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Self-esteem, and Ego-integrity among the Aged Women in an Area

일 지역 여성노인의 우울, 자아존중감 및 자아통합감간의 관계

  • Published : 2009.08.31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understand depression, self-esteem, and ego-integrity of aged women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factors for developing intervention. The subjects were 247 aged women of convenience sampling method from an area, Korea.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ersonal interviews using questionnaires. The mean score of depression was 28.9 out of 44, self-esteem was 21.4 out of 40, and ego-integrity was 81.6 out of 150. Depression ha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and residency type and self-esteem and ego-integrity ha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education level. Also, depression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esteem and egointegrity and self-esteem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ego-integrity. Based on above results, we need further study on another sample group and development, application, and verification of health management, education, and counseling programs for the aged.

본 연구는 일 지역 여성노인의 우울, 자아존중감, 자아통합감의 정도를 파악하고 제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이해하여, 향후 여성노인에게 필요한 중재개발에 활용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제주도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여성 노인 247명으로, 자료수집은 일대일 면담을 통한 질문지법으로 시행되었다. 여성 노인의 우울수준은 득점범위 11-44점 중 평균 28.9점, 자존감은 득점범위 10-40점 중 평균 21.4점, 자아통합감은 득점범위 30-150점 중 평균 81.6점으로 나타났다. 우울은 연령과 주거형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자아존중감과 자아통합감은 교육수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우울과 자아존중감(r=-0.448, p<.01), 우울과 자아통합감(r=-0.465, p<.01)은 유의한 역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자아존중감과 자아통합감(r=0.570, p<.01) 은 유의한 순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여성노인의 우울을 낮추고 자아존중감과 자아통합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적절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후속연구가 시행되어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영미, 윤은자 (2009). 도시노인의 자가평가 건강수준 및 관련 요인,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 11, No. 3 (B), pp. 1289-1305.
  2. 곽이섭 (2007). 운동교실 참여에 따른 우울, 자긍심 및 건강 가치관의 차이,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 9, No. 5, pp. 2195-2210.
  3. 경지영, 유영주 (2000). 여성노인이 지각한 가족의 건강성 경향과 우울정도와의 관계 -인천광역시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Vol. 10, pp. 185-219.
  4. 김수옥, 박영주 (2001). 여성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우울과의 관계, 노인간호학회지, Vol. 3, No. 2, pp. 230-239.
  5. 김주희, 정영미 (2002). 독거노인의 건강실태와 삶의 질에 관한 연구, 노인간호학회지, Vol. 4, No. 1, pp. 16-26.
  6. 김정순 (1988). 노인의 사회적 활동과 자아통합감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서울.
  7. 김정엽, 이재모 (2008). 저소득 여성노인과 일반여성노인의 생활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Vol. 39, pp. 399-420.
  8. 김현숙, 유수정, 한규량 (2002). 지역사회 여성노인의 인지기능, 신체적 기능, 자아존중감 및 사회적 지지와 우울간의 관계, 노인간호학회지, Vol. 4, No. 2, pp. 163-175.
  9. 문상식, 남정자 (2001).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의 건강수준-여성 노인의 질병상태, 와병수준, 활동제한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Vol. 21, No. 1, pp. 15-29.
  10. 배영숙 (1993). 노인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자아통합감에 관한 연구, 성인간호학회지, Vol. 5, No. 1, pp.18-32.
  11. 신혜숙 (2001). 배우자 유무에 따른 여성노인의 자아존중감, 건강상태 및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Vol. 31, No. 6, pp. 1119-1128.
  12. 신진주 (2008). 노인의 자아통합감 형성 영향요인 연구-연령집단별 비교를 중심으로-, 목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대전.
  13. 송민선, 김남초 (2007). 노인의 일상생활활동 및 우울 정도가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노인간호학회지, Vol.9, No. 1, pp. 154-162.
  14. 이신숙, 조옥희 (1997). 성, 연령, 사회적 지원에 따른 노인의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Vol. 15, No. 1, pp. 161-172.
  15. 이신숙, 이경주 (2001). 남녀 노인의 경제상태, 건강상태, 성역할 정체감에 따른 자아존중감, 한국가정과학회지,Vol. 4, No. 1, pp. 1-10.
  16. 이영훈, 신민호, 권순석, 최성우, 이정애, 최진수 (2008). 일부 도시 지역사회 노인의 우울증 유병률 및 관련 요인, 농촌의학.지역보건학회지, Vol. 33, No. 3, pp. 303-315.
  17. 이양수 (2003). 만성질환 노인환자의 자아통합감에 관한 연구, 한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산.
  18. 이은실, 안성아 (2005). 노년기 여성의 자아통합감과 인구통계적 특성, 건강 및 외모행동과의 관련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Vol. 43, No. 12, pp. 153-163.
  19. 이종화 (2005). 여성 독거노인의 우울과 자아존중감 및 건강증진행위, 정신간호학회지, Vol. 14, No. 2, pp.109-118.
  20. 오영호, 오진주, 지영건 (2001). 만성질환 실태와 관리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서울.
  21. 윤은자, 권영미, 윤미선 (2008). 노인의 우울, 기분상태와 생활만족도,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 10, No. 6 (B), pp. 3091-3106.
  22. 장인순 (2004). 일부 지역사회 여성노인의 영적안녕, 우울, 주관적 건강상태에 관한 연구, 여성건강간호학회지,Vol. 10, No. 2, pp. 91-98.
  23. 장혜경, 손정남, 차보경 (2004). 노인의 자아통합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정신간호학회지, Vol. 13, No. 1, pp.64-72.
  24. 전병제 (1974). 자아개념 측정가능성에 관한 연구, 연세논총, Vol. 11, No. 1, pp. 107-130.
  25. 전시자 (1989). 회상의 내용분석 및 간호적용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서울.
  26. 정성숙 (2004).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배경과 자아통합감에 관한 연구, 한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산.
  27. 최소영, 강영실, 은영 (2008). 운동 프로그램이 일개 지역 경로당 시설 노인의 삶의 질, 우울 및 신체 기능에 미치는 효과,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 10, No. 1 (B), pp. 133-147.
  28. 최영애 (2003). 노인들의 우울, 자존감 및 건강행위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Vol. 21, pp. 27-47.
  29. 통계청 (2004). Statistical Data Base.
  30. 황윤영, 주민선 (2007). 일 지역 노인의 건강인식과 건강행태에 따른 우울, 지역사회간호학회지, Vol. 18, No. 4, pp. 583-592.
  31. Bisschop, S. L., Kriegsman, D. M. W., Beekman, A. T. F., Deeg, D. J. H. (2004). Chronic diseases and depression: The modifying role of psychosocial resources, Socical Science & Medicine, Vol. 59, pp. 721-733. https://doi.org/10.1016/j.socscimed.2003.11.038
  32. Chang, S. O., Kim, J. H., Kong, E. S., Kim, C. G., Ahn, S. Y., Cho, N. O. (2008). Exploring ego-integrity in old adults: a Q-methodology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Vol. 45, No. 2, pp. 246-256. https://doi.org/10.1016/j.ijnurstu.2006.07.020
  33. Erikson, E. H. (1963). Childhood and Society (2nd ed.), New York, Norton.
  34. Gottlieb, S. S., Khatta, M., Friedmann, E., Einbinder, L., Katzen, S., Baker, B., Marshall, J., Minshall, S., Robinson, S., Fisher, M. L., Potenza, M., Sigler, B., Baldwin, C., Thomas, S. A. (2004). The influence of age, gender, and race on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in heart failure patients,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Vol. 43, No. 9, pp. 1542-1549. https://doi.org/10.1016/j.jacc.2003.10.064
  35. Harpole, L. H., Williams, J. W., Olsen, M. K., Stechuchak, K. M., Oddone, E., Callahan, C. M., Katon, W. J., Lin, E. H., Grypma, L. M., Unutzer, J. (2005). Improving depression outcomes in older adults with comorbid medical illness, General Hospital Psychiatry, Vol. 27, No. 1, pp. 4-12. https://doi.org/10.1016/j.genhosppsych.2004.09.004
  36.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37. Zung, W. K. (1965). A Self-rating depression scale,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Vol. 12, pp. 63-70. https://doi.org/10.1001/archpsyc.1965.01720310065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