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Pochonka and Chonmun yucho in the Early Choson Dynasty

조선 초기 보천가(步天歌)와 천문류초(天文類抄)의 성립에 대한 연구

  • 안상현 (한국천문연구원 국제천체물리연구센터)
  • Published : 2009.12.15

Abstract

We investigated the formation of Pochonka (Song of the Sky Pacers) and Chonmun yucho (Selected and classified writings on astrology) of the early Choson dynasty. We recognized that the songs in these books were deeply influenced by those in a Chinese book Tong-zhi published in 1161 A.D., based on the following facts; the contnts of both treatises are described in the same order; the first phrase of the song for Thai-wei-yuan has composed of five words rather than seven words; in particular, Choson's Pochonka has the song that describes the position of the Milky Way relative to asterisms, which was supplemented by the author Zheng Qiao. Since Tong-zhi were brought into Koryo in 1364 A.D., Choson's Pochonka must be formed after that time. In particular, compared with Chinese Pu-tien-ko, Choson's Pochonka stresses the colors of asterisms in order to represent the origin of each asterism with respect to the astronomers, Shih-shen, Kan-te, and Wu-Hsien. We also find that the star-charts in Pochonka and Chonsang-yolcha-punyajido (Chart of the asterisms and the regions they govern) published in the early Choson dynasty are significantly similar in names, number of stars, and shapes of asterisms in them. This fact means that the star-charts in Pochonka originated from either the parent chart of Chonsang-yolcha-punyajido or Chonsang-yolcha-punyajido itself. The parent rubbing was reappeared in 1392 A.D. and carved on stele in 1396 A.D., and so the publication of Pochonka can be dated back to A.D. 1392. Chonmun yucho is a book that was formed by footnoting Pochonka with astrological descriptions in Chinese treatises. The formation period of Chonmun yucho is estimated to be 1440-1450 A.D. from the facts such as the biographical survey of the author Yi Sunji. Furthermore, Pochonka was adopted as a textbook of the government service examination for the astronomy division in Soungwan or the Royal Bureau of Astronomy in 1430 A.D.. We inferred from these facts that Choson's Pochonka was formed between 1392 A.D. and 1430 A.D. as a part of establishment of the cultural and political foundation of the Choson dynasty by adopting the advanced system of the Song dynasty.

조선 초기의 보천가(步天歌)와 천문류초(天文類抄)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근거로부터 이 보천가(步天歌)의 가결(歌訣)이 A.D. 1161년에 중국에서 출간된 통지(通志)에 실려 있는 보천가(步天歌)에 큰 영향을 받았음을 알았다. 두 보천가(步天歌)의 별자리들은 서술 순서가 같고, 태미원(太微垣)의 가결(歌訣)의 첫 구철이 일곱 글자가 아니라 다섯 글자로 되어 있으며, 특히 별자리들에 대한 은하수의 위치를 기술한 천하기몰(天河起沒)은 통지(通志)의 저자인 정초(鄭樵)가 특별히 작성하여 보충한 것인데 그것이 조선 보천가(步天歌)에 들어 있다는 점이 그 근거들이다. 통지(通志)는 A.D. 1364년에 고려에 들어왔으므로, 조선 초기의 보천가(步天歌)는 그 후에야 성립 될 수 있다. 조선 초기의 보천가(步天歌)는, 중국의 보천가(步天歌)들과 비교할 때, 그 가결(歌訣)에 별자리들의 색깔이 유난히 강조되어 있다. 이것은 석신(石申), 감덕(甘德), 무함(巫咸)으로부터 기원한 별자리를 색깔로 구분하려는 의도이다. 조선 초기에 출간된 보천가(步天歌)와 천상열차분야지도(天象列次分野之圖)의 성도(星圖)들은 별자리들의 이름, 별개수, 모양 등이 일치한다. 이 사설은 조선 보천가(步天歌)의 성도(星圖)가 천상열차분야지도(天象列次分野之圖)의 모본(母本)이나 천상열차분야지도(天象列次分野之圖) 자체에서 기원했음을 뜻한다. 천상열차분야지도(天象列次分野之圖)의 모본(母本)은 A.D. 1392년에 발견되어 A.D. 1396년에 비석에 새겨졌기 때문에, 보천가(步天歌)의 성립시기의 상한은 1392년이 된다. 천문류초(天文類抄)는 보천가(步天歌)에 중국의 점성술 문헌의 내용을 덧붙인 책이다. 이 책의 성립 시기는 그 저자인 이순지(李純之)의 생애 등을 근거로 A.D. 1440-1450년으로 추론되었다. 더군다나, 보천가(步天歌)는 A.D. 1430년에 관상감의 천문학자를 뽑는 취재(取才) 시험의 과목으로 선정되었다. 이러한 사설들로부터, 이 연구에서는 조선의 보천가(步天歌)가, 송(宋)의 선진 체제를 받아들임으로써 조선 왕조의 문화적 정치적 기초를 다지기 위해, A.D. 1392년에서 A.D. 1430 사이에 출간되었을 것으로 추론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구만옥 2004, 조선후기 과학사상사 연구 I - 주자학적 우주론의 변동 (서울: 혜안), pp.65-67
  2. 김상혁, 양홍진, 이용복, 안영숙 2009, 한국우주과학회지, 26, 375
  3. 나일성 1996, 東方學志, 93, 41
  4. 문중양 2006, 역사학보, 189, 39
  5. 박경규 1995, 석사학위논문, 충북대학교
  6. 박창범 1998, 한국과학사학회지, 20, 113
  7. 成周悳 1818, 書雲館志 (서울: 觀象監)
  8. 송두종 2006, 한국의 고천문학 및 천상열차분야지도 워크숍 논문집, 편집자: 이은석, 양홍진 (대전: 한국천문연구원), p.25
  9. 송두종, 안영숙 2003, 한국천문연구원 기술보고서 No.03_003_053
  10. 송두종, 안영숙, 강미주,오길순 2002, 한국천문연구원 기술보고서 No.02_005_050
  11. 안상현 2009a, 한국우주과학회지, 26, 589
  12. 안상현 2009b, 한국우주과학회지, 26, 603
  13. 유경로 1986, 韓國科學技述史資料大系, 天文學篇6 (서울: 驪江出版社)
  14. 유경로 1995, 홍대용 기념 워크샵 논문집 "우주론 및 우주구조", pp.14-31
  15. 유경로, 이은성, 현정준 1973, 세종장헌대왕실록 칠정산 내편 해제 (서울: 세종대오아기념사업회)
  16. 유경로, 이은성, 현정준 1974, 세종장헌대왕실록 칠정산 외편 해제 (서울: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7. 이덕신 편찬 2002, 위대한 과학자 이순지 (서울: 양성이씨 대종회)
  18. 이근직 1997, 경산문화연구, 1, 165
  19. 이기원 2008, 한국지구과학회지, 29, 98
  20. 이용복 2007, 천상열차분야지도와 전통천문도: 제1회 소남천문학사연구소 심포지엄 (서울: 소남천문학사연구소), p.31
  21. 이용복 2008, 黄帝內經에 나타난 天文現象과 별자리, 반룡 고천문연구회 특별세미나
  22. 정구복 1994, 李基白先生古稀紀念 韓國史學論叢·上 (서울: 一潮閣)
  23. 정성희 1997, "步天歌" 장서각도서해제 (성남: 한국학중앙연구원), pp.73-85
  24. 한국천문학사 편찬위원회 편찬 1999, 한국천문학사 연구 (서울: 녹두)
  25. 官島一彦 1998, 東 ASIA의 古代文化, 97, 58
  26. 官島一彦 1999, 人文學報 (京都: 京都大學人文科學硏究所), 82, 45
  27. 潘내 1989, 中國恒星觀測史 (上海: 學林出版社)
  28. 潘내 2009, 中國恒星觀測史 (上海: 學林出版社)
  29. 石雲里 1998, 中國科技史料, 19, 69
  30. 周曉陸 2004, 步天歌硏究 (北京 : 中國書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