한 영향연구 : 문화적응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 김도희 . 김성이 . 신효진(2007) 농촌여성 결혼이민자의 배우자 지지와 사회적 지지가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가족과 문화, 19(2), 53-78.
  6. 김도희 . 박영준 . 이경은(2007) 농촌지역 결혼이민자의 양육행동에 관한 인과모형 탐색. 농촌사회, 17(2), 97-112.
  7. 김진섭(2005). 기혼외국인여성의 결혼생활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김오남(2006).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부부갈등 결정요인 연구. 가족과 문화, 18(2), No.3.
  9. 경기도 가족여성연구원(2007) 경기도내 국제결혼 이민자가족 실태조사 및 정책적 지원 방안 연구보고서
  10. 경북여성정책개발원(2005). 국제결혼 외국인 여성현황.
  11. 노하나(2007). 중국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문화적응유형과 주여성이 인지한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민가영(2004). 로컬 가부장제와 글로벌 자본의 충돌과 공모: 중국 조선족 공동체 해체 주범으로 재현되는 중국조선족 '여성유실'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창립 118주년 기념학술대회 자료집 <국가횡단 시대 변화하는 아시아의 여성>: 43-71.
  13. 박지원(1985). 사회적 지지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4. 박해미(1994). 자녀양육평가와 관련된 부모의 스트레스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보건복지부(2005). 여성 결혼이민자 생활실태 조사결과 및 보건복지부 대책방안.
  16. 방신영(2006). 결혼이민자 가족의 문제와 지원방안. 남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배인숙(1993). 자폐아동의 적응행동 수준과 그 어머니들의 양육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서소정(2004). 양육효능감 : 자녀양육행동 매개 모델. 대한가정학회지, 48(2), 11-27.
  19. 설동훈 . 김윤태 . 김현미 . 윤홍식 . 이혜경 . 임경택 . 정기선 . 주영수 . 한건수. (2005). 국제결혼이주여성실태조사 및 보건.복지지원 정책방안 보건복지부.
  20. 신경희(2005). 국제결혼가족의 부부갈등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남성과 필리핀 여성의 부부관계를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신관희(2005). 국제결혼여성의 가족, 일, 그리고 정체성 : 우즈베키스탄과 필리핀여성의 생애사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신민자(2006). 집단미술치료가 필리핀 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우울에 미치는 효과.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신숙재 . 정문자(1998).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사회적 지원과 부모효능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19(1) : 27-41.
  24. 신숙재(1997).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사회적 지원과 부모효능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5. 송미혜(2006).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가 양육효능감의 관계.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송미혜 . 송연숙 . 김영주 (2007). 유아기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2(5) 165-183.
  27. 안산신문 2007.1.31. http://www.ansanymca.or.kr/bbs/board.php?bo_table=ansan_news&wr_id=81&page=7
  28. 안지영(2001). 2-3세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신념. 효능감 및 스트레스가 양육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9. 오은경(2001). 취업모의 양육태도, 배우자 지지 및 직업 만족도가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목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0. 이은주(2006). 결혼이민여성 부부집단 프로그램의 개발과 평가에 관한 시론적 연구 - 필리핀여성 부부를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19(1), 29-60.
  31. 이윤정(2002). 어머니가 지각한 아동의 기질, 사회적 지지와 부모역할 만족도와의 관계.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이태옥(2006). 국제결혼 이주여성 가족과 사회적 지지망 연구. 광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3. 임경혜(2001). 국제결혼 사례별로 나타난 가족문제에 따른 복지적 대책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4. 임현승(2004). 사회적 지지가 장애아동을 둔 어머니들의 양육스트레스와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자료, 653-656.
  35. 양경화(2001). 일반아동과 자폐아동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와 양육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호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6. 유호용(2001).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 및 사회적 지지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정은희(2004). 농촌지역 국제가정 아동의 언어발달과 언어환경. 언어치료연구, 13(3), 33-52.
  38. 정정희(2006). 한국의 다문화 사회진업과 지역특성에 기반을 둔 보육의 방향- 결혼이민자 가족의 자녀 양육 실태와 보육지원 방안, 한국보육지원학회, 춘계워크샵, 25-41.
  39. 조선일보 2009. 1. 28.
  40. 최금혜(2006). 한국남성과 결혼한 중국 조선족 여성들의 한국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서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1. 최경숙(2006). 여생결혼이민자의 사회적 지지와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 -대구 . 경북 지역을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2. 최형성(2001). 어머니의 사회적 지원 및 스트레스와 아동의 기질이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3. 충남여성정책개발원 (2003). 충남거주 외국인 여성을 위한 정책모색 워크샵 자료집.
  44. 한건수(2006). 농촌지역 결혼이민자 여성의 가족생활과 갈등 및 적응. 한국문화인류학, 39(1), 195-243.
  45. 홍기혜(2000). "중국 조선족 여성과 한국 남성간의 결혼을 통해 본 이주의 성별 정치학."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6. 허은경(2004).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 일상생활스트레스, 배우자 및 사회적 지지가 유아기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7. Abidin. R. R.(1988). Parenting alliance inventory. Unpublished scale. University of Virginia.
  48. Abidin. R. R.(1990). Parenting stress index short form(PSl/SF). Chalottessville, V.A.: Pediatric Psychology Press.
  49. Badura, A.(1989). Social cognitive Theory. In R Vasta(Eds.), Six theories of child development Annals of Child Development 6, pp 1-600. Greenwich, CT. JAL.
  50. Belsky, J.(1984).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 A process model :A process model. Child development, 55, 83-96. https://doi.org/10.2307/1129836
  51. Caplan. G.(1974). Support systems and community mental health. New York. NY.
  52. Cohen, S., & Wills, T. A.(1985).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Pscychological Bulletin 98: 310-357. https://doi.org/10.1037/0033-2909.98.2.310
  53. Cox, M., Owen. M., & Lewis. J. M.(1989). "'Marriage, adult, adjustment, and early parenting hypothesis." Psychological Bulletin 98 : 310-357. https://doi.org/10.1037/0033-2909.98.2.310
  54. Cutrona, C. E., & Troutman, B. R.(1986). Social support, infant temperament, and parenting self-efficacy: a mediational model of postpartum depression. Child Development 57 : 1507-1518. https://doi.org/10.2307/1130428
  55. Dunn,. M. E., Burbine, T., Bowers, C. A., & Tantleff-Dunn, S.(2001). "Model factors of stress in parents of children with autism." Community Mental Health Journal, 37(1), 39-52. https://doi.org/10.1023/A:1026592305436
  56. Gable, S., Belsky, J., & Crnic, K.(1995). Coparenting during the child's second year. A descriptive account.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7, 609-616 https://doi.org/10.2307/353916
  57. Gibaud-Wallston. J., & Wandersman, L. P.(1978). Development and Utility of the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Scale. Paper presented at Amer. Psych. Assoc., Toronto.
  58. Gross, D., & Rocissano, L.(1988). Maternal confidence in toddlerhood: its measurement for clinical practice and research. Nurse Practitioner 13: 19-29.
  59. Gross. D., Fogg, L., & Tucker, S.(1995). The efficacy of parent training for promoting positive parent-toddler relationships. Research in Nursing and Health 18(6): 489-499. https://doi.org/10.1002/nur.4770180605
  60. Gross, D., Conrad, B., Fogg, L., & Wothke, W.(1994). A longitudinal model of maternal self-efficacy. depression and difficult temperament during toddler hood. Research in Nursing & Health 17, 207-215. https://doi.org/10.1002/nur.4770170308
  61. Grych. J. H., & Fincham. F. D.(1990). Marital conflict and children's adjustment: A congnitive-contextual framework. Psychological Bulletin, 108, 267-290. https://doi.org/10.1037/0033-2909.108.2.267
  62. Holahan, C. J., & Moos, R. H.(1981).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distres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90. 365-370. https://doi.org/10.1037/0021-843X.90.4.365
  63. Kaplan, H., Robbins, B. C. & Martin, S. S.(1983). Antecedents of psychological distress in young adults: Self-rejection, deprivation of social support, and life event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24, 230-244. https://doi.org/10.2307/2136573
  64. Kotchick. B. A., Summers, P., Forehand, R.. & Steele, R. G.(1997). The role of parental and extrafamilial social support in the psycho-social adjustment of children with a chronically ill father. Behavior modfication. 21(4), 409-32. https://doi.org/10.1177/01454455970214002
  65. Ostberg, M., & Hageknull, B.(2000). "A structure modeling approach to the understanding of parenting stress."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20. 615-625.
  66. Quinones, Elba, M.(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social support, acculturation, and Latina adolescent mothers' self-reported parenting behaviors. Psy. D., Pace University.
  67. Quittner, A. L., Glueckauf, R. L., & Jackson, D. N.(1990). Chronic parenting stress: Moderating vesus medit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9, 1266-1278. https://doi.org/10.1037/0022-3514.59.6.1266
  68. Reece. S. M., & Harkless, G.(1998). "Self-efficacy, stress, and parental adaptation: applications to the care of childbearing families", Journal of Family Nursing 4(2), 198-215. https://doi.org/10.1177/107484079800400206
  69. Teti, O. M., & Gelfand, D. M.(1996). Behavioral competence among mothers of infants on the frist year: The mediational role of maternal self-efficacy. Child Development. 62, 918-929. https://doi.org/10.2307/1131143
  70. Tucker, S., Gross, D., Fogg. L, Delaney, K., & Lapporte, R.(1995). The long-term efficacy of a behavioral parent training intervention for families with 2-year-olds. Research in Nursing and Health, 21(3), 199-210.
  71. Wolfson, A., Lacks, P., & Rutterman. A.(1992). Effects of parent training on infant sleeping patterns' stress, and perceive parental competence. Journal of counselling and Clinical Psychology, 60(1), 41-48. https://doi.org/10.1037/0022-006X.60.1.41
  72. Rubin. A., & Babbie, E.(1997). Research Methods for Social Work (3rd ed.). Pacific Grove, CA.: Brooks/Co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