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vestigating Factors Affecting Text, Image, and Video UCC Adoption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UCC 채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Chang, Byeng-Hee (Dept. of Mass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Sungkyunkwan University) ;
  • Lee, Yang-Hwan (Institute for Media Culture Contents, Sungkyunkwan University)
  • 장병희 (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 ;
  • 이양환 (성균관대하교 미디어문화콘텐츠연구소)
  • Published : 2009.11.15

Abstract

By conceptualizing UCC users' active behavior, this study newly presents two key concepts, 'self-expression' and 'artistic activity' of UCC users. Then, this study suggests a research framework to analyze text, image, and video UCC adoption processes by integrating those concepts with already-built UCC research tradition. Using the framework, we found that individuals who has a hard time expressing themselves in reality are likely to have a favorable attitude toward UCC, and the stronger the faith about the justice of self-expression and its freedom, the more the favorable attitude toward UCC. Furthermore, we confirmed that individuals who are very interested in artistic activity, and individuals who has high self-efficacy to their artistic talent are likely to participates more in UCC production. The role of other factors such as perceived enjoyment, the perception of critical mass of UCC adoption, and subjective norm also were discussed with limitations of this study.

최근 UCC 채택과 이용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으나 수용자의 능동성이라는 UCC의 가장 큰 특징을 구체적으로 개념화하여 측정한 연구는 많지 않다. 이 연구는 수용자의 능동적 참여를 구체적으로 개념화한 후 기존 연구의 틀과 통합하여 UCC의 채택과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UCC 연구의 이론적 확장을 시도하였다. 기존의 개혁확산이론과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에 자기표현(self-expression)과 창조적인 예술활동(artistic activity)과 관련한 변인들을 추가적으로 포함시켜 대학생들의 텍스트, 이미지, 그리고 동영상 UCC 채택에 관한 영향요인을 분석했다. 회귀분석과 경로분석을 통해서 기존 연구들에서 제시된 변인들의 유의미성과 함께, 현실에서 자신의 표현에 서투른 사람들일수록 UCC에 대한 호의적 태도를 형성하기 쉽고, 자기표현이라는 행위가 옳고 더 많은 자유가 보장되어야 한다는 강한 신념이 자유로운 의사표현의 장인 UCC에 대한 호의적인 태도로 연결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예술활동에 관심이 많은 사람일수록 UCC 제작 활동에 더 활발히 참여하고, 본인의 예술적 재능이나 예술활동에 자신이 있는 사람이 UCC 제작에 참여할 가능성이 크다는 사실 역시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