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and Process of the Politics Instruction Utilizing an Online Game, 'Goonzu'

온라인게임 '군주'를 활용한 초등학교 정치수업 수행 및 효과

  • Published : 2009.10.20

Abstract

The politics instruction, where utilizing an online game named 'Goonzu' as an instructional tool had been implemented to students from four classes of 5th grade during ten weeks. Four teachers participated in teaching the students and constructed curriculum by playing 'Goonzu' and analyzing the regular elemental school Politics curriculum before implementation. To verify effectiveness of the instruction, the survey, asking students' efficacy, interest and their cognitive changes of main elements that students considered when they elected their representatives, was conducted. Moreover opinions about this instruction from the students and the teachers were gathered through the forms of interview and short essay. A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tudents' efficacy toward doing politic activitie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However, m case of students' interests to this instruc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despite of increase of the mean. Also, students put more weight on intrinsic e1ements(daigency, responsibility) of the representative in online election than offline election and the students, who took the course, stressed intrinsic elements more than other students.

본 연구는 초등학교 5학년 4개 반을 대상으로 온라인게임 '군주'를 활용하여 10주 동안 정치수업을 진행하였다. 수업은 현직 교사 4명이 진행하였으며, 이를 위해 교사들은 수업이 시행되기 전 연구자와 함께 초등학교 교과과정 및 대상게임을 분석하여 교과과정을 구성하였다. 수업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수업에 참여한 학생을 대상으로 효능감과 흥미도 및 대표를 선출할 때 주로 고려하는 요인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더불어 참여교사와 학생들을 대상으로 인터뷰 실시하고 및 소감문을 수집하여 수업에 대한 의견을 수집하였다. 그 결과 학생의 정치활동에 대한 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반면, 흥미도의 경우, 응답의 평균은 증가하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성을 보이지는 않았다. 또한, 선거활동에서 대표자를 선출하는 기준의 변화를 측정해 본 결과 학생들은 온라인 선거에서 대표자의 내적요소를 일반 반장선거에 비해 중시하였으며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이 일반 학생들에 비해 내적요소를 더욱 중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서현진 (2005). 선거와 민주시민교육의 실태분석: 고등학교 사회 및 정치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시민교육연구, 37(4), 73-94.
  2. 박병석 (2002). 한국의 공명선거와 정치교육. 정치정보연구, 5(1), 87-117.
  3. 중앙선거관리위원회 (2008). 제17대 대통령선거 투표율 분석. 2008년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분석 자료.
  4. Wolfinger, R. E., & Rosenstone, E. J. (1980). Who Votes?.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5. Nie, N. H., Junn, J., & Stehlik-Barry, K. (1996). Education and Democratic Citizenship in America C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6. Beck, P. A., & Jennings, M. K. (1982). Pathways to Participation.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76, 94-108. https://doi.org/10.2307/1960445
  7. Niemi, R. G., & Junn, J. (1993). Civic Education: What Makes Students Learn.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8. 이경태 (2003). 미래지향적 중.고등학교 정치교육. 대한정치학회보, 10(3), 67-84.
  9. 이춘수 (1994), 국가경쟁력과 정치교육. 사회와 교육, 19, 75-93.
  10. 이춘수 (2003). 정치교육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 시민교육연구, 35(2), 119-152.
  11. Kafai, Y. B (1996). Software by kids for kids. Communications of the ACM. 39(4). 38-39.
  12. Kaden, M (1990). Issues on computers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C. Seefeldt (Ed.). Continuing issu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Ohio: Merill Pub. Co.
  13. Hooper, S. (1992). Cooperative learning and computer-based instruction.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40(3). 21-38. https://doi.org/10.1007/BF02296840
  14. 위정현.오나라.김양은 (2005). 온라인 게임을 통한 아동 경제 학습 효과 분석.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5(4), 13-22.
  15. 위정현. 원은석 (2006). 효과적인 구성주의 학습도구로써 온라인게임의 활용 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게임 '군주'를 활용한 경영전략 수업의 구성주의적 고찰. 한국게임학회논문지, 6(4), 25-37.
  16. 노지마 미호와 위정현(2003). 온라인게임의 마케팅 전략 - 한국 사용자 조사를 기초로 -. 經營學會國情報春李全硏究發表大會(The Japan Society for Management Information). 아오야 마가쿠인대학, 2003년 6월. (Japanese).
  17. 위정현 (2006). 온라인게임 비즈니스 전략. 서울: 제우미디어.
  18. Bandura, A. (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