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niques for Evaluation of Ecological and Aesthetic Aspects of Landscapes through GIS Overlay Method

생태경관다양성과 시각경관민감도를 적용한 GIS중첩평가 계획기법

  • Jang, Rai-Ik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Research Team, Chungnam Development Institute) ;
  • Lee, Myung-Woo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장래익 (충남발전연구원 환경생태연구부) ;
  • 이명우 (전북대학교 조경학과)
  • Published : 2009.10.31

Abstract

In this study a landscape evaluation was carried out for the submission of a natural landscape conservation plan with the intention to prevent damage to natural landscapes through incautious exploitation. In the case of Korean landscape evaluation, in fact, only the aesthetic value of the landscape is evaluated as related to development projects but the ecological relevance of the landscape cannot be estimated by evaluating only the aesthetic. For that reason, this study performed a landscape evaluation, including the sensitivity limit of visible scenery and the diversity of ecological scenery. For the intention of landscape evaluation in the designation of an essential conservation area and for devising a plan related to this area, a GIS applied to Ian McHarg's map overlay method was used and both the ecological landscape diversity and the aesthetic value of the landscape was surveyed using this map overlay method. A region can be analyzed in relation to the needs for concentration of management in influence analysis of landscape effect elements.

본 연구에서는 무분별한 개발로 인한 자연경관훼손의 예방을 목적으로 자연경관보존방안을 제정하기 위한 경관평가를 수행하였다. 우리나라에서의 경관평가는 개발계획에 따른 시각경관만을 평가하고 있는 현실이며, 경관의 생태적 본질까지 동시에 평가하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어서 이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해 시각경관민감도와 생태경관다양성을 요소로 하는 경관평가를 진행하였다. 경관평가의 목적은 실질적인 보존지역을 설정하고 그에 따른 계획을 수립하기 위함이기 때문에 이앤 맥하그(Ian McHarg)의 도면중첩법을 적용한 지리정보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를 활용하였으며, 생태경관다양도와 시각경관민감도를 측정하여 중첩분석하였다. 또한, 경관영향요소의 영향력분석을 통해 집중관리지역을 분석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박선아(2007) 부안댐 상류하천 비오톱공간 보전방안.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변병설(2000) 경관평가기법개발에 관한 연구. 환경부
  3. 서창완, 최태영, 최윤수, 김동영(2008) 설악산 산양을 대상으로 한 야생동물 서식지 적합성 모형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11(3): 36
  4. 이도원(2001) 경관생태학. 서울대학교출판부
  5. 이명우(2005) 산림경관차원에서의 산지구분체계 및 산지관리 방안: (미발표자료)
  6. 장래익(2008) 생태경관 및 시각경관의 GIS중첩분석 계획기법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한국수자원공사(2006) 부안댐 및 저수지 주변지역 환경정비 기본계획. 한국수자원공사
  8. Lyle, J. T.(1999) Design for Hunan Ecosystems. Washington D. C.: Island Press
  9. Richard G. Lathrop, Jr, John A. Bognar(1998) Applying GIS and landscape ecological principles to evaluate land conservation alternative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41: 27-41 https://doi.org/10.1016/S0169-2046(98)0004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