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orrelational Study on ICU Nurses' Job Stress, the Way of Coping, and the Turnover Intention

중환자실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응방법, 이직의도에 대한 연구

  • Cho, Yong Ae (Department of the Nursing Staff Development, Samsung Medical Center) ;
  • Kim, Geum Soon (College of Nurs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im, Eul Soon (Hospital Nurses Association) ;
  • Park, Han Mi (SICU, Samsung Medical Center) ;
  • Yoo, Mi (Department of Nurs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Lim, Eun Ok (MICU, Asan Medical Center) ;
  • Hyun, Suk Gyung (Neurocritical Care Unit, Ewha Womans University Mokdong Hospital) ;
  • Kim, Jung Yeon (Division of Surgical ICU, Severance Hospital, Yonsei University Health System)
  • 조용애 (삼성서울병원 간호교육팀) ;
  • 김금순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
  • 김을순 (병원간호사회 사무처) ;
  • 박한미 (삼성서울병원 일반외과중환자실) ;
  • 유미 (서울대학교병원 간호행정) ;
  • 임은옥 (서울아산병원 내과계중환자실) ;
  • 현석경 (이대목동병원 신경계중환자실) ;
  • 김정연 (세브란스병원 외과계중환자실)
  • Received : 2009.09.30
  • Accepted : 2009.10.23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Purpose: This descriptive surve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ICU nurses' job stress, the way of coping, and the turnover intention and to identify the correlation among them. Methods: A 58 items-questionnaire composed of 7 sub-dimensions revised by Park, J. S. (2003) was used to measure the ICU nurses' job stress, and an questionnaire by Han, J. S. and Oh, G. S. (1990) which has 34 items from 6 sub-dimensions were used to measure the ICU nurses' way of coping. To figure out the ICU nurses' turnover intention, a 3 items-questionnaire used. A total of 456 nurses were participated in the study. Results: The participants' job stress was 2.86(4-point scale), and the way of stress coping was 2.27. Job stress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way of coping (r=.134, p=.004) and the turnover intention. The 54.1% of nurses addressed that they had some level of turnover intention. The turnover intention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job stress(t=-2.041, p=.042), the type of hospital (${\chi}^2=8.052$, p=.005) and the total number of hospital beds (${\chi}^2=9.232$, p=.010).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illustrated that the ICU nurses had at least moderate-high level of stress. The subjects' job stres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way of coping and the turnover intention. These findings demonstrate necessity to develop an intervention for ICU nurses' stress management.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병원간호사회

References

  1. 김가은(2004). 간호사의 이직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2. 김매자, 구미옥(1984). 간호원이 근무중에 경험하는 스트레스 측정을 위한 도구개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14(2), 28-37.
  3. 김소인, 김정아(1997). 간호단위문화와 간호업무수행,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 간호행정학회지, 3(2), 17-40.
  4. 김신자(2003). 중환자실 간호사가 경험하는 스트레스 요인과 적응도. 조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광주.
  5. 김혜란(2003). 중환자실 간호사의 업무스트레스와 대처방법에 관한 연구.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청주.
  6. 김혜정(2001). 중소병원과 대학병원 간호사의 직무만족도와 이직의사에 관한 비교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7. 박남정(2008). 임상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유형.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부산.
  8. 박상례(2005). 종합병원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정도와 직무만족도와 이직의도와의 관계. 한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춘천.
  9. 박선화(2004). 근무병동별 간호사의 역할갈등, 직무스트레스 및 업무만족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10. 박종선(2003). 간호사의 직무만족, 업무장면별 스트레스, 대처방식 분석. 경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진주.
  11. 박현숙(2002). 간호사가 인지하는 역할명확성, 직무특성과 이직의도와의 관계.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12. 박형숙, 강은희(2007). 중환자실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대처에 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37(5), 810-821.
  13. 백명화(2007). 중환자실 간호사와 암병동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에 대한 비교 연구. 재활간호학회지, 10(2), 81-89.
  14. 병원간호사회(2007). 2007 사업보고서. 서울: 저자.
  15. 손륜정(2004). 중환자실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전주.
  16. 양진향, 권연주, 백연선, 이은선(2005). 간호사의 이직의사에 관한 연구. 인제논총, 20(1), 609-628.
  17. 어금숙, 허혜경, 김기경, 조용자, 김은희, 김순자(2004). 병원 임상간호사의 직무특성 및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와의 관계. 임상간호연구, 9(2), 81-92.
  18. 오미숙(2005). 중환자실간호사와 일반병동간호사의 소진과 대처유형.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19. 윤금선(2003). 응급실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안.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20. 윤현숙, 조영채(2004). 대전지역 대학병원 간호사들의 스트레스 및 스트레스 대처에 관련된 요인.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1(1), 25-43.
  21. 이명하(1996). 임상간호사의 업무스트레스에 관한 논문 분석. 성인간호학회지, 8(1), 180-200.
  22. 이은숙(2003). 중소병원 간호사의 이직 의도 영향 요인. 대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대전.
  23. 이은희(2005).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이직 간의 관련성.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24. 이정희(2006). 임상등급별 간호사의 업무 스트레스 및 대처유형.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25. 이혜연(2006). 간호사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경산.
  26. 임덕순(2006). 중환자실 간호사의 업무 스트레스와 강인성 및 소진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광주.
  27. 정정희, 김지수, 김경희(2008).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 요인. 간호행정학회지, 14(1), 35-44
  28. 조경희(2002). 일부 병원 중환자실 간호사의 직무만족도와 이직의사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29. 조현숙(2001).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지각요인과 대처전략에 관한 연구. 경성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부산.
  30. 한정석, 오가실(1990). 만성질환아를 가진 어머니의 비통감과 이에 대응하는 정도에 관한 연구. 대한간호, 29(4), 73-87.
  31.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 (2nd ed.).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32. Lazarus, R. S., & Folkman, S.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Y: Springer Publishing Company.
  33. Tabak, N., & Koprak, O. (2007). Relationship between how nurses resolve their conflicts with doctors, their stress and job satisfaction.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15(3), 321-331. https://doi.org/10.1111/j.1365-2834.2007.00665.x
  34. Wu, S., Zhu, W., Wang, Z., Wang, M., & Lan, Y. (2007). Relationship between burnout and occupational stress among nurses in China. Journal of Advanced Nursing, 59(3), 233-239. https://doi.org/10.1111/j.1365-2648.2007.04301.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