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antisocial exposure in E. Ionesco's La Lacune andits application to comic dance

이오네스코 부조리단막극 “결함”에 나타난 반(反)사회적 폭로와 희극적 춤의 활용분석

Ahn, Byoung-Soon
안병순

  • Published : 20090700

Abstract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antisocial exposure and technique of comic extension in La Lacune, one act play of Ionesco‘s. who is one of representative playwrights in the Theatre of the Absurd, and its application to movement expression in dance. In each scene, we looked into actors' dramatic reaction and connected characteristics in dance, and analyzed the symbolic meaning of the expression of language and movement in the process of production and performance. As a result of the research, first, Ionesco's producer created the possibility of rhythmic communication by stages through maximization of comic meaning and instantaneous reverse effect. Second, in real performance, dancers and actors created the upper structure of reaction linked with the dramatic immersion through fascinating tango and dance movement. Third, appearing lucid, the symbolic meaning system of movement expressed by the language of the absurd and dance enhanced the value of being of the work. Eventually, the performance was analyzed to make an attempt to maximize the effect of higher immersion and power of concentration by using tango music and dance to bring into relief the exposure of antisocial structure and antilogical meaning.

본 연구는 부조리극 대표작가인 이오네스코의 단막극 "결함"에 나타난 반(反)사회적인 폭로와 희극적인 확대기법 그리고 춤의 움직임 표현분석을 시도하였다. 작품 "결함"의 반(反)사회적 희극성은 그의 독특한 확대와 과장기법을 통해 인간내면과 현실에 대한 부조리한 상황을 폭로하고 있으며, 표현과정에서 배우들의 극적 반응과 춤의 연계적인 특성들을 살펴보고, 언어와 움직임표현의 상징적 의미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결함"에서 연출가는 장면별로 희극적 의미와 순간적인 반전효과의 극대화를 통해 리드미컬한 단계적인 소통을 가능케 하였다. 둘째, "결함"의 실제공연에서 매혹적인 탱고음악과 춤의 움직임을 통해 극중 몰입과 연계된 반응의 상층구조를 창조하였다. 셋째, "결함"에서 부조리 언어와 춤으로 표현되는 움직임의 상징적 의미체계는 드라마의 선명성으로 부각되어 작품존재가치의 상승효과로 나타났다. 결국, 이오네스코의 부조리단막극 "결함"에서 탱고음악과 춤의 활용을 통해 反사회적 구조의 폭로와 반(反) 논리적 의미를 부각시키기 위한 집중력과 상층 몰입효과의 극대화를 추구한 작품으로 분석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정용(1998). 부조리극과 그로테스 극. 브레히트와 한국연극. 6(1).181
  2. 박형섭(1992). 반연극의 아방가르드 적 거부. 연극학 연구. 부산연극학회. 23-24
  3. 박형섭 역(2005). 이오네스코의 발견, 서울: 새물결, 32-59
  4. 박형섭(2008). 이오네스코의 실험정신. 이오네스코와 부조리극 세미나 자료집. 18-23
  5. 신현숙(1995). <의자들les Chaises>의 언술행위에 관한 몇 가지 고찰. 불어불문학연구. 31(1). 478-480
  6. 신현숙(1990). 희곡의 구조. 서울: 문학과 지성사. 115
  7. 안병순(2007). S.베케트<고도를 기다리며>의 무용창작 과정 분석. 한국체육학회지. 46(6). 423
  8. 안병순(2008). E. 이오네스코<의자들Les Chaises>을 통한 부조리극 특성과 현대 춤의 창작과정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47(2), 351-354
  9. 안병순(2008). 이오네스코의 시적 이미지와 현대 춤의 본능적인 재창조. 이오네스코와 부조리극 학술세미나자료집. 24-37
  10. 안병순,민들례(2008). 이오네스코의 작품 <수업>에 나타난 폭력적 의미와 움직임의 표현분석. 한국무용학회지, 8(2), 49-56
  11. 오세곤(1998). Ionesco의 희곡 Le Roi se meurt의 극적 형상화. 불어불문학연구. 23. 141
  12. 오세곤(2008). 부조리극과 이오네스코. 이오네스코 와 부조리극 학술세미나자료집. 2-7
  13. 오세곤(2009). 부조리극과 이오네스코. 이오네스코 탄생 100주년 기념 페스티벌 학술세미나 - 이오네스코와 현대연극. 8-12
  14. 이선화(2005). 이오네스코의 메타 연극적 전략 - <알마의 즉흥극 혹은 목동의 카멜레온>을 중심으로-. 불어불문학연구. 64. 321
  15. Eugene Ionesco저·오세곤 역(1995). 왕은 죽어가다. 서울: 평민사. 313-324
  16. Eugene Ionesco저·오세곤 역(2003). 대머리 여가수. 서울: 민음사. 183-194
  17. Jacqueline M. Smith. 장정윤, 이진수 역(1992). 무용 구성법, 서울: 교학연구사. 51-75
  18. Banes, Sally(1981), Judson Dance Theatre: 1962-1966 Published by Bermingham College. 75-98
  19. De Spain, K.(1997). Solo Movement Iimprovisation. Ed. D. dissertation, Temple University. 51-52
  20. Hennessey, B., & Amabile, T. M. (1998). Reward, Intrinsic Motivation and Creativity. American Psychologists. 53. 267-293
  21. Joyce, Morgenroth(1987). Dance Improvisations, Published by the University of Pittsburgh Press. 87-101
  22. Nickerson, R.S. (1999). Enhancing Creativity. in R.J. Sternberg (Ed), Handbook of Creativity, Cambridge: MA: Cambridge University Press. 392-430